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이경진 │ 45년의 예술 여정, 아티스트 김수자의 깊고 긴 숨.
2024
Volga Serin Suleymanoglu │ Kimsooja Discusses the Intriguing Stories Behind Her Art
2024
유선애 │ Kimsooja Universe
2024
Yu Seon Ae │ Kimsooja Universe
2024
Kim Hong-hee │ Confront and Deconstruct - Nomadism
2024
김홍희 │ 한국 여성 미술가들의 저항과 탈주 - 노마디즘
2024
Emma Lavigne │ Kimsooja, To Breathe – Constellation
2024
Lilly Wei │ Kimsooja: Meta-Painting
2024
Kyoo Lee │ Kimsooja: On n On - Nine Threads on Kimsooja’s Pivottari, Its Ongoing Archival Reaches and Resonances
2024
규 리 │ 김수자: On n On - 김수자의 ‘보따리’, 그 현재 진행형 아카이브의 성취와 반향에 관한 아홉 가닥의 사유
2024
이경진
지난가을 일본 후쿠오카를 방문했더군요. 그곳 우치하마 중학교 학생들과 대화하고 박수받으며 퇴장하는 영상을 봤습니다. 뭉클했어요. 약 45년간 활동해 온 예술가 입장에서 학생들에게 전하고 싶었던 말이 있었나요?
김수자
제 작업을 600명의 학생에게 소개하는 자리였어요. 따뜻하고 감동적이었죠. 내게 주어진 1시간이 누군가에게는 오랫동안 남을 기억이 돼 영감을 주고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의미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조언을 해야 할 자리가 생기면 늘 꿈을 포기하지 말고 위험을 감수하라는 얘기를 합니다. 젊은 작가들을 만나도 두려워하지 말라고 하죠. 물론 분별이 있어야겠지만, 무엇보다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가는 힘이 필요해요. 이번 경험을 통해 저도 옛 생각을 하게 됐어요. 학생 때 접했던 새로운 경험은 훨씬 오래 기억에 남는 것 같습니다. 대학에 들어가 처음 미술관에 갔던 일, 프랑스 작가 클로드 비알라(Claude Viallat)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한 강의를 들었던 순간처럼요. 그보다 더 어릴 땐 아버지의 군 복무로 방방곡곡을 떠돌며 유목민 생활을 했고, 미술관 방문이나 미술과 관련된 경험이 전혀 없었습니다.
이경진
미술가라는 역할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건 무엇 때문이었을까요?
김수자
문학과 음악을 비롯해 여러 방면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중 미술을 택한 건 은퇴 없이 지속적으로 삶을 사유하고 반영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성악을 전공한 어머니, 작곡을 공부한 동생을 비롯해 음악인이 많은 가정이라 성악 같은 음악 분야가 저에게는 더 가까운 진로일 수도 있었죠. 하지만 성악은 신체와 나이의 한계가 있으니 전 생애에 걸쳐 예술 의지를 불태우기에는 활동 가능한 기간이 짧다고 느껴졌어요.
이경진
긴 호흡의 예술 활동으로서 미술을 꿈꿨군요.
김수자
항상 미술을 사색하고 응시하는 행위라고 생각했어요. 삶과 예술을 사유하는 긴 호흡의 활동으로 미술을 택했던 것 같아요.
이경진
“삶과 예술의 토털리티(Totality)에 도달하고 싶다”고 자주 얘기해 왔어요. 미술가가 되지 않았으면 종교인이 됐을 거라는 말도 한 적 있습니다.
김수자
특히 휴머니즘에 관심이 있었어요. 빈곤으로 고통받는 사람들, 신체적 · 정서적으로 취약하고 연약한 상태, 전쟁 혹은 어떤 부당함. 그 속에 있는 사람들을 늘 생각했습니다. 고등학교 땐 내가 따뜻한 집에서 따뜻한 밥을 먹는 데 죄책감을 느꼈어요. 그런 면에 민감했죠. 고등학교를 그만두고 채석장으로 가려는 마음도 먹었습니다. 삶의 터전에서 고통을 겪는 이들과 함께 힘듦을 나누고 도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고, 스스로 많이 괴로워했어요.
이경진
괴로움을 기꺼이 겪으며 타인의 고통을 응시하게 된 계기가 있었을까요?
김수자
글쎄요. 자연스럽게 그리 됐어요. 정현종 선생님의 시 ‘고통의 축제’ 구절이 내면에 잠재된 시절이었죠. 저는 타인의 고통 때문에 너무 고통스러웠어요.
이경진
올해도 예술적으로 의미 있는 일이 빼곡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많은 관람객이 방문한 파리 부르스 드 코메르스-피노
컬렉션에 펼친 전시가 있었죠. <엘르>는 올해를 빛낸 이름을 조명하는 ‘엘르 스타일 어워즈 2024’에서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해 무대로 모시기도 했고요.
김수자
밀도 있는 성취감을 느낀 해였습니다. 상반기에 중요한 프로젝트를 여러 개 마쳤고, 모두 잘 구현돼 기분 좋았어요. 각 사이트에 맞게 새로운 언어를 채굴하는 작업이었죠.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울라 사막에 설치한 ‘To Breathe-AlUla’ 프로젝트도 그랬고, 파리 피노 컬렉션의 로툰다 홀 작업은 미니 회고전 같은 전시였기 때문에 제 작업을 관통하는 ‘보따리’ 컨셉트의 총체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어요. 메츠 성당(Metz Cathedral)에 스테인드글라스로 영구 설치한 작업의 프로토타입을 다시 악셀 베르보르트에서 전시할 기회도 있었고요. 탄야 보나크다르(Tanya Bonakdar) 갤러리와 함께 20년 만에 뉴욕에서 개인전을 열어 그간 의미 있는 작업을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이경진
피노 컬렉션 로툰다 홀을 채운 작품 ‘호흡-별자리 To Breathe-Constellation’는 이제껏 싸매온 ‘보따리’ 컨셉트를 건축물로 전환시킨 작업이었습니다. 그런 면에서 상징적인 레이나 소피아 크리스털 팰리스(Crystal Palace, Museo de National Reina Sofia)의 작업 ‘To Breathe-Mirror Woman’이 연상됐어요. 숨과 호흡은 김수자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김수자
페인터로 작업을 시작한 1970년대부터 저에겐 캔버스가 하나의 질문이었어요. 캔버스의 표면이나 구조를 고민했죠. 캔버스는 회화에 있어 대상이자, 다른 타자이자 그 자신이고, 항상 대립이 있는 대상이었어요. 정면으로 맞서면 동시에 뒷면을 꿰뚫어보고 싶은 의지를 느끼게 했죠. 캔버스의 표면은 하나의 보더(Border)이기도 하고, 벽이기도 해서 바느질이라는 방법론으로 그 깊이를 가늠하고 이어가는 작업을 1980년대 초부터 이어왔어요. 바느질에는 이원론적인 면이 있죠. 안과 밖을 들락거리고, 매스큘린하면서도 페미닌하고, 공격적인 한편으로는 치유하고, 두 개로 갈라진 틈새를 이어줍니다. 2004년 폴란드의 우치 비엔날레(Ƚódź Biennale)에서 과거 텍스타일 공장이었던 빈 공간이 저에게 주어졌습니다. 그곳에 들어서는 순간 직조 기계들의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고, 순간적으로 제 몸이 생생하게 의식됐어요. ‘숨 쉬는 일이 곧 직조 행위구나.’
이경진
그렇게 ‘더 위빙 팩토리(The Weaving Factory)’라는 작품을 처음으로 그 공간을 위해 선보였습니다. 다양한 속도와 강도, 깊이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소리를 공간에 채웠어요.
