| 2026 |
- 토론토 현대미술관(MOCA Toronto) 개인전, 토론토, 캐나다 (예정 전시)
|
| 2025 |
- 《김수자: 집 없는 여인 Kimsooja: A Homeless Woman》, 엘리자베스 마이어스 미첼 미술관, 필라델피아, 미국
- 《데저트 X 2025 코첼라 밸리》, 코첼라 밸리, 캘리포니아, 미국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 《김수자, 메타 페인팅 Kimsooja, Meta Painting》,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앤트워프, 벨기에
- 《김수자: 호흡 – 모쿰 Kimsooja: To Breathe – Mokum》, 아우데 케르크,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김수자: 호흡 – 선혜원 Kimsooja: To Breathe – Sunhyewon》, 선혜원 아트프로젝트 1.0. 경홍각, 서울, 대한민국
-《호흡 To Breathe》, 허 미술관(HEM), 광저우, 중국
-《김수자: 메타-페인팅 Kimsooja: Meta-Painting》, 추디 갤러리, 취리히, 스위스 (예정 전시)
|
| 2024 |
-《김수자 Kimsooja》, 후쿠오카상(문화예술 부문) 수상전, 후쿠오카 아시아미술관(FAAM), 후쿠오카, 일본
-《김수자: 메타-페인팅 Kimsooja: Meta-Painting》, 탄야 보나크다르 갤러리, 뉴욕, 미국
-《호흡 – 별자리 To Breathe – Constellation》, 카르트 블랑슈, 부르스 드 코메르스 – 피노 컬렉션, 파리, 프랑스
-《호흡 – 원형의 기록 To Breathe – Archive of Prototype》,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파티오 갤러리, 카날, 앤트워프, 벨기에
-《김수자 – 실의 궤적 Kimsooja – Thread Roots》, 라켄할 시립미술관, 라이덴, 네덜란드
-《부재의 현존 In the Presence of Absence》, 데저트 X 알룰라, 알룰라, 사우디아라비아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
| 2023 |
-
《김수자 – (Un)Folding Bottari Kimsooja – (Un)Folding Bottari》, 국립아시아미술관 및 국립민속박물관, 훔볼트 포럼, 베를린, 독일
-
《Wrapping the Void》, 세브르 국립국립도자기제작소 및 국립세라믹박물관, 세브르, 프랑스
-
《김수자, 메타-페인팅 Kimsooja, Meta-Painting》, 케베니히 갤러리, 베를린, 독일
-
《호흡 – 파리교통공사(RATP) To Breathe – RATP》, 파리교통공사(RATP), Mairie de 생투앙 시청역, 파리, 프랑스 (공공미술 커미션)
-
《호흡 To Breathe》, 라파예트 갤러리 파리 오스만점, 파리, 프랑스
-
《빛의 직조 Weaving the Light》, 시스테르네르네, 프레데릭스베르 미술관, 코펜하겐, 덴마크
-
《김수자, 몸의 지형 Kimsooja, Topography of Body》,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홍콩
-
《연역적 오브제: (un)fold Deductive Object: (un)fold》, 페이퍼 튜브 스튜디오, 메스 퐁피두 센터, 메스, 프랑스
-
《김수자, 자오선 Kimsooja, Jaoseon》, 메리디아노, 푸에르토 에스콘디도, 멕시코
-
《호흡 – 취리히 To Breathe – Zurich》, 추디 갤러리, 취리히, 스위스
-
Kimsooja - (Un)folding Bottari, The Museum für Asiatische Kunst and The Ethnologisches Museum, Humboldt Forum, Berlin, Germany
-
Wrapping the Void, Sèvres National Manufactory and Museum, Sèvres, France
-
Kimsooja, Meta-Painting, Kewenig Galerie, Berlin
-
To Breathe - RATP, Régie Autonome des Transports Parisiens(RATP); Mairie de Saint-Ouen metro station, Paris, France (Public Art Commission)
-
To Breathe, Galeries Lafayette Paris Haussmann, Paris, France
-
Weaving the Light, Cisternerne, Frederiksberg Museum, Copenhagen, Denmark
-
Kimsooja, Topography of Body, Axel Vervoordt Gallery, Hong Kong
-
Deductive Object: (un)fold, Paper Tube Studio, Centre Pompidou- Metz, France
-
Kimsooja, Jaoseon, Meridiano, Puerto Escondido, Mexico
-
To Breathe – Zurich, Galerie Tschudi, Zurich, Switzerland
|
| 2022 |
-《호흡 – 라이덴 To Breathe – Leiden》, 아우데 베스트, 라이덴, 네덜란드
-《호흡 – 메스 대성당 To Breathe – Metz Cathedral》, 메스 대성당, 메스, 프랑스 (영구 스테인드글라스 작품, 공공미술 커미션)
-《김수자 Kimsooja》, 현대미술센터 안토니오 페레스 재단, 쿠엥카, 스페인
-《Spirit of Gift, A Place of Sharing》, 행콕 쉐이커 빌리지, 매사추세츠, 미국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메타-페인팅 Meta-Painting》, 케베니히 갤러리, 팔마, 마요르카, 스페인 |
| 2021 |
-《호흡 To Breathe》, 리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아트리움,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Exposición, Kimsooja》, PHE 갤러리, 마드리드, 스페인
- 비엔날수르 2021 《김수자 Kimsooja》 제1장 - 《김수자: 타자와의 만남 Kimsooja: The Encounter with the other》, 트레스 데 페브레로국립대학교(MUNTREF) 이민박물관 – 이민자 호텔 본관; 제2장 - 《노마드 Nomad》,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미술관(MNBA); 제3장 - 《내면의 체험 An Inner Experience》,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오쿠노토 트리엔날레《호흡 – 스즈 To Breathe - Suzu》, 완자키 해안, 스즈, 일본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
| 2020 |
-《김수자, 심겨진 이름들 Kimsooja, Planted Names》,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앤트워프, 벨기에
-《김수자 – 씨 뿌려 그리기 Kimsooja – Sowing into Painting》, 바노스 예술재단, 바노스, 스웨덴 |
| 2019 |
-《트라베르세 /김수자 Traversées / Kimsooja》, 푸아티에시 전역 13곳에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아키텐 공작 궁전, 오디토리움 극장, 푸아티에 건축센터, 마레샬 르클레스 광장, 성 루이 예배당, 마레샬 르클레르 광장, 오귀스탱 예배당 - 아틀리에 카노페, 노트르담 라 그랑드 성당, 대성당 거리, 성 십자가 미술관, 성 라드공드 교회, 르 콩포르 모데른), 푸아티에, 프랑스
-《김수자: 마음의 기하학 Kimsooja: Archive of Mind》,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PEM), 세일럼, 미국
-《김수자: 호흡 Kimsooja: To Breathe》, 요크셔 조각 공원, 웨이크필드, 영국
-《12개의 방 | 김수자: 방 #2 12 rooms | Kimsooja: Room #2》, 케베니히 갤러리, 베를린, 독일 |
| 2018 |
- 프리즈 조각전 《바늘여인: 우주는 하나의 기억이었고, 지구는 하나의 기념물이다 A Needle Woman: Galaxy was a Memory, Earth is a Souvenir》, 리젠트 파크, 런던, 영국
- 《김수자: 호흡 – 국기 Kimsooja: To Breathe – The Flags》, 라파엘라 코르테세 갤러리, 밀라노, 이탈리아
- 《김수자: 호흡 / 레스피라레 Kimsooja: To Breathe / Respirare》, 성 에우스트로지오 대성당, 밀라노, 이탈리아
- 《Screen Space – Kimsooja》, 서호주 미술관(AGWA), 퍼스, 호주
- 퍼스 국제예술축제 《0의 지점 Zone of Nowhere》, 퍼스 현대미술관, 퍼스, 호주
- 퍼스 국제예술축제 《호흡 – 국기 To Breathe - The Flags》, 노스브릿지, 퍼스, 호주
- 《Gazing Into Sphere》,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앤트워프, 벨기에
|
| 2017 |
- 《김수자 Kimsooja》,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김수자 Kimsooja》, 트리시 클락 갤러리, 오클랜드, 뉴질랜드
-《세계를 바느질하다 Weaving the World》,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 동아시아 문화도시 2017 교토 《만남 – 거울여인 Encounter – A Mirror Woman》, 니조성, 교토, 일본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 《김수자 – 호흡의 기하학 Kimsooja – Geometry of Breath》, 케베니히 갤러리, 베를린, 독일
|
| 2016 |
-《김수자, 세계를 바느질하다 Kimsooja, Weaving the World》, CC 스트롬비크 문화센터, 브뤼셀, 벨기에
-《김수자: 호흡 – 0의 지점 Kimsooja, To Breathe – Zone of Zero》, 말라가 현대미술센터(CAC), 말라가, 스페인
- 동아시아 문화도시 2016 교토 《김수자 Kimsooja》, 간고지사찰, 나라, 일본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커미션)
-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차 시리즈 2016 《김수자 – 마음의 기하학 Kimsooja - Archive of Mind》, 국립현대미술관(MMCA), 서울, 대한민국
|
| 2015 |
-《김수자 – 호흡 Kimsooja – To Breathe》, 메스 퐁피두 센터, 메스, 프랑스
-《김수자, 구걸하는 여인 – 카이로 Kimsooja, A Beggar Woman – Cairo》, 스미스대학교 미술관, 매사추세츠, 미국
-《김수자: 실의 궤적, 제3장 Kimsooja: Thread Routes, Chapter III》,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앤트워프, 벨기에
- 제14회 코르도바 사진비엔날레 특별 개인전 《지-수-화-풍 Earth - Water - Fire - Air》, 살라 올리베, 코르도바, 스페인
-《김수자: 실의 궤적 Kimsooja: Thread Routes》,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빌바오, 스페인
|
| 2014 |
-《김수자, 호흡: 오방색 Kimsooja, To Breathe: Obengsaek》,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김수자, 호흡 Kimsooja, To Breathe》, 라파엘라 코르테세 갤러리, 밀라노, 이탈리아
- 제1회 코넬대학교(CCA) 비엔날레 《김수자, 바늘여인 – 우주는 기억이었고, 지구는 기념품이다 Kimsooja, A Needle Woman: Galaxy was a Memory, Earth is a Souvenir》, 이타카, 미국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김수자, 호흡: 만다라 Kimsooja, To Breathe: Mandala》, 케베니히 갤러리, 팔마, 마요르카, 스페인
-《김수자, 보따리 Kimsooja, Bottaris》, 라 파브리카, 마드리드, 스페인
|