김수자
2004년의 일이에요. 이후에는 2006년 초에 베니스의 오페라 극장 라 페니체(La Fenice)가 불에 탄 뒤 다시 오픈할 때 무대 위 스크린에 프로젝션 작업 커미션을 받았어요. 그때 오페라 극장인 라 페니체의 성격을 생각했죠. 노래라는 것 역시 ‘숨’이 확장돼 발생한, 문학적 내러티브가 있는 예술 형태잖아요. 숨을 다시 연결해서 생각하게 됐습니다. 사운드를 설치하고 스크린에 비디오 프로젝션을 했는데 디지털 컬러 스펙트럼이 계속 루핑되는 화면이었어요. 제가 주목한 부분은 그 프로젝션 작업에서 과연 평면은 어디에 있는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의 시각, 응시하는 행위도 하나의 ‘바느질(Needling)’로 이해하게 됐습니다. 그렇게 처음으로 ‘To Breathe’라는 타이틀을 사용했어요. 같은 해 크리스털 팰리스에서 선보인 ‘To Breathe-A Mirror Woman’은 건축 공간을 하나의 보따리로 보면서 내외부 공간을 나누고, 실제와 버추얼한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거울 표면,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는 숨, 날숨과 들숨 같은 것을 공간에 설치한 겁니다. 숨은 무엇보다 우리 존재가 나선 여행길의 시작과 끝입니다. 숨의 지속성은 삶의 지속성과 연결돼 있습니다. 제가 발전시켜 온 삶과 세계의 이중 구조를 통한 반영. 거기에서 드러나는 해답들. 이를 넘어서는 어떤 피안의 세계. 이런 것에 던져온 질문이 ‘숨’이라는 개념과 맞닥뜨려진 것 같아요.
이경진
피노 컬렉션에서 관객들이 ‘호흡-별자리’를 경험하는 모습도 장관이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을 작품 속으로 끌어왔고, 아마도 모든 관객은 김수자의 비밀스러운 퍼포머였겠죠.
김수자
싸매는 행위를 하지 않고 보따리를 싼 거죠. 다만 이번에는 옷이 아니라 휴머니티로요. 제가 그걸 퍼포먼스라고 발표한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관람객 각자의 개성과 프라이버시가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저는 그들을 한 사람 한 사람 눈여겨보며 즐겼고, 기대보다 액티브한 리액션이 나와서 사실 놀랐어요. 많은 이가 그 공간 안에서 자신의 존재성을 다시 재인식하고 가늠해 봤죠.
이경진
이 작품으로 촉발된 새 질문이 있나요?
김수자
로툰다 홀의 ‘호흡-별자리’ 작업을 하며 보따리 컨셉트에 연관될 수 있는 24개의 작품을 24개의 비트린(유리 전시장)에 설치했어요. 퍼포먼스도 있고, 한지를 손으로 쥐었다 펼친 작업도 있었죠. 로툰다 홀에 거울을 설치하여 발아래에 다시 돔이 시각적 ‘보이드(Void)’를 창조하였어요. 우리가 달항아리를 제작할 때 두 점의 베이스를 사용하는 것과 같죠. 두 개의 돔을 엎어 연결하는 행위가 되잖아요. 베이스와 베이스가 서로 맞닿는 경계는 바로 거울이고요. 굉장히 큰 깨달음이었어요. 경계의 만남, 어둠과 보이드의 관계, 거울과 보이드의 관계. 양자적 관계성이 지금도 큰 물음으로 남아 있어요.
이경진
공간 요소를 새로 제작하는 작업이 아닌 주어진 공간 조건 속에서 최소한으로 개입해 최대한의 경험으로 응답한다는 입장으로 작업을 지속해 왔습니다. 이는 어떤 물음에 대한 답이었나요? 또 결국 ‘보따리’가 김수자에게 중요한 컨셉트가 될 수 있었던 첫 번째 지점은 무엇이었는지요?
김수자
보따리는 이미 존재하는 오브제라는 점이에요. 이미 존재하는 사물의 의미를 끊임없이 채굴하고 드러내는 일이 그동안의 제 작업이었습니다. 그 근간에 결정적 영향을 준 존 케이지(John Cage)가 1985년 파리 비엔날레에서 시연한 작업을 하나 본 거죠. 그의 사운드 피스를 듣기 위해 6m 길이의 빈 컨테이너에 들어갔지만,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어요. 측면에 적힌 간단한 구절이 있었습니다. “Que vous essayez de le faire ou pas, le son est entendu.(만드려고 하든 안 하든, 소리는 들립니다.)” 저는 완전히 충격받았어요. 이제까지 예술은 다 만드는 것이었는데, 그는 만들지 않음으로써 자신의 작업을 전했죠. 그때부터 어떻게 만들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지, 있는 것은 그대로 두되 새로운 것을 볼 수 있게 하는 일에 지속적으로 천착했죠. 최소한의 행위나 오브제를 공간에 남기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이면서 새로운 의미나 개념을 전달할 수 있는 작업을 지속해 온 거예요.
이경진
보따리 작업은 긴 시간 다변화되고 확장돼 왔습니다. 최근 메타 페인팅 작품을 선보이고 있죠. 페인터의 지점으로 다시 회귀한 걸까요?
김수자
페인터로 커리어를 시작했고, 실험해 왔기 때문에 항상 열정의 본질과 시작점은 페인팅에 있습니다. 보따리도 저에게 사실 하나의 페인팅이죠. 이불보 자체는 페인팅인데 싸는 행위는 퍼포먼스이고, 싸여 있는 형태는 조각이고 설치 혹은 오브제이기도 합니다. 그것 자체가 어떤 결정체로서 질문과 해답을 갖고 있어요. 메타 페인팅은 일련의 순환적 실험을 통해 다시 돌아간 지점이죠. 넓은 땅에 아마씨를 뿌렸어요. 리넨 캔버스 섬유와 린시드 오일의 재료가 되는 아마씨 오일을 얻을 수 있는 씨를 뿌리고, 수확해서 오일도 만들고, 섬유도 만들어 리넨 캔버스 천을 짰습니다. 직접 짠 것은 아니고 주변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았죠. 다시 회화의 본질로 돌아가는 작업의 시작이었어요. 더불어 ‘만들지 않음(Non-making)’의 태도와 방향성으로 되돌아가는, 새로운 목적지이자 출발점이에요.
이경진
오늘 저희가 만난, 서울에 마련된 작은 전시공간을 채운 이 블랙 페인팅도 같은 맥락인가요?
김수자
리넨 캔버스는 서구 회화의 가장 중요한 재료이지요. 여기에 스프레이한 검은 안료는 그 물질성을 최대한 제거하는, 더 이상의 블랙이 없는 ‘블래키스트 블랙’에 준하는 페인팅 재료예요. 거의 리플렉션이 없는데, 수많은 레이어의 스프레이 작업을 통해 안착된 스프레이 안료들을 가까이 보면 여전히 수많은 공간이 있죠. 바늘구멍 같아요. 공간이 어떻게 바늘구멍이 될 수 있을까요? 바늘구멍은 어떻게 공간으로 이뤄질 수 있을까요? 그 어둠의 캔버스를 바닥에 세우니 작업이 묘비처럼 느껴지더라고요. 개인의 묘비명이거나 페인팅으로 이뤄진 어둠의 보따리 혹은 보따리에 들어 있는 어두운 공간인지도 모릅니다. 이 역시 뭔가를 드러내지 않고, 최소한의 행위로 새롭게 생성되는 것이 현재 가장 흥미로운 지점이에요.
이경진
한 인터뷰에서 “결과를 빨리 보려고 하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한 적 있어요. 1999년 뉴욕으로 이주하며 문화적 망명자를 자처한 것처럼 쉽고 어려운 것이 놓인 선택의 기로에서 늘 후자를 택한 것 같습니다.
김수자
결혼 초기에도 우리 부부는 소록도행을 택했어요. 그들과 함께 살면서 정신과 의사였던 남편은 봉사를 했고 저는 관망자로 살았죠. 인생의 선택도 마찬가지였어요. 뉴욕으로 이주하며 가족과 분리된 삶을 20년간 지속해 온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작가로서 판매에 관심도 없고, 작업 그 자체에만 몰두했죠. 제 성향대로 살아온 것 같아요.
이경진
“다른 사람의 고통이 너무 고통스러워서 괴로웠다”는 말을 오래 기억할 것 같아요. 고난을 선택하고 역경에 맞서는 방식으로 살아온 삶을 통해 괴로움이 좀 덜어졌는지 궁금합니다.