| 2013 |
-《김수자, 앨범 – 국경을 바느질하기 Kimsooja, An Album: Sewing into Borderlines》, 마리포사 이민국 통관소, 애리조나, 미국 (미국 연방정부(GSA) 건축 예술 프로그램 커미션)
-《김수자 / 펼침 Kimsooja / Unfolding》, 밴쿠버 미술관, 밴쿠버, 캐나다
-《김수자 – 뭄바이: 빨래터 Kimsooja – Mumbai: A Laundry Field》,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 제55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김수자, 호흡 – 보따리 Kimsooja, To Breathe – Bottari》, 베니스, 이탈리아
- 유럽문화수도 마르세유-프로방스 2013 《김수자, 호흡 – 국기 Kimsooja, To Breathe – The Flags》, 컨템포러리 아트 트레일, 엑상프로방스, 프랑스
|
| 2012 |
-《김수자, 호흡 Kimsooja, To Breathe》, 국제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김수자: 바늘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마이애미 미술관, 마이애미, 미국
-《김수자 Kimsooja》, 쿤스트할 44뫼엔, 아스케뷔, 덴마크
-《고요한 혼돈: 김수자의 지-수-화-풍 Calm Chaos: Kimsooja's Earth - Water - Fire - Air》, 페름 현대미술관(PERMM), 페름, 러시아
-《김수자 Kimsooja》,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MAMC+), 생테티엔, 프랑스 |
| 2011 |
-《김수자 Kimsooja》, 대구미술관, 대구, 대한민국
-제12회 몬트리올 르 무아 드 라 포토 《김수자, 바늘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프롱트낙 문화원, 몬트리올, 캐나다
-《김수자 Kimsooja》, 매사추세츠대학교 현대미술관(UMASS), 매사추세츠, 미국
-《김수자, 뭄바이 – 빨래터 Kimsooja, Mumbai - A Laundry Field》, 시카고예술대학교(SAIC) 설리번 갤러리, 시카고, 미국
-《김수자, 앨범: 허드슨 길드 Kimsooja, An Album: Hudson Guild》, 뉴욕대학교 바니 오디토리움 SVA 극장, 뉴욕, 미국 (장소 특정적 스크리닝, 모어 아트 커미션) |
| 2010 |
-《김수자 Kimsooja》,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김수자, 세계 내의 존재 / Être au Monde Kimsooja, Being in the World / Être au Monde》, 졸리에트 미술관, 퀘벡, 캐나다
-《영광 원자력 발전소 아트 프로젝트 2010: 김수자 지-수-화-풍 Yeong Gwang Nuclear Power Plant Art Project 2010: Earth-Water-Fire-Air By Kimsooja》, 국립현대미술관, 영광, 대한민국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김수자, 뭄바이: 빨래터 Kimsooja, Mumbai: A Laundry Field》, 펠트키르히 교회,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리히텐슈타인
-《김수자, 지수화풍 Kimsooja, Earth - Water - Fire – Air》,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대한민국 |
| 2009 |
-《김수자: 바늘여인 1999-2001 Kimsooja: A Needle Woman 1999-2001》, 발틱 현대미술센터, 게이츠헤드, 영국
-뉘 블랑쉬 2009 《바늘여인 – 파리 Needle Woman – Paris》, 파리 시청, 파리, 프랑스 (장소 특정적 스크리닝, 뉘 블랑쉬 2009 커미션)
-제5회 란사로테 비엔날레 《김수자 Kimsooja》, 란사로테 국제현대미술관(MIAC), 카나리제도, 스페인
-《김수자, 뭄바이: 빨래터 Kimsooja, Mumbai: A Laundry Field》, 콘티누아 갤러리, 르 물랭, 프랑스 |
| 2008 |
-《호흡 – 보이지 않는 거울 / 보이지 않는 바늘 To Breathe: Invisible Mirror / Invisible Needle》,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샌프란시스코, 미국 (장소 특정적 스크리닝)
-《김수자, 로투스 – 0의 지점 Kimsooja, Lotus: Zone of Zero》, 로통드 라벤슈타인 갤러리, 브뤼셀, 벨기에 (한국문화축제 보자르(BOZAR))
-《김수자, 뭄바이 – 빨래터 Kimsooja, Mumbai: A Laundry Field》, 콘티누아 갤러리, 베이징, 중국
-《김수자, 거울여인 – 해와 달 Kimsooja, A Mirror Woman: The Sun & The Moon》, 시세이도 갤러리, 도쿄, 일본
-《Black Box: Kimsooja》, 허쉬혼 미술관 및 조각정원, 워싱턴 D.C., 미국
-《김수자, 비디오 앨범 Kimsooja, Video Album》, 라파엘라 코르테세 갤러리, 밀라노, 이탈리아 |
| 2007 |
-《김수자, 뭄바이 – 빨래터 Kimsooja, Mumbai: A Laundry Field》, 케베니히 갤러리, 쾰른, 독일
-《김수자: 바람의 여인 Kimsooja: A Wind Woman》, 라 파브리카, 마드리드, 스페인 |
| 2006 |
-《김수자, 바람의 여인 Kimsooja: A Wind Woman》, 더 프로젝트, 뉴욕, 미국
-《김수자, 바람의 여인 Kimsooja: A Wind Woman》, 피터 블룸 갤러리, 뉴욕, 미국
- 뉘 블랑쉬 2006 《김수자, 호흡 – 보이지 않는 거울/보이지 않는 바늘 Kimsooja, To Breathe: Invisible Mirror / Invisible Needle》, 샤틀레극장, 파리, 프랑스 (뉘 블랑쉬 2006 커미션)
-《김수자 Kimsooja》, 마가신 3 현대미술관, 스톡홀름, 스웨덴
-《김수자, 호흡 – 거울여인 To Breathe – A Mirror Woman》, 수정궁, 마드리드, 스페인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레이나 소피아 국립미술관 커미션)
-《김수자, 호흡 / Respirare Kimsooja, To Breathe / Respirare》, 라 페니체극장, 베니스, 이탈리아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베빌라쿠아 라 마사 재단에서 열린 공동 개인전과 연계)
|
| 2005 |
-《The 59th Minute: 김수자, 익명의 조건 The 59th Minute: Kimsooja, Conditions of Anonymity》, 타임스퀘어, 크리에이티브 타임, 뉴욕, 미국
-《김수자, 세계로의 여정 Kimsooja, Journey into the World》, 아테네 국립현대미술관(EMST), 아테네, 그리스
-《김수자, 일곱 가지 소망과 비밀 Kimsooja, Seven Wishes and Secrets》,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리스트 시각예술센터, 케임브리지,매사추세츠, 미국
-《김수자, 보따리 쾰른 Kimsooja, Bottari Cologne》, 케베니히 갤러리, 쾰른, 독일 |
| 2004 |
-《김수자, 바늘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예카테린부르크, 러시아 (7개의 야외 스크린 동시상영)
-《Videos in Progress》,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RISD) 미술관, 로드아일랜드, 미국
-《김수자 Kimsooja》, 라파엘로 코르테세 갤러리, 밀라노, 이탈리아 |
| 2003 - 2004 |
-《김수자, 인간의 조건 Kimsooja, Conditions of Humanity》, 순회전: 리옹 현대미술관, 리옹, 프랑스(2003); 쿤스트 팔라스트 미술관, 뒤셀도르프, 독일(2004); 밀라노 현대미술관(PAC), 밀라노, 이탈리아(2004) |
| 2003 |
-《만다라 – 0의 지점 Mandala: Zone of Zero》, 더 프로젝트, 뉴욕, 미국
-크로싱 2003: 하와이/한국 《거울여인 – 어디에도 없는 땅 A Mirror Woman: The Ground of Nowhere》, 호놀룰루 시청, 하와이, 미국
-《김수자 Kimsooja》, 자헹타 국립미술관, 바르샤바, 폴란드 |
| 2002 |
-《김수자, 거울여인 Kimsooja, A Mirror Woman》, 피터 블룸 갤러리, 뉴욕, 미국
-《김수자, 빨래하는 여인 Kimsooja, A Laundry Woman》, 이미지 파사주, 안시, 프랑스
-《김수자, 빨래하는 여인 Kimsooja, A Laundry Woman》, 빈 쿤스트할레, 빈, 오스트리아 |
| 2001 |
-《김수자, 빨래하는 여인 Kimsooja, A Laundry Woman》, 팔라초 델레 포스테, 트리에스테, 이탈리아
-《김수자, 빨래하는 여인 Kimsooja, A Laundry Woman》, 이노바 갤러리, 밀워키, 위스콘신, 미국
-《김수자, 보따리 2001 Kimsooja, Bottari 2001》, 슈프렝겔 미술관, 하노버, 독일
-《김수자, 바늘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뉴욕 현대미술관(MoMA) P.S.1, 뉴욕, 미국
-《김수자, 바늘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베른 쿤스트할레, 베른, 스위스 |
| 2000 |
-《김수자, 바늘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NTT 인터커뮤니케이션센터(ICC), 도쿄, 일본
-《김수자, 바늘여인 – 세상을 엮는 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 A Woman Who Weaves the World》, 로댕 갤러리(삼성미술관 플라토), 서울, 대한민국 |
| 1999 |
-《김수자, 바늘여인 Kimsooja, A Needle Woman》, 기타큐슈 현대미술센터(CCA), 기타큐슈, 일본 |
| 1997 |
-《김수자, 빨래터 – 바느질하며 걷기, 바라보며 바느질하기 Kimsooja, A Laundry Field — Sewing into Walking. Looking into Sewing》, 오크빌 갤러리, 온타리오, 캐나다
-《김수자, 연역적 오브제 Kimsooja, Deductive Object》, 아키라 이케다 갤러리, 나고야, 일본
-《김수자, 바느질하며 걷기 Kimsooja, Sewing into Walking》, 르 마가쟁 – 그르노블 국립현대미술센터, 그르노블, 프랑스 |
| 1994 |
-《바느질하며 걷기 Kimsooja, Sewing into Walking》, 서미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 1992 |
- 《김수자 Kimsooja》, 한국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 1991 |
- 《김수자 Kimsooja》, 갤러리현대, 서울, 대한민국
|
| 1989 |
- 《김수자 Kimsooja》, 온 갤러리, 오사카, 일본
|
| 1988 |
- 《김수자 Kimsooja》, 갤러리현대, 서울, 대한민국
|
| 2026 |
- 타슈켄트 현대미술센터,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예정 전시)
- 에스포 현대미술관(EMMA), 에스포, 핀란드 (예정 전시)
- 취리히 하우스 컨스트럭티브, 취리히, 스위스 (예정 전시)
|
| 2025 |
- 《Ettore Fico – Dialoghi Contemporanei Un artista, un museo, una collezione》, 에토레 피코 미술관(MEF), 토리노, 이탈리아
- 《Nightglow》, 추디 갤러리, 취리히, 스위스
- 《Home is Where We Start From》, 아트 포 더 월드, 제네바, 스위스
- 《보편적 사회》, 우민아트센터, 청주, 대한민국
-《Silver Suits You - 25 Years Loving Art》,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Art and Nature: Inside Out》, 빌라 아르코나티, 밀라노, 이탈리아
-《Haori. Men’s Clothing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ells the Story of Japan》, 토리노 동양미술박물관(MAO), 토리노, 이탈리아