김수자
지금도 전쟁이나 기아, 폭력을 접하기란 참 힘듭니다. 근래에는 이를 작업으로 표현하는 단계에서 조금 벗어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광주 비엔날레에 헌사하거나, 일본에서 큰 쓰나미가 일어난 후 그곳의 옷을 가져와 보따리를 싼다든가 하면서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헌옷과 보따리 설치미술 작업을 했어요. 이제는 이를 초월하는 상태에 관심이 많아요. 순수한 미학과 추상성을 더 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경진
약 45년의 예술 인생 내내 상업적이지 않은 영역을 걸어왔습니다. 그 치열하고 긴긴 세월을 지탱해 준 건 무엇이었나요?
김수자
자신을 믿었던 것 같아요. 오래전 클로드 비알라가 예술은 예술적 의지나 열망, 욕망이 주도한다는 이야기를 한 적 있는데, 저도 그런 욕망을 믿는 편이에요. 보통의 일상에서는 다소 부족하지만 예술적 에너지, 나라는 존재가 우주
와 맞닥뜨리는 지점에선 신뢰가 있었죠. 그런 우주의 에너지를 믿었어요.
─ ELLE Magazine Korea, Decempber 2024, pp. 98-103.
2024
The world-renowned artist Kimsooja, known for her profound explorations of identity, culture, and spirituality, continues to captivate audiences with her impactful projects and thought-provoking installations. In a recent conversation, we delved into her artistic journey and career, discussing the influences that have shaped her work and the messages she wishes to convey through her art. From her unique perspectives on Korean heritage to her innovative approach to conceptual art, Kimsooja offers insights that illuminate her creative process and vision. She also shared, for the first time, some exciting details about new exhibitions she’s planning for next year.
Volga Serin Suleymanoglu
Could you please briefly introduce yourself?
Kimsooja
I am Kimsooja, a conceptual Korean artist currently living and working in Seoul.
Volga Serin Suleymanoglu
What kind of childhood did you have that inspired you to become an artist?
Kimsooja
My childhood inspired me more gradually, and only later in life did I become aware of how my daily life and activities of my childhood could be translated into an artistic vocabulary. In other words, rather than my childhood inspiring me to be an artist, it is now, as an artist, that I reflect back on those memories. Becoming an artist felt like it was in my blood. I grew up near the DMZ, with a nomadic lifestyle due to my father’s military service, which left me with rich sensory memories that find their way into my work.
Volga Serin Suleymanoglu
What are the elements of your art?
Kimsooja
I use various media to explore concepts in unique ways. For instance, I use bed covers for “bottari” (bundles) and filming as an immaterial wrapping method, capturing the reality of humanity and nature. Each medium, from textiles to video, unfolds different dimensions of universality and broadens the concepts within each work. Physicality in my work also reveals the void and spirituality inherent in life’s ephemeral moments.
Volga Serin Suleymanoglu
What role do fabrics play in expressing your art?
Kimsooja
Fabrics are like a second skin, carrying bodily memories. Traditional Korean bed covers, with their symbolic embroidery and patterns, represent unfulfilled desires, love, solitude, and even death. The bed becomes a frame for existence, holding memories that resonate deeply in my work.
Volga Serin Suleymanoglu
Could you tell us about some important memories from your early childhood that had a defining impact on your life and views as an artist?
Kimsooja
One day while sewing a traditional bedspread with my mother, I felt an energy surge as I observed how the needle pierced the fabric. This “revelation” pointed me toward the structural simplicity of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foundational to various life systems. It was a defining moment, showing me the deeper cross-structures in nature, mind, and artistic practice, which still influence my work.
Volga Serin Suleymanoglu
Your “bottari” works are quite fascinating. What inspired you to focus on “bottari” and how has this idea evolved over time?
Kimsooja
Since working on sewing practice during the early 80s, keeping “bottari” had always been part of the scene in my studio or at home for storing small objects or fabric scraps. It got transformed into a total art form while I was at P.S.1 Studio in New York in 1992. It became a sculpture, a painting, and a performance all in one. Over time, “bottari” has grown from bundles on a truck to architectural installations like the “Crystal Palace” in Madrid. Each evolution explores new ways of wrapping and unwrapping, mirroring life’s complexity through a simple form.
Volga Serin Suleymanoglu
What is the story behind combining your name into a single word, from Kim Soo-Ja to “Kimsooja”?
Kimsooja
A name often carries a deep sense of self-identity and, in my case, layers of history. My grandfather, who had hoped for a grandson, gave me the name Soo-Ja—a name with a strong, traditionally female sound in Japanese. My parents considered changing it, but ultimately respected his choice. Over time, I discovered even more meanings hidden within my name. While filming “Mumbai: A Laundry Field” in a Mumbai slum in 2007, I learned that in Hindi,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Sooja” translates to "a needle," particularly a large, 30 cm needle used for sewing mattresses. This unexpected meaning left me speechless, almost as if I were a needle stitching together stories across cultures.
My family heritage also plays a role. The Kim clan to which I belong, specifically the "Samhyun branch," is believed to be descended from King Suro, the founder of the Gaya dynasty (45–562 CE) in southeastern Korea. King Suro married Queen Hur, an Indian princess from Ayodhya, who is credited with introducing Buddhism to Korea. Embracing the combined name "Kimsooja" allowed me to weave these fragments of history, culture, and personal identity into one unified expression.
Volga Serin Suleymanoglu
The 'A Needle Woman' video series is captivating. What emotions did you experience while shooting it, what were the biggest challenges, and how did you feel once the project was completed?
Kimsooja
"A Needle Woman” was a series of performance videos shot from 1999 to 2009 in crowded cities worldwide, capturing my solitude amidst social conflict. Some moments were challenging, particularly in areas with strong economic or religious tensions. Witnessing humanity’s ephemerality and suffer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cross many places was a truly transformative experience for me, filling me with compassion and broader perspectives on existence.
Volga Serin Suleymanoglu
How have Korean women and their stories influenced you?
Kimsooja
For me, initially, “bottari” was just an aesthetic object, not a social one, but when I returned to Korea, I saw women’s roles as the mothers, wives or daughters under a new lens. Korean women’s resilience in the face of social constraints inspired me to work with entire used garments within “bottari”, rather than cutting them before placing them inside, revealing the realities of the human body and life stories. This allowed me to present “bottari” as something so much more than an aesthetic component.
Volga Serin Suleymanoglu
How did the artwork 'Archive of Mind,' which was comple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many visitors to the exhibition, come about?
Kimsooja
“Archive of Mind” emerged from a contribution to Yoko Ono’s Water Event in 2016. I realized that shaping a clay sphere could be a communal, meditative act, where visitors could share in the experience of creation. This interactive process allowed for a collective exploration of physical, geometric, and spiritual aspects of art.
Volga Serin Suleymanoglu
In your piece 'To Breathe – Constellation' exhibited at the Bourse de Commerce - Pinault Collection in Paris, France, what message are you trying to convey to the diverse visitors from different ethnic backgrounds?
Kimsooja
“To Breathe- Constellation” uses a mirror floor to create a wholeness in space, merging reality and illusion within the architecture of the marvelous dome in that space. Visitors,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become performers, looking, walking, sitting, posing, dancing, exploring their own reflections and engaging with existential questions in a shared, universal space. This piece dissolves boundaries, emphasizing the unity of human experience.
Volga Serin Suleymanoglu
What advice would you give to young artists?
Kimsooja
My advice is to keep moving forward, taking risks confidently, no matter what challenges or untruths may exist in the art world. Trust that your art will prove itself in time, and stay true to who you are and the world you live in.
Volga Serin Suleymanoglu
For those who wish to study or explore art in Korea, what aspects of Korean culture and art would you recommend they look into and learn about?
Kimsooja
Rather than focusing on specific aspects, I’d recommend fully immersing yourself in Korea—experiencing everything from its society, language, and food to its unique philosophy, humble beauty, and natural landscapes. Encounter the spirit of the “Seonbi” (a learned scholar’s ethos) and absorb the complexities and passion that define this place. It is an incredibly rich source of inspiration.
Volga Serin Suleymanoglu
What projects are you planning for the future? Could you share a bit about them with us?
Kimsooja
I will continue to contemplate current questions I have from different specific sites, themes of exhibitions, or biennales, exploring, answering, or questioning back to each of them. In this journey, I am planning to unveil a site-specific project for the main rotunda of the prestigious San Giorgio di Maggiore in Venice during the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2025, followed by another site-specific project for the Oude Kerk, the oldest building and a church in Amsterdam, celebrating the city of Amsterdam’s 750-year anniversary, among others.
— Honorary Reporters, October 2024.
This interview took place via email in writing between August 17 and October 24.
2024
한 시간 남짓 대화를 나눴을 뿐인데 몸과 마음을 감싸 안아주는 듯한 경험을 한 적 있는가. 차분히 맞춰지는 눈, 낮은 목소리, 등을 쓰다듬는 손... 김수자 작가와 마주 앉으면 소란하던 사위가 고요해진다. 일찍이 ‘보따리’ 연작을 통해 싸는 행위, 감싸고 아우르는 ‘포용’을 작업의근간으로 삼아온 김수자 작가는 자신이 창조하고 행해온 작품처럼 드넓은 품과 태도로 눈 앞의 이를 어루만진다. 2년 전 서울에서 처음 만난 그를 지난 4월 파리에서 다시 만났다. 현대미술의 가장 뜨거운 현재라고 불리는 부르스 데 코메르스-피노 컬렉션(Bourse de Commerce-Pinault Collection)으로 부터 카르트 블랑슈(Carte blanche, 기획부터 실현까지 전시 전권을 아티스트에게 일임하는 것)를 부여받으며 참여한 전시 <흐르는 대로의 세상(Le monde comme il va)>이 열리는 때였다.
이 전시에서 작가는 부르스 데 코메르스의 가장 상징적 공간인 지름 29m, 높이 9m의 원형 홀 ‘로통드(Rotonde)’ 바닥에 4백18개의 거울을 설치해 ‘호흡 – 별자리(To Breathe – Constellation)’를 완성했다. 거울을 이용해 반원형의 천장 돔을 바닥에 반사시켜 완전한 ‘구(球)’를빚어냈다. 동그란 건축적 보따리, 달항아리 안에서 관람객은 저마다 천장과 발아래를 수차례 번갈아 보고, 산책하듯 걷기도 하고, 드러누워 하늘을 보는 등 각자의 방식으로 이 신비에 몸을 맡겼다. 그 외 로통드를 아우르는 24개의 쇼케이스에는 40여 년간 김수자 작가가 축적한 작업의 역사가 선별돼 있었다. 수십 년간 작가가 사용해 몸의 움직임이 그대로 기록된 요가 매트, 밤하늘의 별을 보고 바느질을 떠올린사진 작업, 굽는 과정에서 갈라지고 뒤틀린 모습을 그대로 품은 달항아리 등 성찰과 수행, 존재와 관계, 이해와 포용, 나눔과 공존에 골몰해온 사유의 흔적들이었다. 전시장 지하에서는 ‘바늘 여인’, ‘실의 궤적’ 등 세계의 그늘진 곳을 찾아다니며 기록한 영상 작업을 상영했다. 그야말로 김수자 작가의 결정적 순간들을 망라한 전시였다.
촬영을 마치고 인터뷰를 위해 그가 오랜 시간 머물고 있는 레지던시로 자리를 옮겼다. 한 사람이 누울 수 있는 단출한 침대, 책상과 의자 하나, 작은 조리대가 전부인 8평 남짓한 공간이었다. 생활을 위한 물건은 최소한으로 청빈하게 자리해 있었다. 방금 머물던 부르스 데 코메르스의 화려함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이 작은 방이 작가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예술가가 생에 걸쳐 차분하고도 고집스럽게 쌓아온 철학의 가장 깊은 곳을 목격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일전에 만났을 때 “예술가가 아니었다면 종교인이 되지 않았을까”라고 한 말이 떠올랐다. 그와 무릎이 닿을 거리에 마주 앉아 삶과 예술을 일치시키기 위해 선택하지 않은 것들을 떠올렸다. 좁은 방에서 시작한 대화는 무한히 드넓은 곳으로 뻗어나갔다.
유선애
레지던시가 검박해서 놀랐습니다. 마치 종교인의 거처 같달까요. 좀 전까지 부르스 데코메르스에 머물다 와서 그런지 공간의 낙차가 더 드라마틱하게 다가옵니다. 이 작은 방이 김수자 작가의 많은 것을 설명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김수자
실제 과거에 수도원으로 사용되었던 곳이에요.파리에 머물 때는 늘 이곳에서 지냅니다. 필요한 물건들만 최소한으로 뒀는데 불편하지 않아요. 일상을 살아가는 데 많은 게 필요하지 않은 편이에요.
유선애
두 달 뒤면 2024 파리 올림픽이 열리죠. 파리를 찾는 세계인이 광활한 거울 정원 ‘호흡 - 별자리’를 거닐게 될 텐데요. 40년 전, 에콜 드 보자르가 주관하는 프랑스 국비 장학생으로 파리에 처음 도착했을 때의 기대에 얼마나 가까워진 건가요?
김수자
오늘 같은 날을 기대하거나 상상하진 않았던 것 같아요. 프랑스 미술계가 제 작업에 대해 꾸준히 관심과 지지를 보내준 덕분에 작가로서 중요한 계기를 만들어올 수 있었어요. 그 도움의 시간들을 지나며 지금에 온 것인데...글쎄요. 흥미로운 건 있어요. 줄리 머레투(Julie Mehretu)와 뉴욕 할렘 갤러리에서 작가로서 첫발을 내딛었거든요. 이후 그는 상업적으로 승승장구했고, 지금 베니스 팔라초 그라시-피노 컬렉션(Palazzo Grassi-Pinault Collection)에서 개인전을 열고 있잖아요. 같은 시기에 저는 파리에 있고요. 지금까지 비상업적 공간에서의 전시나 비엔날레, 인스티튜션을 주로 떠돌며 작업 해왔는데,오늘날 세계 미술 시장을 좌지우지한다 할 피노 컬렉션에서 전시를 하는 이 상황이 아이러니하면서도 흥미로워요. 피노 컬렉션이 품는 작품의 폭이 상당히 넓다는 걸 새삼 느끼고요. 다양한 작업을 아우르는 포용성과 열린 안목을 지닌 분이죠.
유선애
보따리를 가득 실은 트럭에 몸을 싣고 세계 곳곳을 찾아다니며 난민,이주, 전쟁, 테러 등 동시대의 폭력 앞에 두 발로 선 시간도 깁니다. 그런역사 때문인지 이번 전시는 주류 미술 시장에 최적화된 작가가 아님에도 자기 세계를 구축하다 보면 어느 순간 중심에 선다는 메시지로도 다가옵니다. 그래서 더 고무적이고요.
김수자
저 역시 이 전시를 통해 젊은 작가들에게도 희망의 여지가 전해졌으면 해요. 많은 작가들이 상업적으로 자신을 알리기 위해 초조해하고 번민하는 것을 목격할 때가 있어요. 어떻게 보면 저는 상업화의 반대 방향으로만 걸어왔잖아요. 조급해하지 않아도 된다고 이야기해주고 싶고요.
유선애
미술계뿐만 아니라 오늘을 사는 청년들에게도 필요한 이야기입니다.
김수자
삶의 가치라는 것은 특정한 물질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게 아니잖아요. 물론 그 역시 손쉽다고 할 수도 없지만.
유선애
돌이켜보면 김수자 작가의 보폭이나 걸음의 방향은 늘 같았습니다. 재료와 방법을 실험하며 방대한 작업을 해나가면서도 전시의 규모나 명성에 치우치지 않고, 필요한 자리에 섰습니다. 필연적으로 주류 미술계의 반응이나 화답이 있지 않은 순간도 있었을텐데요. 외롭진 않으셨나요?