-《Human Nature》, 노르트브라반츠 미술관, 스헤르토헨보스, 네덜란드
-《신 컬렉션 미술관》, 카이스트 미술관, 대전, 대한민국
MMCA 서울 상설전 《한국현대미술 하이라이트》, 국립현대미술관(MMCA), 서울, 대한민국
-《SUTTON 78》, GSH 컨템포러리, 뉴욕, 미국
-《All Directions: Art That Moves You》, 페닉스 이민자박물관, 로테르담, 네덜란드
-《True Colors》, 국립21세기미술관(MAXXI), 라퀼라, 이탈리아
-《마카오 국제 아트 비엔날레 2025》, 마카오 예술박물관, 마카오, 중국
-《Counting》,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미술은행 20주년 특별전 - 돌아온 미래: 형태와 생각의 발현》, 국립현대미술관(MMCA), 청주, 대한민국
-《Every Encounter, a Weaving of Waves》, KF 글로벌센터, 서울, 대한민국
-《제5회 항저우 섬유예술 트리엔날레: 별들의 재구성(Re-Constellations)》, 저장 미술관, 항저우, 중국
-《Dream Rooms: Environments by Women Artists 1950s – Now》, 엠플러스 미술관(M+), 홍콩
옛 서울역 준공 100주년 기념전시 《백년과 하루: 기억에서 상상으로》, 문화역서울 284, 서울, 대한민국
-《The Roots Know More》, 허 미술관(HEM), 광저우, 중국
2025 APEC CEO 서밋 특별기획전 《판타스틱 오디너리》, 플레이스 씨, 경주, 대한민국
-《1+1. The relational years》, 국립21세기미술관(MAXXI), 로마, 이탈리아
-《제24회 파이즈 아트 비엔날레: The World Tree》, 과테말라시와 안티구아 카스텔로성, 키안티, 이탈리아 (예정 전시)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캘리포니아, 미국 (예정 전시)
|
| 2024 - 2025 |
-《Unravel: The Power and Politics of Textiles in Art》, 바비칸 아트 갤러리, 런던, 영국(2024) 순회전: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 암스테르담(2024-2025) |
| 2024 |
-《Nothing Too Beautiful for the Gods》, 오팔 재단, 랭스, 스위스
- 에노바 아트 비엔날레 2024《Multiple Future, A New Vision Of Our Life》, 에노바 미술관, 랑팡, 중국
- 숲 예술제 《맑은 나라·오카야마》, 쓰야마 철도교육박물관, 오카야마, 일본
-《Exile. Artist Perspectives》, 루브르-랑스 박물관, 랑스, 프랑스
-《Feminism and the Moving Image》,도쿄 국립근대미술관(MOMAT), 도쿄, 일본
이마프 X 프리즈 필름, 이화미디어아트프레젠테이션(EMAP), 서울, 대한민국
- SeMA 옴니버스《나는 우리를 사랑하고 싶다》,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Visions of Continuity》,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홍콩
-《Light: Visionary Perspectives》, 아가 칸 박물관, 토론토, 캐나다
-《The Objects We Choose》, 탄야 보나크다르 갤러리, 뉴욕, 미국
-《Ambienti 1956-2010, Environments by Women Artists II》, 국립21세기미술관(MAXXI), 로마, 이탈리아
-《모든 섬은 산이다》, 몰타 기사단 수도원, 베니스, 이탈리아
-《Jef Verheyen. Window on infinity》, 벨기에 왕립미술관(KMSKA), 앤트워프, 벨기에
-《Bridge》,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앤트워프, 벨기에
-《Phenomena: Perspective for an Introduction to the MUSAC Collection》, 카스티야 이 레온 현대미술관(MUSAC), 레온, 스페인
-《Breaking the Monument》, 카살 솔레릭, 팔마, 마요르카, 스페인
|
| 2023 |
-《Light Is Therefore Colour》,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Emotion》, 키오스트로 델 브라만테, 로마, 이탈리아
-《자연/스럽게(Y/OUR Nature)》, 호암미술관, 용인, 대한민국
-《Ettore Fico – Dialoghi contemporanei. Un artista, un museo, una collezione》, 베빌라쿠아 라 마사 재단, 베니스, 이탈리아
-《BienalSUR, Strangers in the Palace. Chapter 1》, 국립장식미술관(MNAD),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생모리츠 아트 페스티벌(SMAFF), 생모리츠와 스위스 엥가딘 밸리, 생모리츠, 스위스
-《실의 궤적》, 마시모 데 카를로 갤러리, 홍콩
-《Do You Have To Travel To Be Happy?》, 질베르가이야르 전시장, 클레르몽페랑, 프랑스
-《Fabric》,피터 블룸 갤러리, 뉴욕, 미국
-《Icônes》, 푼타 델라 도가나, 베니스, 이탈리아
-《Transformations》, 프란츠 게르치 미술관, 부르크도르프, 스위스
-《시간의 두 증명 - 모순과 순리》, 서울대학교미술관(SNUMoA), 서울, 대한민국
-《Frapper du pied》, 발드마른 현대미술관(MAC/VAL), 비트리쉬르센, 프랑스
-《Don't Take Fake》, 모듈 오프 템포럴리티(MOT), 키이우, 우크라이나, 순회전: 드니프로, 우크라이나; 루츠크, 우크라이나; 르비우, 우크라이나
- 유럽문화수도 2023 《Mystery 177 Visions from the Underworld》, X-보잉 아트센터, 엘레프시나, 그리스
|
| 2022 - 2023 |
-《The Standard Bearer》, 순회전: 프리스 미술관, 레이우아르던, 프리슬란트(2022); 센트럴 뮤지엄, 위트레흐트(2022); 스테델릭 미술관, 알크마르, 노르트홀란트(2022); 드렌츠미술관, 아선, 드렌터(2022); 쿤스트리니에, 알메러, 플레볼란트(2022); 노르트브라반츠 미술관, 덴 보스, 노르트브라반츠(2022);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 헤이그, 자위트홀란트(2022); 트웬테 국립미술관, 엔스헤더, 오버레이설(2022); 아른험 미술관, 아른험, 헬데를란트(2023), 제이우스 미술관, 미델뷔르흐, 제일란트(2023); 보네판텐 미술관, 마스트리흐트, 림뷔르흐(2023); 그로닝거 미술관, 그로닝겐(2023) |
| 2022 |
-《Making Worlds》, 뉴사우스웨일스 주립미술관(AGNSW), 시드니, 호주
-《Constellations: Global Reflections》, 쿠라 쿠라 발리, 인도네시아 (장소 특정적 설치 프로젝트, G20 특별 전시 커미션)
-《The House Of Dust Collections Au Féminin(1960-2020)》,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MAMC+), 생테티엔, 프랑스
- 제3회 제주비엔날레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대한민국
-《Paracusia: Remix》, 케베니히 갤러리, 베를린, 독일
-《백남준 효과》,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 대한민국
- 방콕 아트 비엔날레 2022 《혼돈: 평온》, 방콕 예술문화센터(BACC), 방콕, 태국
-《Horizons》, 동아시아미술관, 쾰른, 독일
-《The Timeless Imagination of Yves Klein: Uncertainty and the Immateriality》, 21세기현대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Line Up》, 추디 갤러리, 취리히, 스위스
-《코리안 디아스포라 - 한지로 접은 비행기(Korean Diaspora - Ricepaper Airplane)》,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대한민국
-《국기》, 보고시안 재단, 브뤼셀, 벨기에
-《An Uncertain Pleasure: Time-Based Works from the Pierre Huber Collection》, 보고타 현대미술관(MAMBO), 보고타, 콜롬비아
-《Eclettica!》, 에토레 피코 미술관(MEF), 토리노, 이탈리아
- 2022 롯폰기 아트 나이트, 롯폰기 힐 모리 타운, 도쿄, 일본
-《Paracusia: of Sounds & Visions》, 케베니히 갤러리, 베를린, 독일
-《Horizon and Limit》, 라 카이사 재단, 발렌시아, 스페인
-《애도: 상실의 끝에서》,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대한민국
-《Faut-il voyager pour être heureux?》, 에스페이스 파운데이션 EDF, 파리, 프랑스
-《Féminin Plurielles》, 세레스 프랑코 미술관, 몽톨리외, 프랑스
-《Kids Take Over》, 밴쿠버 미술관, 밴쿠버, 캐나다
-《Intertwingled – The Role Of The Rug In Arts, Crafts And Design》, 로마 국립현대미술관(GNAM), 로마, 이탈리아
-《Résister, encore》, 로잔 주립미술관(MCBA), 로잔, 스위스
-《WALK!》, 쉬른 미술관, 프랑크푸르트, 독일
-《Moving Stories》, 팔크호프 미술관, 네이메헌, 네덜란드
|
| 2021 |
-《Odd Convergences》, 러시아 국립현대미술관(NCCA) - 푸시킨 미술관, 모스크바, 러시아
-《Corpus Domini》, 팔라초 레알레, 밀라노, 이탈리아
-《Oniric Landscapes》, 카스티야 이 레온 현대미술관(MUSAC), 레온, 스페인
-《A Quiet Spring Wanders Through the Apartment》, 마가신 3 현대미술관, 스톡홀름, 스웨덴
-《Breaking the Monument. Images of Resistance》, 갈리시아 현대미술센터(CGAC),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스페인
-《그 가운데 땅: 시간이 펼쳐져 땅이 되다》, 아르코미술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 대한민국
-《Still Alive - Works from the Hoffmann Collection》, 드레스덴 박물관연합(SKD), 드레스덴, 독일
-《헬가 데 알베아르 컬렉션 Helga de Alvear Collection》, 헬가 데 알베아르 시각예술센터, 카세레스, 스페인
-《Stage 2 - The Past Extended》, 소클레 두 몬데 비엔날레, 헤르닝 현대미술관(HEART), 헤르닝, 덴마크
-《Hautmusik》, 폴크방 미술관, 에센, 독일 |
| 2020 |
- 제1회 아시아 소사이어티 트리엔날레 《We Do Not Dream Alone - Art and creativity under lockdown》, 아시아 소사이어티 미술관, 뉴욕, 미국
-《Not by the Dress Alone》, 뮤지엄 온 더 심, 예루살렘, 이스라엘
-《The Light House》, 보고시안 재단, 브뤼셀, 벨기에
-《Basel Art Days》, 바젤 광장, 바젤, 스위스
-《DE-celerate》, 테 투히,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Body of Water》, 마가신 3 야파, 텔아비브, 이스라엘
-《EMST Open. EMST as a storyline》, 아테네 국립현대미술관(EMST), 아테네, 그리스
-《Bodyscapes》, 이스라엘 박물관, 예루살렘, 이스라엘
-《BE/LONGING: Contemporary Asian Art》, 시애틀 동양미술박물관(SAAM), 볼런티어파크, 시애틀, 미국
|
| 2019 |
-《Absolutely Tschudi》,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 대한민국
-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50주년 기념전 《광장: 2부 미술과 사회 1950-2019》,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 대한민국