김수자
세간의 관심보다는 전시마다 내게 주어진 질문에 적절하게답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라 생각해왔어요. 장소나 시간, 주제와방법 등에 대해 최대치의 사색 끝에 던지는 한마디의 답을 세상에 제시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했어요. 그 외적인 것들에는크게 관심이 없었어요. 지금도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함께 작업해온 큐레이터들에게 감사해요. 작가는 비엔날레를 통해 동시대의가장 첨예한 질문과 주제를 건네받게 되는데 이를 고민하며 저역시 발전해왔죠. 장소 특정적 작업을 시작하면서부터는 특정 장소에서 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이나 최선의 솔루션을 찾는 데 심혈을 기울였기 때문에 그 과정을 거치며 나아갈 수 있었어요. 찾아가고 알아가는 와중에도 마음 안에 분명한 건 있었어요. 작업 과정의 노력들이 어느 순간 종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죠.
유선애
과정 중임을 인식하는 것이 긴 호흡을 갖게 한 것이죠?
김수자
그렇죠. 저는결과를 빨리 보려고 하는 사람은 아니에요, 절대로.
유선애
전시를 앞두고 미술관으로부터 작가에게 전시의 기획부터 실현까지 전권을 부여하는 카르트 블랑슈를 제안받았습니다. 흔치 않은 특권입니다. 이 기회를 허투루 쓰지 않으셨을 것 같은데요. 무엇을, 어떻게 펼치고자 했나요?
김수자
작가에게 전권을 부여하는 건 전적으로 신뢰한다는의미잖아요. 영광스러운 동시에 책임이 따르는 일이고요. 전시의중심이 되는 로통드관은 거울을 이용해 건축적 보따리로 풀어내고자 했습니다. 바닥에 설치한 거울이 돔을 비추며 발아래 시각적인 돔을 만드는 거죠. 관람객을 천상과 천하, 그 중간 세계 어딘가에 놓고자 했어요. ‘nowhere’인 것이죠. 어디도 아닌 곳. 지상인지 지하인지 모를 곳을 그저 부유하는, 중력이 사라진 공간처럼도 느껴지도록요. 그리고 로통드 관을 24개의 쇼케이스로 둘러싸, 지금까지 보따리를 배회하며 던졌던 질문들의 흔적을 선별해전시했습니다. 로통드가 몸통이라면 쇼케이스는 손과 발의 형상인 거죠. 24개의 쇼케이스를 통해 제가 지금까지 다양한 매체와방법론을 통해 같은 질문을 끊임없이 달리 해석하고 시도해왔음을 느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선애
20여 년 전부터 거울을 도구로 다른 차원을 열어왔습니다. 시작은 1999년 제48회 베니스 비엔날레였죠. 당시를 기억하시나요?
김수자
‘망명의 보따리 트럭(d’APERTutto or Bottari Truck in Exile)’이라는 작품이었어요. 보따리를 실은 2.5톤 트럭 전면에 거울을 설치했는데이는 당시 코소보 전쟁(1999년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의 알바니아계 코소보 주민과 세르비아 정부군 간에 벌어진 전쟁) 난민들에게 헌정하는 작업이었습니다. 트럭 앞에 놓인 거울을 하나의 출구로 제시하고자 했어요. 반사 효과를 통해 거울 뒤로 보이는 모든 공간을 감싸는 의미로 트럭이 한 번 더 싸이고, 다시 싸이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게 시작이었어요.
유선애
이후 거울을 사용해 공간의 무한성, 접힘과 열림, 채움과 비움 등을 꾸준히 탐구해왔습니다. 보따리로 시작된 ‘구’의 형태는 작가에게 중요한 개념이자 키워드이고요.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의 주요 개념들이 단 한작품 안에서 집대성 됐습니다. 어떤 경로로 개념들이 모이게 되었나요?
김수자
지금까지 거울을 통해 공간을 반사함으로써 하나의 정체성을, 총체성을 갖는 공간을 선보이고자 했습니다. 특히 이번 공간은 돔이라는 명확하고 명쾌한 형태를 지니고 있기에 구를 만들고자 하는바람이 자연스럽게 일었죠. 구 형태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느낀 건 ‘연역적 오브제 보따리(Detective Object-Bottari)’라는 제목으로 달항아리를 보따리로 개념화한 세라믹, 테라코타 작업을 했었는데 이번 작업을 하면서 돔 아래 거울을 놓는 것이 마치 달항아리를 만들 때 두 개의 반원을 뒤집어 엎는 작업과의 동일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한데 이를 사전에 계산하고 작업한 건 아니었거든요. 계속해서 질문을 품으며 작업하다 보니 다르다고 여겼던 두 작업이 만나게 된 거죠.
유선애
개념적으로는 파악하지 못했지만 행함으로써 알게 되는 사실이 있는거죠?
김수자
제 작업 대부분이 그래요. 바느질, 감싸기 컨셉트나 그것이다시 보따리가 돼 삼차원적 바느질로 재해석되는 것, 바늘과 몸의관계 등 사전에 철저히 개념화해 시작한 작업이 아니에요. 직관적인 논리의 감각이라 해야 할까요. 직관과 예술적 충동으로 실행한것 같지만 그 안에는 저조차도 인식하지 못한 규율이 이미 존재했던 거죠. 행함으로써 나를 발견해왔어요. 지나고 나서 규율들이 보이고 한데 꿰어지는 거죠. 이 작업을 왜 시작했고, 어떻게 하게 되었는지를요. 어떻게 보면 자연의 이치를 따라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유선애
무엇보다 흥미로운 건 관람객들입니다. 10명 남짓한 어린이 관람객들은 손을 잡고 둥글게 서서 하늘과 땅을 번갈아 보기도 하고, 어떤 관객은 편안히 누워 있더군요. 공원의 한 풍경처럼 느껴졌어요. 각자 방식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을 품는 포용성도 느껴지는 작업입니다.
김수자
‘크리스털 팔라스’ 작업을 할 때 부터 관객을 제 작업의 퍼포머라고생각하고 있었어요. 공식적으로 이야기하진 않았지만 저 혼자서 그분들을 ‘비밀스러운 퍼포머’라 상정한 거죠. 그래서 이번 전시역시 즐기는 마음으로 관람객들을 보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동작 하나하나를, 어떤 만남과 어긋남 같은 것들, 혹은 나르시시스트적인 반응들을요. 그리고 위로만 보던 천장을 발아래로 골똘히 보다 보면 ‘여기가 어디지?’, ‘내가 이렇게도 보일 수 있네?’ 하는 질문들이 만들어지기도 하잖아요. 그 모습들을 보며 저에게도 새로운 질문이 생겼어요. 천상과 천하의 세계, 그 중간 지점은 절단면이기도, 연결선이기도, 공간이기도 하고 허(虛)이기도 하잖아요. 과연 그것이 무엇인지를 하나씩 해부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전개가 만들어질 수 있겠다는 기대도 있어요.
유선애
소재도 방법도 다른 와중에 작가의 작품은 공통된 개념을 예리하게 통과합니다. 작가의 작품을 두고 ‘영적이다’라고 이야기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고요.
김수자
나를 둘러싼 우주의 진동과 흐름, 빛과 어둠 등 자연의 현상을 감지하고 반응하고 흡수하는 모든 과정이 어떤 계시처럼 다가옴을 느끼는 순간도 있어요. 그렇다면 이런 순간들을 어떻게 만났는가 하면, 글쎄요. 그냥 오는 것 같아요. 직관과 예술적충동으로 길을 찾아가다 보면 모든 것이 하나로 만나는 접점이 있어요. 그렇게 길을 찾아가는 과정에도 분명한 목표는 있어요. 삶과 예술의 토털리티(totality)에 도달하고 싶다’고 수십 년 전부터 이야기했어요. 그 총체성이 어디에 있는지, 무엇인지 알 수는 없지만.
유선애
삶과 예술을 이분화 하지 않았던 것이죠. 삶의 일관됨이 작업의 일관됨과도 연결됨을 느끼십니까?
김수자
느끼죠. 내가 사는 삶이 결국 내 작업을결정할 거라는 것은 알고 있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삶을 가치 있게 살아내고자 했어요. 그만큼 예술이 내게 중요했고, 예술이 중요한 만큼 삶을 견디고 지키려 했어요.