-《on the spiritual matter of art》, 로마 국립현대미술관(MAXXI), 로마, 이탈리아
-《Crystals in Art: Ancient to Today》, 크리스털 브리지스 미술관, 미국 알칸산 벤턴빌
-《Juntos Aparte 2019》, 쿠쿠타, 콜롬비아
-《Von der Zukunft der Vergangenheit》,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리히텐슈타인
-《Here we are》, 뉴사우스웨일스 주립미술관(AGNSW), 시드니, 호주
- 포토에스파냐 2019 《Nuestros imprescindibles》, 포토에스파냐, 마드리드, 스페인
-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 - 스위스 살롱 2019《S L O W》, 팔라초 트레비산 델리 울리비, 베니스, 이탈리아
-《Della materia spirituale dell'arte》,국립21세기미술관(MAXXI), 로마, 이탈리아
-《Crystals in Art: Ancient to Today》, 크리스털 브리지스 뮤지엄, 벤턴빌, 아칸소, 미국
-《Clapping with Stones: Art and Acts of Resistance》, 루빈 뮤지엄, 뉴욕, 미국
-《Infinitive Mutability》,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홍콩
-《Persona grata, itinérances - l’art contemporain interroge l’hospitalité》, 아미앵 문화원, 아미앵, 프랑스
-《Spinning ideas. Weaving art》, 발렌시아 현대미술관(IVAM), 발렌시아, 스페인
- 비엔날수르 2019,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 2018 - 2019 |
-《The Street. Where The World Is Made》, 국립21세기미술관(MAXXI), 로마, 이탈리아(2018-2019) 순회전: 몽펠리에 현대예술센터(MO.CO.), 몽펠리에, 프랑스(2019) |
| 2018 |
- A Day for Counting Stars: The Story of You&M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Cheongju, Korea
- The Street. Where The World Is Made, Museo nazionale delle arti del XXI secolo (MAXXI), Rome, Italy
- Other Walks, Other Lines, San Jose Museum of Art, San Jose, USA
- Soft Power, Transpalette Centre d'Art Contemporain, Bourges, France
- Persona grata, Musée d'art contemporain du Val-de-Marne(MAC/VAL), Vitry-sur-Seine, France
- La Verità è Sempre Un'altra. Dialogo Tra Due Collezioni, Kunstmuseum Bonn, Bonn, Germany
- The Fláneur - From Impressionism to the Present, Galleria Nazionale d'Arte Moderna (GNAM), Rome, Italy
- 8th Biennale Internationale d'art Contemporain de Melle: Le grand monnayage, Saint-Pierre-Église, Melle, France
- The Second Yinchuan Biennale: Starting from the Desert. Ecologies on the Edge, Museum of Contemporary Art Yinchuan(MOCA), Yinchuan, China
- Worlds Otherwise Hidden, Kemper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sas City, USA
- POLYPHON. Artistic Positions in the Viehof Collection, Langen Foundation, Neuss, Germany
- Reflection about / about Reflection, Galerie Tschudi, Zuoz, Switzerland
- Blooming at the Junction, Korean Cultural Center Hong Kong, Hong Kong
- Kaleidoskop Worpswede, Haus im Schluh, Worpswede, Germany
|
| 2017 |
- Pafos 2017 - Weaving Europe: The World as Meditation, The World as Meditation, Pafos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afos, Cyprus
- Kienzle Collection, Kunstmuseum Liechtenstein - Hilti Art Foundation, Vaduz, Liechtenstein
- Women’s Methodology, Mulier Mulier Gallery, Knokke-Heist, Belgium
- 1000 Patronen, Texture Museum, Kortrijk, Belgium
- The Show Must Go On - From the Museum’s Collection of Contemporary Art, Kunstmuseum Bern, Switzerland
- Documenta 14: ANTIDORON - The EMST Collection, Fridericianum, Kassel, Germany
- The Urge to Create Vision 1929-2017, Centrum Rzeźby Polskiej, Orońsko, Poland
- Intuition, Palazzo Fortuny, Venice, Italy
- Thread Lines, The Kentucky Museum of Art and Craft, Kentucky, Louisville, USA
- Urgent Conversations: Antwerp-Athens, Museum van Hedendaagse Kunst Antwerpen (M HKA), Antwerp, Belgium
- The 2nd Changjiang International Photography and Video Biennale, Changjia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ongqing, China
- Tous, des sang-mêlés, Musée d'art contemporain du Val-de-Marne (MAC/VAL), Paris, France
- Socle du Monde Biennale 2017: to challenge the Earth, the Moon, the Sun & the Stars, HEART Herni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Herning, Denmark
- 10 years old, Fondazione Fotografia Modena, Modena, Italy
- Idioma, Museion, Bolzano, Italy
- Person of the Crowd, Barnes Foundation,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
| 2016 - 2020 |
-《Getting Across》, 괴테 인스티튜트, 뉴델리, 인도(2016) 순회전: 니코시아 시립예술센터(NiMAC), 피에리데스 재단 협력, 니코시아, 사이프러스(2020) |
| 2016 |
-《Crisis, crisis, crisis: la normalidad de la emergencia》, 마투카나 100(M100), 산티아고, 칠레
-《Urgent Conversations: Athens-Antwerp》, 아테네 국립현대미술관(EMST), 아테네, 그리스
-《Lo Specchio Concavo》, 바세 아르테 컨테포라네아 오디에르나(BACO), 베르가모, 이탈리아
-《Uncertain States: Artistic Strategies in States of Emergency》, 베를린 예술원, 베를린, 독일
-《나와 함께 춤을》, 폴크방 미술관, 에센, 독일
-《Minus Ego》, 괴테 인스티튜트, 바르셀로나, 스페인
-《정적 행위》, 더 에잇 플로어(The 8th Floor), 뉴욕, 미국
- 2016 항저우 섬유예술 트리엔날레《Weaving & We》, 저장 미술관, 항저우, 중국
- 제20회 파이즈 비엔날레《Ordinary / Extraordinary: The Democratization of Art or the Will To Change Things》, 파이즈 재단, 과테말라시티, 과테말라
-《No Longer Empty》, 자메코 익스체인지, 퀸스, 뉴욕, 미국
-《Heimat - Identifikationen im Wandel》, 발크뮐레 예술가협회, 비스바덴, 독일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MMCA), 서울, 대한민국
-《땅, 불, 혼: 한국 도자의 정수》, 그랑 팔레, 파리, 프랑스(2016) 순회전: 에르미타주 국립미술관,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2016)
-《Water Event for Yoko Ono: Lumière de L’aube》, 리옹 현대미술관, 리옹, 프랑스
-《다른 세상을 꿈꾸다 (Rêver D'Un Autre Monde》, 저항과 강제추방 역사센터, 리옹, 프랑스
-《삶의 건축 Architecture of Life》, 버클리 미술관과 퍼시픽 필름아카이브(BAMPFA), 캘리포니아, 미국
|
| 2015 - 2016 |
-《Remember Lidice》, 에디션 블록, 베를린, 독일(2015-2016) 순회전: 노르트호른 시립미술관, 노르트호른, 독일(2016) |
| 2015 |
-《30 Years - Artists of the Gallery》,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Fear Nothing, She Says》, 국립조각미술관, 바야돌리드, 스페인
-《Le Monde Selon...》, 프락(FRAC) 프랑슈콩테, 브장송, 프랑스
-《Vanità/Vanitas》, 에트로피코 미술관, 토리노, 이탈리아
-《L'Effet Vertigo》, 발드마른 현대미술관(MAC/VAL), 비트리쉬르센, 프랑스
-《Art_Textiles》, 맨체스터대학교 휘트워스 갤러리, 맨체스터, 영국
-《어린이의 빵(Chambres d'enfants)》, 벽지 박물관, 메지에르, 스위스
-《장식, 감소, 지속(Ornament, Reduction, Continuum)》,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Fashion as Social Energy》, 팔라초 모란도 코스튬 모다 이매진, 밀라노, 이탈리아
-《Proportio》, 팔라초 포르투니, 베니스, 이탈리아
-《Nice to See You! 160 Works from the Collection》,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영혼의 자신의 사회를 선택한다: 밀러 맥스 컬렉션의 여성 예술가들(The Soul Selects her own Society: Women Artists of the Miller Meigs Collections)》, 매칼리스터대학교 재닛 월리스 예술센터, 세인트폴, 미네소타, 미국
-《40 Years / 40 Artists》, 애머스트대학교 현대미술관, 애머스트, 미국 |
| 2014 - 2017 |
-《Thread Lines》, 더 드로잉센터, 뉴욕, 미국(2014) 순회전: 켄터키 미술&공예박물관, 켄터키, 루이빌, 미국(2016-2017) |
| 2014 - 2016 |
-《예술과 진실: 간디와 비폭력 이미지(Experiments with Truth: Gandhi and Images of Nonviolence)》, 메닐 컬렉션, 휴스턴, 텍사스, 미국(2014-2015) 순회전: 국제적십자·적신월 박물관, 제네바, 스위스(2015-2016) |
| 2014 - 2015 |
- 《하늘땅바다(LANDSEASKY: Revisiting Satiality in Video)》, 아트선재센터, 서울, 대한민국(2014) 순회전: OCT 컨템포러리 아트 터미널(OCAT), 상하이, 중국(2014); 내셔널아트스쿨 갤러리, 달링허스트, 호주(2014); 그리피스대학교 아트 갤러리, 브리즈번, 호주(2014); 광둥 미술관, 광둥, 중국(2015)
- 《The Needle's Eye: Contemporary Embroidery Kode 1》, 베르겐 미술관, 베르겐, 노르웨이(2014-2015) 순회전: 예술·건축·디자인 국립미술관, 오슬로, 노르웨이(2015)
|
| 2014 |
-《Taking Time》, 셸던 미술관, 링컨, 미국
- 2014 강정 대구현대미술제, 디아크 문화관, 대구, 대한민국
-《반딧불이의 실종(La Disparition Des Lucioles)》, 성 안나 교도소, 아비뇽, 프랑스
-《파리, 시야와 시야 너머: 현대사진과 영상(Paris Champ et Hors Champ, photographies et videos contemporaines)》, 파리 제4지구 파리 도서관 갤러리, 파리, 프랑스
-《K-P.O.P - 과정, 타자성, 게임》, 타이베이 현대미술관(MOCA), 타이베이, 대만
- 부산비엔날레 2014 《세상 속에 거주하기》, 부산, 대한민국
- 부산비엔날레 2014 《Voyage to Biennale - 비엔날레 속의 한국현대미술 50년》, 부산문화회관 대·중전시실, 부산, 대한민국
-《움직임 - 도시를 퍼포밍하다(Le Mouvement - Performing the City)》, 바스크 예술박물관, 비엘, 스위스
-《교감(交感)》, 리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Total Art: Contemporary Video》, 국립여성예술가박물관, 워싱턴 D.C., 미국
-《Il Tempo delle Donne: il taccuino delle competenze di genere》, 피콜로 테아트로 그라시, 밀라노, 이탈리아
-《시간의 그늘: 재미한인작가 아카이브 1 & 2부, 1989-2001(Shades of Time: An Exhibition from the Archive of Korean-American Artists, Part 1 & 2, 1989-2001)》, AHL 재단 기획, 뉴욕 한국문화원, 뉴욕, 미국; 퀸즈 미술관, 뉴욕, 미국
-《새로운 비전(RE:VISION)》, 트리시 클라크 갤러리, 오클랜드, 뉴질랜드
-《실》, 아른험 미술관, 아른험, 네덜란드
-《Nachhaltigkeit & Kunst, Vol. 2 - Neue Werke – Neue Perspektiven》, 모빌리아르 게노센샤프트 미술관, 베른, 스위스
-《Verwundung und Zuflucht Werke aus der Sammlung des Kunstmuseum Liechtenstein im Küefer-Martis-Huus》,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루겔, 리히텐슈타인
-《Woman-Home:In the Name of Asian Female Artists》, 가오슝 시립미술관, 가오슝, 대만
- 에비스 영상제 2014 《True Colors》, 도쿄도 사진미술관, 도쿄, 일본
- 제1회 카르타헤나 국제 현대미술 비엔날레, 카르타헤나, 콜롬비아
|
| 2013 - 2015 |
-《미래는 지금이다!》,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 대한민국(2013-2014) 순회전: 국립21세기미술관(MAXXI), 로마, 이탈리아(2014-2015) |
| 2013 |
-《Elle est Retrouvée...》, 귀스타브 쿠르베 미술관, 오르낭, 프랑스
-《공간 만들기. 40년간의 비디오 아트》, 로잔 주립미술관(MCBA), 로잔, 스위스
-《Art & Textiles. Fabric as Material and Concept in Modern Art from Klimt to the Present》, 볼프스부르크 미술관, 볼프스부르크, 독일
-《세상을 치유하는 여인》, 문화공장오산, 오산, 대한민국
-《Rational + Emotional》,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Les Apparitions》, 젤로스의 아라와 포에의 르 벨 오르디네르, 포, 프랑스
-《답 없는 질문. ISKELE2(The Unanswered Question. ISKELE2)》, 신베를린 미술협회(n.b.k.)와 TANAS, 베를린, 독일
-《In God We Trust》, 자헹타 국립미술관, 바르샤바, 폴란드
-《The Lift》, 블룸버그 빌딩, 뉴욕, 미국
2013 캘리포니아 퍼시픽 트리엔날레,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OCMA), 캘리포니아, 미국
-《Le Pont》, 마르세유 현대미술관(MAC), 마르세유, 프랑스
-《Magasin < 3 Handelshögskolan》, 마가신 3, 스톡홀름, 스웨덴
-《Host & Guest》, 텔아비브 미술관, 텔아비브, 이스라엘
-《Women In between: Asian Women Artists 1984-2012》, 도치기현 현립미술관, 도치기, 일본
-《Zizhiqu - Autonomous Zone》, 광둥 시대미술관, 광둥, 중국
-《In Situ》, 기타큐슈 시립미술관, 기타큐슈, 일본 |
| 2012 - 2014 |
-《여성 그 사이: 아시아 여성작가 1984-2012(Women In-Between: Asian Women Artists 1984-2012)》, 후쿠오카 아시아미술관(FAAM), 후쿠오카, 일본(2012) 순회전: 오키나와 현립박물관, 나하시, 오키나와(2012-2013); 도치기 현립미술관, 도치기, 일본(2013); 미에 현립미술관, 쓰시, 일본(2013-2014) |
| 2012 |
-《지금 여기 역시 어디도 아닌: 1부(Now Here is also Nowhere: Part 1)》, 워싱턴대학교 헨리 아트 갤러리, 시애틀, 미국
-《10 Years in Zuoz》, 추디 갤러리, 주오즈, 스위스
- 무빙 이미지 비엔날레(BIM), 산마르틴 문화센터,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몽유: 마술적 현실》,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 대한민국
- 제9회 광주비엔날레 《라운드테이블(ROUNDTABLE)》,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및 광주광역시 일원, 광주, 대한민국
-《Blue Crystal Ball》, 스펜서 하우스, 런던, 영국(런던 올림픽 2012 IOC 미디어 아트 커미션)
- 2012 코펜하겐 아트 페스티벌《Unfinished Journey》, 쿤스트포레닝겐 GL STRAND, 코펜하겐, 덴마크
-《RaumFinden》, 빌라 이콘, 베를린, 독일
-《Walking in the City》, 보스턴 미술관, 매사추세츠, 미국 (스크리닝)
-《Shortening Distances: Asian Panorama in the MUSAC Collection》, 카스티야 이 레온 현대미술관(MUSAC), 레온, 스페인
-《De La Generosidad. Obras De La ColecciÓn Helga De Alvear》, 갈라시아 현대미술센터(CGAC),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스페인
-《Sammlung Dialog: Zeit》,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
| 2011 - 2016 |
-《우리는 어디로 이주하는가?》, 순회전: 메릴랜드 볼티모어 카운티대학교(UMBC) 예술·디자인·시각문화 센터(CADVC), 볼티모어, 미국(2011); 파슨스 디자인미술학교 실라 C. 존슨 디자인센터; 뉴스쿨, 뉴욕, 미국(2012); 뉴올리언스 현대미술센터, 뉴올리언스, 미국(2012-2013), 베름란드 미술관, 칼스타드, 스웨덴(2015-2016) |
| 2011 |
-《J'ai Deux Amours》,이민사박물관, 파리, 프랑스
-《Kunst-Stoff: Textilien in der Kunst seit 1960》, 카를스루에 시립미술관, 카를스루에, 독일
-《육감맛사지》, 아트센터 나비 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Barely There Part II》, 디트로이트 현대미술관(MOCAD), 디트로이트, 미국
-《XXX Thirty Years Peter Blum Edition》, 피터 블룸 갤러리, 뉴욕, 미국
-《꿈-백야》, 대구 시청, 대구, 대한민국
-《부처의 흔적 – 아시아 현대미술(Buddha's Trace – Contemporary Art From Asia)》, 보훔 미술관, 보훔, 독일
-《카운트다운》, 문화역서울284 개관전, 서울스퀘어 미디어센터, 서울, 대한민국
-《Summer Show》, 신미사 갤러리, 도쿄, 일본
-《WEXTEND》, 뮤지엄 온 더 심, 예루살렘, 이스라엘
-《TRA, Edge of Becoming》, 팔라초 포르투니, 베니스, 이탈리아
-《취약한 땅 4/4》, 피렐리 안가르비코카, 밀라노, 이탈리아
-《스페이스 스터디》, 삼성미술관 플라토, 서울, 대한민국
-《신소장품 2010》,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 대한민국
-《Big Picture》,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미술관(NRW), 뒤셀도르프, 독일
-《코리안 랩소디: 역사와 기억의 몽타주(Korean Rhapsody - A Montage of History and Memory)》, 리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취약한 땅 3/4》, 피렐리 안가르비코카, 밀라노, 이탈리아
-《장소의 영성》, 사바나예술대학교(SCAD) 구스테인 갤러리, 조지아, 미국
-《취약한 땅 2/4 : Part 2 - Question that which has forever ceased to amaze us; Part 3 - Some people walk in the rain others simply get wet; Part 4 - The chain's weakest link is also the strongest because it can break the chain》, 피렐리 안가르비코카, 밀라노, 이탈리아
-《바람꽃: 자연(에)의 인식(Windflower Perceptions of Nature)》, 크뢸러 뮐러 미술관, 오테를로, 네덜란드
-《Living. Frontiers of Architecture III-IV》,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 훔레벡, 덴마크 |
| 2010 |
-《바늘여인 – 파리 A Needle Woman - Paris》, 발레다오스타 쿠르마외르, 아오스타, 이탈리아 (스크리닝)
-《Iles jamais trouvées》,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MAMC), 생테티엔, 프랑스
-《I Believe in Miracles - 10 years at the Collection Lambert》, 랑베르 재단, 아비뇽, 프랑스
-《GSK 현대미술: 인식: 패션 예술의 정체성(GSK Contemporary: Aware: Art Fashion Identity》, 영국왕립미술원, 런던, 영국
-《Leaving Room》, RISD 미술관 메모리얼 홀 갤러리, 로드아일랜드, 미국
제5회 소클 뒤몽드 비엔날레 《Between Cultures》, 헤르닝 현대미술관, 헤르닝, 덴마크
-《레인보우아시아: 세계 미술의 진주, 동아시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취약한 땅 1/4》, 피렐리 안가르비코카, 밀라노, 이탈리아
-《L’evento immobile, Annunciazioni》, 카사 마사초, 토스카나, 이탈리아
2010 미디에이션 비엔날레 《중재를 넘어(Beyond Mediations)》, 자멕 아트센터, 포즈난, 폴란드
-《Thrice Upon a Time》, 마가신 3, 스톡홀름, 스웨덴
-《Nights》, 산타바바라 미술관, 캘리포니아, 미국 (스크리닝)
-《Ars Itineris. El viaje en el arte contemporáneo》, 아르티움(ARTIUM) - 바스크 현대미술센터 , 비토리아가스테이스, 스페인
-《Titulo, fecha y lugar》,스페인 문화기념사업 국영기관(SECC), 마드리드, 스페인
-《대범한 신세계(Brave New World)》, 그랑뒤크 장 현대미술관 무담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시, 룩셈부르크
-《미지의 섬(Isole Mai Trovate)》, 순회전: 두칼레 궁전, 베니스, 이탈리아; 테살로니키 국립현대미술관, 테살로니키, 그리스;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 생테티엔, 프랑스