유선애
그래서일까요. 김수자 작가의 작업에는 예술과 인간, 세계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과 태도가 진실되게 담겨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만날수 있는 2백 50장의 한지를 수평과 수직을 맞춰 쌓아 올린 작품 ‘Meta Painting’은 시간이라는 비물질을 생생하게 우리 눈앞에 보여주죠.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가 홀대받는 지금, 작가의 작업이 더 깊게 다가옵니다.
김수자
‘Meta Painting’에는 수많은 시간의 축적이 보이잖아요. 그 가운데 노동이 보이고요. 우리가 보는 것 이상의 것을 보는 거예요.이런 작업들을 해오는 저 또한 행하는 과정에서 보는 것 이상을봅니다. 이제 뭔가가 좀 보이는 것 같다 싶어요. 나아가 나의 어떤생각에 대해 그게 틀린 생각만은 아닐 거라는 확신도 생기고요.
유선애
예술가로 살아온 지 40여 년이 지난 지금... 보인다는 말씀이시죠?
김수자
하나씩 교감하고, 스스로를 검증하면서 깨닫게 되는 것들이죠. 한데 이것이 명징하게 인과적으로 해석되거나 직선적으로 인식된다기보다는 굉장히 복합적이고 입체적인 모습으로 다가와요. 내가어디에서 어떤 질문을 하고 답을 해도 이제는 내가 표현하고자한 것에 다다를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자유로워요. 어떤 재료든, 어느 장소에서든, 무엇을 하더라도 자유롭게 펼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지금 들어요. 겁이 좀 없어졌다고 해야하나? 조심스러웠던 부분도 있는데 지금은 하고 싶은 대로 하면될 것 같아요. 물론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았지만. (웃음) 그런 때가 온 것 같아요.
유선애
난민, 이주, 전쟁, 테러 등 시대적 폭력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했고, 이는 곧 작업으로 이어졌습니다. 20세기를 치열하게 건너온 작가님에게 여쭙고 싶어요. 세계가 나아지고 있다고 믿나요?
김수자
삶의 향유 면에서는 발전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인간성 자체의 휴머니티는 퇴보하고 있죠. 이 세상에는 공존을 위해 노력하고, 치유를 위한 창조를 하는 이들이 존재하는가 하면 공존을 방해하는 파괴적인 부류의 사람들도 반드시 있죠. 인간의 이중성만큼이나 사회 역시 양분돼 있어요. 이는 인류가 지닌 불치의 병이 아닐까 싶다가도 그럼에도 노력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봅니다. 얼마 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Desert ×AlUla 2024>라는 프로젝트에 긴 고민 끝에 참여했어요. 나를 결단하게 한 건 ‘부끄러운 역사가 없는 국가는 없다’는 사실이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는 인류에 반하는 행위를 했죠. 그 프로젝트는 예술과 문화를 통해 과오를 개선하고 치유해 나가려는 노력을 아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사례라 여겼어요. 내 쪽에서 레드 라인을 그으며 그들의 노력을 꺾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보다는 한 발 힘을 주는 것이 더 옳은 태도겠죠. 완벽한 평화와 공존에 이르지 못한다 하더라도 우리가해야 할 일이 아닌가 싶어요.
유선애
인간 안에 내재되어 있는 희망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라 보십니까. 우린 무엇을 갖고 있고, 우리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김수자
사랑만큼 중요한 가치가 또 있을까요. 사랑이 어떻게 발아되는지는 모르겠어요. 실을 엮듯 사랑이라는 감각과 느낌, 이성적 사고나 판단력,그로 인한 행위 등 수많은 망들이 마치 인다라망(因陀羅網, 불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 온 세상을 덮고 있는 거대한 그물로각 그물코마다 구슬이 달려 있어 서로 연결되고, 동시에 서로를비춘다)처럼 섬세히 조합되고 빛을 만들며 신비한 세계를 이루는것 같아요. 그게 사랑의 본질 같아요. 왜 우리는 ‘사랑’ 하면 하나의 사랑이 가슴으로 턱 하고 뭉뚱그려져 전체로서 다가오잖아요.하지만 사랑 그 자체는 굉장히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미세한 과정을 통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에게 전달되는 것 같아요.타인을 사랑한다는 건 그래서 기적이에요. 분석 하기엔 너무나 어려운 마음의 상태이자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최상의 마음 상태 아닐까요.
유선애
마무리할까요. 김수자 작가 하면 뒷모습으로 기억됩니다. 세계의 그늘을 찾아 정면으로 직시하던 모습을요. 지금은 어디를 바라보고, 향하고 있나요?
김수자
점점 죽음의 실체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나아가 내 몸과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하고요. 내가 모르는 미래 속으로 어느 순간 들어가게 된다는 것을요. 죽음으로 인한 변화는 또다른 형태의 삶이겠죠. 또 다른 형태의 빛과 그림자인 거예요. 그빛과 그림자를 내가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고 풀어내야 하는지가 지금의 가장 큰 과제입니다.
유선애
무수히 많은 경계를 바느질하고 이어왔는데, 삶과 죽음을 잇는 작업을생각하고 계시군요.
김수자
맞아요. 날숨과 들숨을 반복하다 그것이 멎는순간 끝나는 거잖아요. 끊임없이 바느질을 이어가다 멈추는 것.인터뷰의 마무리가 너무 새드한가?(웃음) 한데 정말 의미 있는 작업을 남길 수 있다면 죽음은 두렵지 않아요. 앎에 대한 열망이 유난히 커서 그럴까. 작업은 곧 앎의 표현이잖아요. 더 정확히는 앎과 모름의 표현이죠. 이 앎이라는 게 지식이 아니라 어떻게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는가, 자기의 시각에서 해석하는가인 것 같아요.내가 어떻게 삶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표현하는가인데 이를 미술이라는 매체를 빌려 이야기하는 것이죠.
유선애
지금껏 앎의 과정에서 무수한 도전들이 있었음에도 이를 놓지 않은 이유이지요?
김수자
되레 그럴수록 더 강해져요. 도전의 순간에 더 예술적충동이 일어나죠. 행복할 때, 좋은 기운으로 작업할 수도 있지만작가로서 결정적인 순간은 도전과 역경 속에서 만들어집니다. 지금까지 그래 왔어요. 그래서 흥미로워요. 도전과 그로 인한 예술적 충동 속에 드러나는 우주의 진실, 트루스(truth)를 목격하는것이 흥미롭고, 자꾸만 빠져들어가는 것 같아요. 모르면서 하고,모르면서 또 하면서.(웃음)
— Marie Claire, August, 2024. pp.40 -65.
2024
Have you ever experienced the sensation of being embraced in a conversation of one hour, despite having just met? When sitting across from Kimsooja, tranquility seems to fall over the surrounding noise, brought about by a calm gaze, a soft voice, and a gentle touch… Kimsooja, who from the start of her early ‘Bottari’ series (whose title references a Korean fabric-wrapped bundle) has made the act of wrapping and encompassing a core element of her artistic practice, embraces those in front of her with a vast and open demeanor, as do her creations. I first met her in Seoul two years ago and saw her again in Paris last April. The exhibition <Le monde comme il va (The World As It Goes)> was taking place, in which Kimsooja was participating after being granted a carte blanche (conferring full authority over an exhibition’s curation and realization) by the highly esteemed Pinault Collection at the Bourse de Commerce.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installed 418 mirrors on the floor of the 29 meter wide, 9 meter high Rotunda, the most symbolic space of Bourse de Commerce, for her work <To Breathe—Constell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perfect sphere formed by reflecting the dome of the semi-circular ceiling onto the floor, visitors strolling through the architecture of the round bottari created by the artist could either gaze upwards or at their feet, surrendering their bodies to spatial mystery. In addition, 24 showcases encircling the Rotunda displayed a selection of the artist’s works accumulated over the course of her career, including yoga mats embedded with decades of the artist’s movements, photographs inspired by stitching while observing the night sky, and moon jars cracked and distorted from the firing process—traces of reflection and practice, existence and relationships, understanding and embracing, sharing and coexistence. In the basement of the exhibition space were video works recorded in tragic and unlucky corners of the world, such as and
After the shoot we relocated to the residency for an interview, where she had been staying for a long time. Her space was a modest room with only a single-sized bed, a desk with a chair, and a small cooking counter. Living essentials were minimal and frugally arranged. In stark contrast to the grandeur of the Bourse de Commerce, the room seemed to speak volumes about the artist. It felt like witnessing the deepest part of an artist’s philosophy, built stoically and stubbornly over a lifetime. I recalled her statement when we first met, “If I were not an artist, I might have become a religious person.” Sitting knee-to-knee across from each other, I reflected on the things she had not chosen in her effort to align her life with her art. The conversation that began in the narrow room expanded into boundless realms.