-《속력 2: 모션 - 괴츠 미디어 아트 컬렉션(Fast Forward 2. The Power of Motion - Media Art of the Sammlung Goetz Collection)》, ZKM, 카를스루에, 독일
-《미술 여행(Ars Itineris)》, 갈리시아 해양박물관, 비고, 스페인
-《구름은 무엇인가? 에네아 리기 컬렉션(Che cosa sono le nuvole? Werke aus der Sammlung Enea Righi)》,뮤세이온 현대미술관(MUSEION), 볼차노, 이탈리아
-《카시니 크루즈 2》, 더 리더, 마스트리흐트, 네덜란드
-《Contemplating the Void: Interventions in the Guggenheim Museum》,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미국
-《Cue: Artists' Videos》, 밴쿠버 미술관, 밴쿠버, 캐나다
- 밴쿠버 2010 문화 올림피아드 《Culture Shock - Video Interventions》, 퀸엘리자베스 극장, 밴쿠버, 캐나다
- 시드니 페스티벌 《다른 곳의 가장자리》, 캠벨타운 아트센터, 시드니, 호주
-《사라지는 것의 포착(Das im Entschwinden Erfasste)》, 폴크방 미술관, 에센, 독일
-《미술 여행(Ars Itineris)》, 갈리시아 해양박물관, 비고, 스페인, 순회전: 바스크 현대미술관(ARTIUM), 비토리아가스테이스, 스페인
|
| 2009 - 2011 |
-《Investigations of a Dog - Works From the Face Collection》, 순회전: 산드레토 레 레바우덴고 재단, 토리노, 이탈리아(2009-2010); 엘립스 재단, 카스카이스, 포르투갈(2010); 앙투안 드 갈베르 재단 라 메종 루즈, 파리, 프랑스(2010-2011); 마가신 3 현대미술관, 스톡홀름, 스웨덴(2011); 데스테(DESTE) 재단, 아테네, 그리스(2011) |
| 2009 - 2010 |
-《FRAGILE - 여림의 장(FRAGILE - Fields of Empathy)》, 순회전: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MAMC+), 생테티엔, 프랑스(2009); 팔라초 팔코니에리, 로마, 이탈리아(2009);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대한민국(2009-2010)
-《당신의 밝은 미래 - 12인의 한국 작가(Your Bright Future - 12 Contemporary Korean Artists from Korea)》, 순회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로스엔젤레스, 미국(2009); 휴스턴 미술관(MFAH), 휴스턴, 미국(2009-2010) |
| 2009 |
- 아트 아시아 마이애미 - 인터내셔널 아시안 컨템포러리 아트 《Truly Truthfully》, 마이애미 소호 스튜디오, 플로리다, 미국
-《Faces & Facts: Contemporary Korean art in New York》, 퀸즈 미술관, 뉴욕, 미국
-《중요한 경험》, 시칠리아 현대미술관, 팔레르모, 이탈리아
- 프란첸즈페스테 요새 《미궁 - 자유》, 프란첸즈페스테, 볼차노, 이탈리아
- 제3회 모스크바 비엔날레 《Art Against Exclusion》, 더 개러지 현대미술센터(GCCC), 모스크바, 러시아
- 제3회 ICP 사진 영상 트리엔날레 《드레스 코드》, 국제사진센터(ICP), 뉴욕, 미국
- 제4회 후쿠오카 아시안미술트리엔날레 《LIVE and LET LIVE - Creators of Tomorrow》, 후쿠오카 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예술은 시대를 말한다: 여성 예술가들의 작품, 시세이도 갤러리 90주년 특별전(Art Tells the Times, Works by Women Artists, Shiseido Gallery 90th Anniversary Exhibition)》, 시세이도 갤러리, 도쿄, 일본
- 인천 세계 여성미술 비엔날레 2009 《가까이 그리고 멀리》,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대한민국
-《집은 집이 아니다(A House is not a Home)》, 라 카펠리테리, 나젤레 네그롱, 프랑스
-《마음 속의 마음(Heart in Heart)》, 아테네 국립미술관(EMST) 아테네, 그리스
-《Universal Code》, 더 파워 플랜트, 토론토, 캐나다
-《In-finitum》, 팔라초 포르투니, 베니스, 이탈리아
- 제2회 테살로니키 비엔날레 《Praxis - Art in Times of Uncertainty》, 테살로니키 현대미술관, 테살로니키, 그리스
-《Living With...》, 라파엘라 코르테세 갤러리, 밀라노, 이탈리아
- 제5회 국제 텍스타일 비엔날레, 글라드궁,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내 인생, 천국에서 지옥으로(Mi Vida, From Heaven to Hell)》, 뮈차르노크 미술관, 부다페스트, 헝가리
-《세계의 상태 - 프랑수아 피노 재단 소장품(A Certain State of the World? - Highlights from the François Pinault Foundation’s Collection)》, 더 개러지 현대미술센터(GCCC), 모스크바, 러시아
-《The View from Elsewhere》, 순회전: 셔먼 현대미술재단(SCAF), 시드니, 호주; 퀸즐랜드 아트 갤러리 & 현대 미술관(QAGOMA), 브리즈번, 호주(2009); 호주 시네마테크, 브리즈번, 호주
-《En Découdre》, 에스파스 에큐뢰이 현대미술 재단, 툴루즈, 프랑스
|
| 2008 - 2009 |
-《새로운 아시아(Re-Imagining Asia)》, 세계 문화의 집(HKW), 베를린, 독일(2008), 순회전: 뉴 아트 갤러리, 월솔, 잉글랜드, 영국(2009) |
| 2008 |
- 제11회 카이로 국제 비엔날레 《The Other》, 오페라 하우스 예술궁전 부지, 엘게지라 아트센터, 호라이즌 원 갤러리, 카이로, 이집트
- 《아시안 덥 사진(Asian Dub Photography)》, 모데나 상호저축은행 주관, 포로 보아리오, 모데나, 이탈리아
-《Photographic Works: To Benefit the Foundation for Contemporary Arts》, 현대예술 재단(FCA), 뉴욕, 미국
-《귀환(Je reviendrai)》, 발드마른 현대미술관(MAC/VAL), 파리, 프랑스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Academia : Qui es-tu?》, 프랑스국립예술학교 예배당, 파리, 프랑스
-《Street Life: From 1950s to Now》, 브롱크스 미술관, 뉴욕, 미국
-《시간 속의 공간》, 라파브리카 갤러리, 마드리드, 스페인
-《Sehnsucht(Aspiration)》, 라이트&시 갤러리, 댈러스, 텍사스, 미국
-《Happy Vacation》, 스러스트 프로젝트, 뉴욕, 미국
-《새로운 신비주의(Nuevos Místicos)》, 카브레라 핀토 연구소, 산 크리스토발 데 라 라구나, 스페인
- 로포텐 국제 아트 페스티벌 2008 《Towards a Future Present》, 시에레라게르트, 스볼베르항구, 스볼베르, 노르웨이
-《작디작은 이야기들(Micro-Narratives)》,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MAMC+), 생테티엔, 프랑스
- 아트 쾰른 2008, 모던 앤 컨템포러리 아트페어 《Global EurAsia Special Exhibition》, 쾰른, 독일
-《시간은 본질이다: 현대 풍경미술(Time is of the Essence: Contemporary Landscape Art)》, 애슈빌 미술관, 애슈빌,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Subtil textile》, 갤러리 데 갤러리, 파리, 프랑스
-《현대 비디오 아트에서의 방황(Wandering in Contemporary Video Art)》, 마가치니 델 살레, 베니스, 이탈리아
- 트랜스미디알레 2008 《Conspire》, 세계 문화의 집(HKW), 베를린, 독일
-《Person of the Crowd - The Contemporary Art of Flânerie》, 퍼체이스 칼리지 뉴버거 미술관, 뉴욕, 미국
-《자아/타아》, 도쿄 국립근대미술관(MOMAT), 도쿄, 일본
|
| 2007 |
-《움직임/정지. 현대미술의 운동, 신체, 장소(Going Staying. Movement, Body, Place in Contemporary Art)》, 본 미술관, 본, 독일
-《한국미술, 여백의 발견》, 리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Il velo》, 현대미술 실험센터(CESAC), 카라글리오, 이탈리아
-《시간의 흐름(Passage du Temps)》, 프랑수아 피노 재단 소장품, 트리포스탈, 릴, 프랑스
-《전당포(Pawnshop)》, 러들로 스트리트 이플럭스, 뉴욕, 미국
- 제48회 10월 살롱제 《작은 이야기들(Micro Narratives)》, 베오그라드 내의 미술관, 갤러리 및 대안공간,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하이라이트 - 20세기의 사진(Momentos Estelares - Photography in the 20th Century)》, 시르쿨로 데 베야스 아르테스, 마드리드, 스페인
-《무한대의 제스처(Gestures of Infinity)》, 그라츠 미노리텐 수도원 문화센터(KULTUM), 그라츠, 오스트리아
-《재고》, 카스티야 이 레온 현대미술관(MUSAC), 레온, 스페인
-《적도의 리듬》, 스테네르센 미술관, 오슬로, 노르웨이
- 2007 프라하 현대미술제 《순간을 목격하기(Witnessing the Moment)》, 비노흐라디 극장, 프라하, 체코
-《Manifesting Emptiness》,시카고예술대학교(SAIC) 베티 라이머 갤러리, 시카고, 미국
-《인간관계의 여행(An Interpersonal Journey)》, 이스탄불 뉴 뮤지엄 오브 컨템포러리 아트, 이스탄불, 터키
-《샹그릴라 수평선》, 프락(FRAC) 로렌, 로렌, 프랑스
-《비디오 아틀라스 아메리카》, 오토메티카 - 현대미술 제작사,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아르템포: 시간이 예술이 되는 곳》, 팔라초 포르투니, 베니스, 이탈리아
-《흘려듣기(Listening Awry)》, 맥마스터대학교 미술관, 해밀턴, 캐나다
-《타임아웃! 예술과 지속가능성(Time out! Art and Sustainability)》,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From the Earth to the Moon: Metaphors for Travel (Part I), (Part II)》, 카스텔로 디 리볼리 현대미술관, 토리노, 이탈리아
-《장면과 시퀀스 - 뉴욕 피터 블룸 에디션》, 아라우 미술관 , 아라우, 스위스
-《임계질량(Critical Mass)》, 베른 쿤스트할레, 베른, 스위스
-《Speed 3: Contrarreloj / Against the clock》, 발렌시아 현대미술관(IVAM), 발렌시아, 스페인
-《Post Object》, 스카버러대학교 도리스 매카시 갤러리, 토론토, 캐나다
-《우주론(Cosmologies)》, 제임스 코헨 갤러리, 뉴욕, 미국
|
| 2006 - 2011 |
-《잃어버린 평화: 달라이 라마에 대한 작가의 생각(The Missing Peace: Artists Consider the Dalai Lama)》, 순회전: 캘리포니아대학교(UCLA) 파울러 문화사박물관, 로스앤젤레스, 미국(2006); 로욜라대학교 현대미술관, 시카고, 미국(2006); 루빈 미술관, 뉴욕, 미국(2007); 에모리대학교 시각예술 미술관, 애틀랜타, 미국(2007); 예바 부에나 아트센터, 샌프란시스코, 미국(2007); 투모로우랜드, 도쿄, 일본(2008); 카날 재단, 마드리드, 스페인(2009); 플로리다국제대학교 프로스트 미술관, 플로리다, 미국(2009-2010); 브루켄달 국립박물관, 시비우, 루마니아(2010); 노벨 박물관, 스톡홀름, 스웨덴(2010-2011); 샌안토니오 미술관, 텍사스, 미국(2011) |
| 2006 - 2008 |
-《6피트 미만 - 우리 관계의 부검(Six Feet Under - Autopsy of Our Relation to the Dead)》, 베른 미술관, 베른, 스위스(2006-2007); 순회전: 위생학박물관, 드레스덴, 독일(2007-2008) |
| 2006 - 2007 |
-《캐스퍼 데이비드 프리드리히 낭만주의의 발명》, 폴크방 미술관, 에센, 독일(2006); 순회전: 함부르크 미술관, 함부르크, 독일(2006-2007) |
| 2006 |
- 뵈르스 스하우뷔르흐, 브뤼셀, 벨기에
-《자르고 붙이기 - 새로운 정체성, 새로운 영토》, 마콜/스타인하트 센터, 뉴욕, 미국
-《Fremd bin ich eingezogen》, 쿤스트할레 프리데리치아눔, 카셀, 독일
-《제47회 10월 살롱제: 예술, 삶, 그리고 혼란》, 베오그라드 문화센터,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제2회 베이징 건축비엔날레, 중국 국립미술관, 베이징, 중국
-《Displacement》, 웨스트포트 현대미술관(MoCA CT), 웨스트포트, 코네티컷, 미국
-《Here + Now》, 엘리자베스 리치 갤러리, 포틀랜드, 미국
-《Sculptures》, 피터 블룸 갤러리, 첼시, 뉴욕, 미국
-《카나리 아일랜드 쇼: 새로운 신비주의》, 카브레라 핀토 연구소, 테네리페섬 라 라구나, 카나리제도, 스페인
-《몸과 정신》,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리히텐슈타인
-《Trans:it - NowHere Europe》, 부카레스트 국립현대미술관(MNAC), 부카레스트, 루마니아
-《예술의 끝까지 5일(5 Days Until the End of Art)》, 쿤스트할레 프리데리치아눔, 카셀, 독일
|
| 2005 - 2007 |
- 《여성(Femme(s))》, 카루주 미술관, 제네바, 스위스; 순회전: 팔라초 스트로치, 피렌체, 이탈리아(2005); 《도나 도네(Donna Donne)》, 팔라초 스트로치, 피렌체, 이탈리아(2005-2006), 《물레르 물레르스(Mulher Mulheres)》, SESC 아베니다 파울리스타, 상파울루, 브라질(2007)
|
| 2005 - 2006 |
-《Irreducible: Contemporary Short Form Video》, 순회전: 와티스 현대예술연구소(CCA), 샌프란시스코, 미국(2005); 마이애미 아트센터(MAC), 마이애미, 미국(2005); 브롱크스 미술관, 뉴욕, 미국(2005-2006) |
| 2005 |
-《INGENIO 400》, 웹 비디오 프로젝트 커미션, 라 파브리카, 마드리드, 스페인
-《물, 공기, 땅, 불: 예술과 과학의 생명의 기원(WATER, AIR, EARTH, FIRE - At the Origins of Life between Art and Science)》, 빌라 크로체 현대미술관, 제노아, 이탈리아
-《Fusion - Aspects of Asian Culture in the Musac Collection》, 카스티야 이 레온 현대미술관(MUSAC), 레온, 스페인
-《비디오 정신: 미스터리, 신화, 명상과 움직이는 이미지》, 치크우드 미술관, 내슈빌, 테네시, 미국
- 국제 요코하마 트리엔날레 2005 《아트 서커스: 일상으로부터의 점프》, 야마시타 항구 등, 요코하마, 일본
-《수평의 지각(The Perception of the Horizontal)》, 뮤세이온 현대미술관(MUSEION), 볼차노, 이탈리아
-《Modern Art from the Museum Collection》, 도쿄 국립근대미술관(MOMAT), 도쿄, 일본
- 제51회 베니스 비엔날레 《언제나 조금 더 멀리(Always a Little Further)》, 아르세날레, 베니스, 이탈리아
-《Domicile》,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MAMC+), 생테티엔, 프랑스
-《Art-Robe: Women Artists at the Nexus of Art and Fashion》, 유네스코(UNESCO) 본부, 파리, 프랑스
-《Cool & Warm》, 성곡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주는 자(The Giving Person)》, 팔라초 델라 아르티 나폴리, 나폴리, 이탈리아
-《제5 복음》, 첼레 현대미술관, 첼레, 슬로베니아
-《시간 측정(Marking Time)》,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전(LACE), 게티 센터,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WOW》, 웨스턴 브릿지, 시애틀, 미국
|
| 2004 - 2005 |
-《컨템포러리 비전, 헬가 데 알베아르 사진과 비디오 컬렉션(Contemporary Visions, Photographs and videos from the collection of Helga De Alvear)》, 바이네 알토넨 미술관(WRM), 투르쿠, 핀란드; 오울로 미술관, 오울로, 핀란드; 엑스트레마두라·이베로아메리카 현대미술관(MEIAC), 바다호스, 스페인 |
| 2004 |
-《Pro Arte Video Festival》, 예카테린부르크 국립현대미술센터(NCCA), 모스크바, 러시아
-《In Movement: UNESCO Salutes Women Video Artists of the World》, 유네스코(UNESCO), 파리, 프랑스(비디오 프로젝트)
-《5명의 예술가, 5가지 신앙: 영성과 현대미술》,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오클랜드 미술관, 채플힐,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블랙박스 - 모션의 유토피아(La Caja Negra - Utopias en Movimiento)》, 대서양 현대미술센터(CAAM), 카나리제도, 스페인
-《WOW / The Work of the Work》, 헨리 아트 갤러리, 시애틀, 미국
-《De leur temps. Collections privées Françaises》, 뮈바 외젠 르화, 투르쿠앵, 프랑스
- 2004 캘리포니아 비엔날레,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 뉴포트비치, 미국
- 제1회 우치 비엔날레, 유니온텍스(UNIONTEX) 빌딩, 우치, 폴란드
-《화가와 여행》, 서울대학교 , 서울, 대한민국
-《여전히 달을 매핑하다 - 현대미술의 원근법(Still Mapping the Moon - Perspective of Contemporary Art)》, 본 미술관, 본, 독일
-《문화 전파》, 아테네 국립현대미술관(EMST), 아테네, 그리스
-《프리마 컬처(PERMAculTURE)》, 히드라스쿨 프로젝트, 그리스 히드라
-《십계명》, 위생학박물관, 드레스덴, 독일
-《Sense & Sensibility》, CRAC 알자스, 알트키르슈, 프랑스
-《Settlements》, 생테티엔 국립현대미술관(MAMC+), 생테티엔, 프랑스
-《쿤스트 스토프(Kunst Stoff)》, 네흐크스트 센트 슈테판 갤러리, 빈, 오스트리아
-《놀이터와 장난감》, 외예 제조소, 이브리쉬르센, 프랑스
-《Éblouissement》, 쥬드폼 국립미술관, 파리, 프랑스 (비디오 프로그램)
-《홈 익스텐션》, 올버니대학교 미술관, 올버니, 미국
-《글로벌 우선순위(Global Priority)》, 샌프란시스코 아트 커미션 갤러리(SFACG), 샌프란시스코, 미국
|
| 2003 |
- 제10회 무빙 이미지 비엔날레, 제네바 현대미술센터, 제네바, 스위스
-《모션 스터디》, 로어 맨해튼 문화협회(LMCC), 뉴욕, 미국
-《고요한 아름다움》, 자메이카 예술 & 교육센터(JCAL), 뉴욕, 미국
- 리스보아 포토 《아카이브와 시뮬레이션》, 벨렘 문화센터(CCB), 리스본, 포르투갈
- 릴 2004 《플라워 파워》, 릴 보자르 미술관, 팔레 라모, 릴, 프랑스
- 국제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 러시아 에르미타주 국립미술관, 러시아 국립미술관,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금요일의 흔적 - 예술, 여행, 이동》, 펜실베이니아대학교 현대미술연구소,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미국
-《이주》, 리히텐슈타인 미술관, 리히텐슈타인
-《군중 - 고독》, 아르바이츠/게마인샤프트(Ar/ge) 쿤스트, 볼차노, 이탈리아
- 제2회 발렌시아 비엔날레《이상적인 도시》, 발렌시아 도시 내 중심지, 발렌시아, 스페인
-《Himmelschwer》, 순회전: 요아네움 주립미술관, 그라츠, 오스트리아; 브란츠 미술관, 오덴세, 덴마크
-《주목받는 독서(Spotlight Readings)》, 더 키친, 뉴욕, 미국
-《마인드 스페이스》, 호암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제6회 국제 사진 페스티벌 포토에스파냐 《정체성과 타자성》, 시르쿨로 드 벨라 아르테스, 마드리드, 스페인
-《Walking in the City: Spatial Practices in Art, from the Mid-1960s to the Present》, 아펙스 아트, 뉴욕, 미국, 순회전: 쿤스트할레 프리데리치아눔, 카셀, 독일
|
| 2002 |
-《교차 문화》, 뮈르츠슐라크 쿤스트하우스, 뮈르츠슐라크, 오스트리아
-《새벽, 빅토르 위고에 대한 공상(Aubes, Réveries au bord de Victor Hugo)》, 빅토르 위고의 집, 파리, 프랑스
- 제3회 부산비엔날레 《문화에서 문화로》,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대한민국
- 리버풀 비엔날레 《함께 바다와 하늘 보기(Watching Ocean and Sky Together)》, 포스 월, 리버풀, 영국
- 엑스-엑스포(Ex-Expo) 2002 《돈과 가치》, 스위스 국립은행(SNB), 베른, 스위스
- 도카치 국제 현대미술전 《데메테르(Demeter)》, 오비히로 경마장 및 오비히로 각지, 오비히로, 일본
- 제2회 사진·영상 페스티벌 《지금, 사진은》, 가나아트센터 및 토탈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템포(Tempo)》, 뉴욕 현대미술관 퀸즈(MOMA QNS), 퀸즈, 뉴욕, 미국
-《난민(Refuge)》, 헤니 온스타드 아트센터, 오슬로, 노르웨이
-《물의 기억》, 제26회 미국 스폴레토 페스티벌, 찰스턴,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 제71회 휘트니 비엔날레, 센트럴 파크, 뉴욕, 미국
-《행동 지침》, 빈 쿤스트할레, 빈, 오스트리아
|
| 2001 |
-《Girls in the Image》, 서호주 미술관(AGWA), 퍼스, 호주
-《유랑》, 스마트 프로젝트 스페이스,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Antro-a-Policías》, 루이스 아델란타도 갤러리, 발렌시아, 스페인
-《스크린으로의 길에서》, 센트럴 하우스 오브 아티스트(CHA), 모스크바, 러시아
-《아시아 현대미술》, 듀크대학교 내셔 미술관,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바늘귀로 본 예술》, 헤니 온스타드 아트센터, 회비코덴, 노르웨이
-《언리얼타임비디오》,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갤러리 파우르슈 1986-2001》, 파우르슈 갤러리, 코펜하겐, 덴마크
-《ARS 01: UNFOLDING PERSPECTIVES》, 키아스마 현대미술관(KIASMA), 헬싱키, 핀란드
-《Looking at You》, 쿤스트할레 프리데리치아눔, 카셀, 독일
- 제49회 베니스 비엔날레 《Markers - Art and Poetry in Venice》, 베니스, 이탈리아
-《이마고 문디(Imago Mundi)》,보르도 현대미술관(CAPC), 보르도, 프랑스
-《분실물 보관소(Lost And Found)》, 아펙스아트, 뉴욕, 미국
-《Subject Plural: Crowds in Contemporary Art》, 휴스턴 현대미술관, 텍사스, 미국
|
| 2000 - 2001 |
-《하이퍼멘탈: 현실과 내면사이 1950-2000, 살바도르 달리에서 제프 쿤스까지》, 순회전: 취리히 쿤스트하우스, 취리히, 스위스(2000); 함부르크 쿤스트할레, 함부르크, 독일(2001) |
| 2000 |
-《난민 아동을 위한 놀이터와 장난감(Playground & Toys for Refugee Children)》, 국제적십자·적신월 박물관, 제네바, 스위스; 뉴욕, 미국
-《예술과 사회현실》, 유엔난민기구(UNHCR), 제네바, 스위스
-《돌연변이(Mutations)》, 아르크 앙 레브 건축문화센터, 보르도, 프랑스
- 제2회 타이베이 비엔날레 《The Sky is the Limit》, 타이베이 시립미술관, 타이베이, 대만