Yu Seon Ae
I was surprised by the ascetic simplicity of the residency. Perhaps this impression was heightened by the fact that I have just come from witnessing the opulence of the Bourse de Commerce, but this modest place seems to explain much about you.
Kimsooja
It was actually a place formerly used as a monastery. When I stay in Paris, I always stay here. I have only the essentials, but it’s not uncomfortable. I don’t need much for daily life.
Yu Seon Ae
In two months, the 2024 Paris Olympics will be held. The world will stroll through the vast mirror garden that is the installation <To Breathe—Constellation>. How close have you come to your expectations from when you first arrived in Paris 40 years ago under a French government scholarship at the École des Beaux-Arts?
Kimsooja
I don’t think I ever anticipated or imagined a day like today. Thanks to the continued interest and support of the French art world, I was able to reach significant milestones as an artist. I have reached this point through those beneficial times. One interesting thing to note is that Julie Mehretu started her career at the Harlem Gallery in New York around the same time I first met her in Paris. She went on to flourish commercially and now has a solo exhibition at the Palazzo Grassi of the Pinault Collection in Venice, while at the same time I am in Paris. Until now, I have worked largely in non-commercial exhibitions, biennales, and institutions, so the situation of exhibiting in the Pinault Collection, which is said to command today’s global art market, is ironic yet fascinating. I am experiencing the diverse works in the Pinault Collection for the first time, and it possesses a great openness and inclusivity.
Yu Seon Ae
Traveling around the world with a truck loaded with bottari, you have faced the violence of contemporary history, addressing issues surrounding refugees, migration, war, and terrorism. Perhaps because of this, the current exhibition comes across as an encouraging message that even if an artist is not optimized for the mainstream art market, they can find themselves at the center of their own world-building.
Kimsooja
I hope this exhibition conveys hope to young artists as well. I often see many artists becoming anxious and distressed as they try to commercialize themselves. In some ways, I have only walk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commercialization. I want to tell them that there is no need to rush.
Yu Seon Ae
This seems to be a message not only for the art world but also for today’s youth.
Kimsooja
The value of life is not something that can easily be obtained by a particular material. Indeed, assigning value to anything through material means is itself challenging.
Yu Seon Ae
Looking back, your steps have always aligned. Even while experimenting extensively with materials and methods, you have remained faithful to yourself without being swayed by the scale or fame of the exhibition. There must have been moments when the mainstream art world’s responses to your work were not forthcoming. Did you ever feel lonely?
Kimsooja
I have always thought it sufficient if I could appropriately answer the questions posed to me in each exhibition, rather than focusing on public attention. If I could present a single answer to the world after the utmost contemplation on the location, time, subject, and method, that was enough for me. I wasn’t very interested in external matters. This remains the same to this day. I am grateful to the curators I have worked with; through biennales, artists are given the most pressing questions and topics of contemporary times, and, as a result, I have developed as an artist. Since starting site-specific work, I have put significant effort into finding the appropriate approach or solution for individual locations, and that process has allowed me to grow. Even while seeking and discovering, there has always been a clear belief within me that effort in the process will comprehensively manifest at some point.
Yu Seon Ae
Has recognizing the process allowed you to be patient or think long-term?
Kimsooja
Yes. I am not someone who tries to see results quickly, not at all.
Yu Seon Ae
Before the exhibition you were granted a carte blanche by the museum, which is a rare privilege—I’m sure you didn’t take it lightly. What did you want to see unfold with this opportunity?
Kimsooja
Being granted a carte blanche signifies complete trust in the artist. It is an honor, but it also comes with responsibility. For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I wanted to transform the Rotunda into an architectural bottari using mirrors. The mirrors installed on the floor reflect the dome to create the illusion of a visual dome beneath the feet as well. The intention was to place the viewer somewhere between the heavens and the earth, in a liminal space that is neither here nor there, a “nowhere,” a floating space sans gravity. Surrounding the Rotunda with 24 showcases, I displayed traces of the questions I have raised in the past through bottari. If the Rotunda represents the torso, the showcases are like hands and feet. Through the 24 showcases, you can sense that I have continuously reinterpreted and sought answers to the same inquiries through various media and methodologies.
Yu Seon Ae
For over 20 years, you have opened doors to other dimensions using mirrors. It started with the 48th Venice Biennale in 1999. Do you remember that time?
Kimsooja
It was a work titled “d’APERTutto or Bottari Truck in Exile”. I installed mirrors in front of a 2.5-ton truck loaded with bottari, as a tribute to refugees of the Kosovo War (between the Albanian Kosovan residents and Serbian government forces). The mirror facing the truck was intended to symbolize an exit. Through the reflective illusion, the truck was enveloped once more in the space within the mirror. That was the beginning.
Yu Seon Ae
Since then, you have continuously explored the infinity of space—folding and unfolding, filling and emptying—through mirrors. The form of the sphere, which began with the bottari, is an important concept and keyword for you. In this exhibition, the main themes are consolidated into a single work. How did these ideas come together?
Kimsooja
Until now, I attempted to present places with a single identity and totality by reflecting space through mirrors. In particular, this place, with its clear and definite dome shape, naturally inspired the desire to create a sphere. During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spherical shape, I realized that placing a mirror under the dome bore a similarity to the process of creating a moon jar, which I had previously conceptualized as a bundle in my ceramic and terracotta work titled “Deductive Object—Bottari”. I discovered this similarity by accident, without prior calculation or intent. As I continued working and questioning, I discovered that what I had previously considered two different processes had come together.
Yu Seon Ae
Is it true that you come to understand things through practice rather than conceptualization?
Kimsooja
Yes, most of my work follows this process. The acts of sewing, wrapping, and their reinterpretation into three-dimensional stitching in the form of bundles, or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les and bodies, were not explicit concepts before starting. It’s more of an intuitive logic. However, although it may seem like I act on intuition and artistic impulse, there was already an unconscious discipline present; I discover myself through action. Afterwards, the disciplines become apparent and interconnected. I reflect on why I started and how I arrived at it. In a way, it feels like following the principles of nature.
Yu Seon Ae
What is most fascinating is the audience. I noticed that about a dozen young children stood in a circle holding hands, alternating their gaze between the sky and the ground, while some visitors lay down comfortably. It felt like a scene in a park. The work seems to embrace viewers in their own ways of experiencing it.
Kimsooja
Since my work for the Palacio de Cristal, I have considered the audience as performers in my work. Although I haven’t formally stated this, I think of them as secret performers, so to speak. Therefore, I watch the visitors with a mindset of enjoying the experience. Each person’s movements, interactions, and even displays of narcissism are observed. When viewers who usually look up at the ceiling focus on the ground instead, they start to wonder, “Where am I?” or “Can I look this way too?” Seeing these responses, I too find new questions arising. The midpoint between the heavenly realm and the earth is a section, a connection, a space, and even a void. I hope that an intriguing development will emerge from the process of dissecting what that is.
Yu Seon Ae
Despite your use of diverse materials and methods in your practice, your works are meticulously strung together by related concepts. Perhaps this contributes to why many ascribe a sense of spirituality to your work.
Kimsooja
Moments when I sense and respond to the vibrations and swirls of the universe, the phenomena of light and darkness, sometimes feel like revelations. As for how I encounter these moments, they seem to simply emerge. As I navigate with intuition and artistic impulse, everything meets at a point of unity. There is a clear goal in the process of finding that path. For decades, I’ve said I want to reach the totality of life and art. I can’t know exactly what or where that totality is.
Yu Seon Ae
It seems that you have never polarized life and art as discrete binary realms. Do you feel that this consistency in your life reflects the consistency in your work?