- 제1회 에치고 - 츠마리, 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2000, 에치고 - 츠마리, 츠마리, 일본
- 제5회 리옹 비엔날레 《이국 취향의 공유(Partage d'Exotismes)》, 토니 가르니에홀, 리옹, 프랑스
-《이곳에서 저곳까지》, 슐로스 솔리튜드 아카데미, 슈투트가르트, 독일
-《오늘의 한국조각 2000 - 새로운 차원을 찾아서》, 모란미술관, 남양주, 대한민국
- 제3회 광주비엔날레 《인간과 성》, 중외공원, 광주, 대한민국
-《드라이브》, 고벳-브루스터 아트 갤러리, 뉴플리머스,뉴질랜드
-《존재의 가벼움》, DC 무어 갤러리, 뉴욕, 미국
|
| 1999 |
-《ArtWorlds in Dialogue - from Gauguin to Global Contemporary Art, Global Art Rhineland 2000》, 루트비히 박물관, 쾰른, 독일
- 제3회 아시아태평양 현대미술 트리엔날레 《Beyond the Future*》, 퀸즐랜드 아트 갤러리, 브리즈번, 호주
- 제48회 베니스 비엔날레 《모든 것에 개방된》, 자르디니 디 카스텔로 & 아르세날레, 베니스, 이탈리아
|
| 1998 - 2000 |
-《느림》, 순회전(교류전):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멜버른, 호주(1998-1999); 뉴사우스웨일스 아트 갤러리, 시드니, 호주,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멜버른, 호주(1998-1999); 아트선재센터, 경주, 대한민국(2000) |
| 1998 |
-《중재》, 순회전: 에드스빅 아트센터, 스톡홀름, 스웨덴; 에스토니아 미술관, 탈린, 에스토니아
-《워밍(Warming)》, 더 프로젝트, 뉴욕, 미국
-《98한국현대미술전 - 시간》, 호암미술관, 용인, 대한민국
-《프레임》, 금호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제24회 상파울루 비엔날레 《Cultural Anthropophagy》, 이비라푸에라 공원 & 시실로 마타라조 파빌리온, 상파울루, 브라질
- 제11회 시드니 비엔날레 《Everyday》, 호주 현대미술관(MCA), 시드니, 호주
-《느슨한 실》, 서펜타인 갤러리, 런던, 영국
-《반향》, 쿤스트할레 프리데리치아눔, 카셀, 독일
-《미디어와 사이트》,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대한민국
|
| 1997 - 1999 |
-《움직이는 도시 Cities on the Move》, 순회전: 제체시온, 빈, 오스트리아(1997); 보르도 현대미술관(CAPC), 보르도, 프랑스(1998); 뉴욕 현대미술관(MoMA) P.S.1, 뉴욕, 미국(1998); 루이지애나 미술관, 코펜하겐, 덴마크(1999); 헤이워드 갤러리, 런던, 영국(1999); 방콕 도심, 방콕, 타이(1999); 키아스마 현대미술관(KIASMA), 헬싱키, 핀란드(1999) |
| 1997 |
-《Asian Art Today - Fukuoka Annual Ⅹ Hanh Thi Pham A Vietnamese: Her Body in Revolt》, 후쿠오카 시립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 제5회 이스탄불 비엔날레 《삶, 아름다움, 번안, 그리고 고난들》, 이스탄불, 터키
-《De-Genderism》, 세타가야 미술관, 도쿄, 일본
|
| 1996 - 1998 |
-《전동/긴장(Traditions / Tensions)》, 순회전: 아시아 소사이어티, 뉴욕, 미국; 그레이 아트 갤러리, 뉴욕, 미국; 퀸즈 미술관, 뉴욕, 미국(1996-1997); 밴쿠버 미술관, 밴쿠버, 캐나다; 서호주 미술관, 퍼스, 호주(1998) |
| 1996 |
-《홈/살롱》, 클락 타워 갤러리, 뉴욕, 미국
-《199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경향》, 도쿄 국립근대미술관, 도쿄, 일본; 오사카 국제미술관, 오사카, 일본
-《의식》, 아펙스아트, 뉴욕, 미국
-《절규: 보레알리스 8》, 아르켄 현대미술관, 코펜하겐, 덴마크
-《포용/배제》, 라이닝하우스 & 쿤스트하우스, 그라츠, 오스트리아
-《마니페스타 1》, 보이만스 판 뵈닝언 미술관, 로테르담, 네덜란드 |
| 1995 - 1996 |
-《호랑이의 꼬리: ` 95 베니스 한국현대미술 15인전》, 순회전: 카르미니 밴드라민 궁전, 베니스, 이탈리아(1995);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한민국(1996)
-《노동의 영역: 현대여성미술》, 순회전: 브롱크스 미술관, 뉴욕, 미국(1995);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 로스앤젤레스, 미국(1996) |
| 1995 |
-《Do It / TV version》, 뮤지엄 인 프로그레스, 비엔나, 오스트리아
- 제6회 소형조각트리엔날레, 슈드위스트 LB, 슈투트가르트, 독일
-《Stage work for Drawing the Sound》, 환기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뮤지엄 시티 프로젝트 1990-200X》, 뮤지엄 시티 프로젝트, 후쿠오카, 일본
- 제16회 국제 청동 & 소형조각비엔날레, 팔라초 델라 라조네, 파도바, 이탈리아
-《Information and Reality》, 프루트마켓 갤러리,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제1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한국 현대미술의 오늘》,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광주, 대한민국
-《자화상》,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공간의 반란 : 한국의 입체·설치·퍼포먼스 1967~1995》,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환류: 한·일 현대미술제》, 아이치 현립미술관 및 나고야 시립미술관, 나고야, 일본
-《제20회 에꼴 드 서울》, 관훈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 1994 |
-《제19회 에꼴 드 서울》, 관훈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여성, 그 다름과 힘》, 한국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 1993 |
-《In Their Own Images: The 1992-1993 Studio Artists Exhibition》, 뉴욕 현대미술관(MoMA) P.S.1 현대미술센터, 뉴욕, 미국
-《무역로》, 뉴 뮤지엄, 뉴욕, 미국
-《Semblances》, ISE 미술재단, 뉴욕, 미국 |
| 1992 |
-《Wind, Cloth, Grass》, 트라이앵글 워크숍, 파인 플레인스, 뉴욕, 미국
- 《'92 한국현대미술전》, 덕원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제17회 에꼴 드 서울》, 관훈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Cross Section of Contemporary Korean Art》, 표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 1991 |
-《10인의 한국 여성 작가》, 국립여성예술가미술관, 워싱턴 D.C., 미국;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한국 현대미술 개관전》, 선재미술관, 경주, 대한민국
-《제10회 홍익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 1990 |
-《임팩트 3 90 (Impact 3 90)》, 갤러리 유마니테, 도쿄, 일본
-《뜻·밖·의 전시회》, 토탈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서울》, 정남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소나무갤러리 개관기념 기획 초대전 《호랑이에서 돼지까지(The 64 Artists Born in The Fifties)》, 소나무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 1989 |
-《베를린 국제현대 미술제》, 베를린 시립미술관, 베를린, 독일
-《청년작가》, 무역센터 현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80년대의 여성미술전》, 금호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Korea 16 Contemporary Women Artists》, 주프랑스 한국문화원, 파리, 프랑스; 로호 갤러리, 베를린, 독일
-《13 Artists Exhibition》, 백송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
| 1988 |
-《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한민국
-《현대작가 60인 초대전》, 하나로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 1987 |
-《제8회 국제 임팩트 미술제》, 교토 시립미술관, 교토, 일본
-《한국 현대미술최전선》, 관훈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비정형》, 수화랑, 서울, 대한민국
-《Art on T-Shirt》, 힐튼호텔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상, 하》, 관훈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NEO NOW》, 백송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제13회 서울현대미술제》,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제13회 앙데팡당》,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한민국 |
| 1986 |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석사학위 청구전》, 동방플라자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제12회 서울현대미술제》,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
| 1985 |
-《1984-1985 프랑스 정부장학생전》, 베르나노스 갤러리, 파리,프랑스 |
| 1984 |
-《한국현대미술제》, 타이베이 시립미술관, 타이베이, 대만
-《한국현대미술 15인의 여류전》, 관훈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 1983 |
-《제10회 앙데팡당》,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서울, 대한민국
-《83 서울 국제 드로잉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From '83-10 Artists' Exhibition》, 아티스트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물성, 그 새로운 존재방식》, 청년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제1회 청년미술대상전》, 청년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 1982 |
-《제9회 홍익판화 그룹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
| 1981 |
-《제8회 홍익판화 그룹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
| 1980 |
-《제7회 홍익판화 그룹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
| 1979 |
-《제6회 홍익판화 그룹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제7회 앙데팡당》,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서울, 대한민국 |
| 1978 |
-《제6회 앙데팡당》,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서울, 대한민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