Kimsooja
Yes. I’ve always known that my life would ultimately determine my work. Because of what art means to me, I have endeavored just as much to protect and treat my life with value.
Yu Seon Ae
Perhaps this is why your work seems to disclose a sincere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art and humanity. The work , which piles 250 sheets of Hanji paper align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vividly embodies the immateriality of time. At a moment when unseen values are neglected, this work resonates even more profoundly.
Kimsooja
shows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labor. It allows us to see beyond what we observe.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such works, I feel that I am also starting to see beyond the apparent and gain confidence that my thoughts might not be entirely wrong.Yu Seon Ae
Following an artistic career of over 40 years—do you mean to say that your vision is clearer?
Kimsooja
Yes, I’m discovering things through meticulous interaction and self-validation. However, this realization does not present itself in a clear, causal, or linear way but rather in a very complex and three-dimensional manner. I feel that wherever I ask questions and provide answers, I can reach what I want to express. Therefore, I feel free. I believe that I can freely unfold my work with any material, at any location, and in any way. Maybe I’ve become less fearful? There used to be aspects where I had my reservations, but now I feel I can do as I wish. Of course, I’ve always done what I wanted [laughs]. It feels like the time to do so has come.
Yu Seon Ae
You have been sensitive to issues regarding refugees, migration, war, and terrorism, which has translated into your work. Having lived intensely through the 20th century, do you believe the world is improving?
Kimsooja
In terms of enjoying life there may be progress, but humanity itself is regressing. There are those who strive for coexistence and healing and those who disrupt coexistence. Like the duality of humanity, society too is divided. Our situation may be an incurable disease, but still, the only way is to continue striving. Recently, I participated in the Desert X AlUla 2024 project in Saudi Arabia after much deliberation. What prompted my decision was the fact that no nation is without shameful history. Most nations have committed acts against humanity. I viewed this project as a proactive effort to improve and heal mistakes through art and culture. I thought it was right not to undermine their efforts but rather to support them. Even if perfect peace and coexistence are not achieved, this endeavor seems like something we must do.
Yu Seon Ae
If there is inherent hope within humans, what would it be? What do we have, and what can we expect from ourselves?
Kimsooja
Is there a value more important than love? I don’t know how love germinates. Like weaving threads, the sense and feeling of love, rational thinking or judgment, and the resulting actions seem to intricately combine and create a mysterious world, like Indra’s net (a Buddhist concept where the world is covered by a vast net with pearls at each intersection, reflecting and illuminating each other). That seems to be the essence of love. When we think of “love,” it often appears as a unified feeling in our hearts. Yet love itself is very complex and conveyed to us through intricate processes we don’t consciously recognize. Loving others is, therefore, a miracle. It is an incredibly challenging state of mind and perhaps the highest state of human consciousness.
Yu Seon Ae
Shall we conclude our interview? The image of the artist Kimsooja evokes for me an image of you facing the world’s shadows. What are you looking at now, and what are you aiming for?
Kimsooja
I increasingly contemplate the reality of death, as well as my own body and death, entering into an unknown future. Changes due to death will be another form of life, another form of light and shadow. The biggest task now is how I interpret and unravel that light and shadow.
Yu Seon Ae
You have sewn together countless boundaries, and now you aim to merge life and death.
Kimsooja
Yes. The act of breathing in and out repeats until it stops, like the act of sewing before halting. Is the ending of the interview too sad? [laughs] But if I can leave behind a truly meaningful work, death isn’t frightening. Maybe it’s because of my strong desire for knowledge. Work is an expression of knowledge. More precisely, it’s an expression of knowledge and ignorance. Knowledge isn’t just about information but about understanding oneself and the world and interpreting from one’s perspective. It’s about expressing how I see and interpret life through the medium of art.
Yu Seon Ae
Is that why you haven’t let go of the knowledge process despite countless obstacles?
Kimsooja
The more challenges I face, the stronger I become. Artistic impulse arises more in moments of opposition. While happiness and positive energy can influence my work, the decisive moments as an artist are formed through adversity. That has been the case so far. The truths of the universe revealed through challenges and artistic impulse seem to captivate me. I keep acting without conscious knowledge again and again [laughs].
— Marie Claire, August, 2024.
Confront and Deconstruct - Nomadism (Kimsooja, Kyungah Ham)
2024
The topic of Chapter 8 is 'nomadism', and the artists under consideration this time are Kimsooja (b. 1957) and Kyungah Ham (b. 1966). While they differ considerably in the tendencies and artistic personality of their work, they represent a kind of 'dream team' in the sense that they both practise the ethics of contemporary nomadism through their travels. Kimsooja pursues nomadic journeys based on her anthropological interests, while Ham stimulates and nurtures artistic ideas through travel. Their nomadism has nothing to do with the sentiments of historical nomads who travelled constantly from region to region to sustain themselves and satisfy their survival instincts, nor with the contemporary nomadic life that their descendants continue to follow. In addition, their nomadism appears quite removed from the lifestyle of the rapid information age, wher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s create a constant feeling of being 'on the move', and also from the romantic Bohemians who dream of spiritual wandering and travels to foreign lands in search of a liberated life.
The nomadism of these two artists can be properly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reflective thinking about neo-liberalism and globalism - two key issues in the later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As is well known, neo-liberalism is an economic laissez- faire approach that is critical of state interventions in the market and emphasizes the role of the market and free activities within the private sector. In addition to its positive impact in terms of the immense power enjoyed by capital and the boosting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t also has negative effects in its disregard for mutually beneficial lives and redistribution at the community level - as witnessed with issues of economic downturns, unemployment, the wealth gap and conflict between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This neo-liberalism has formed part of the backdrop of global tectonic shifts in conjunction with the ideas of globalism, which involves the use of global systems to seek peace for humankind, economic welfare, social justice and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As both an effect and a driving force of neo-liberalism, globalism, in spite of its transnational utopian vision, has been subject to non-Western and developing countries geopolitical critique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The argument here is that the 'globalization' advocated by globalism is actually a Western- centric standardization that demands a full-scale re-examination.
In response to First World globalism and its vision of transforming developing countries in accordance with Western values and standards, an alternative concept emphasizing locality at the periphery, known as 'glocalism', has emerged, where non- Western cultures respond critically to Western influences in an attempt to globally expand their own cultural contexts. This is an issue related to the neocolonialism that has persisted even after the official end of the colonial era, and to the postcolonial concern and alarm over the neo-imperialism that perpetuates unequal international relationships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is offers the possibility for linking glocalism - that is, reorganization in a decentralized manner - to the artistic nomadism of Kimsooja and Ham, who objectify themselves while also embracing others through their intellectual and moral journeys.
As this discussion suggests, the nomadism practised by the two artists has been an artistic driving force bringing together the world with the region, and the centre with the periphery. Their nomadism is also a conscious mechanism for rendering female speakers visible. In that sense, the gender-specificity in aesthetic terms suggested by Kimsooja's bottari (bundles) work and Ham's North Korean 'Embroidery Project' should be mentioned. Of course, many contemporary artists - both female and male - have employed fabric-based work and handicrafts as a new plastic language. Yet, in the case of these two artists, it is notable in the way the thematic inevitability of 'medium as message', in the Marshall McLuhan sense, is prioritized over media interest or exploration. Kimsooja's bundles originated in her examination of the traditional role of Korean women and their daily housework, while Ham's 'Embroidery Project' can be viewed as the result of a 'feminine' approach devised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 North Korea. From this perspectiv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ir artwork using fabric, sewing and embroidery from a thematic consciousness relating to women's culture and community spirit.
In short,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bundle and embroidery that visualize their artistic nomadism in the context of globalism. Kimsooja's bottari are physical and symbolic tokens of nomadism, and Ham's North Korean embroidery can be read as an expansion into a metaphor of movement, in which a peripheral handicraft receives renewed attention in both cultural and geographical terms. In other words, fabric/embroidery become physical signifiers visualizing the two artists' nomadic consciousnesses. It therefore stands to reason that their fabric-based work necessarily encompasses thematic meanings that extend beyond the medium itself. Their aesthetic and political bearings are fixed at a point where 'women's crafts' intersect with the issue of nomadism, and their feminist implications may be seen as lying therein.
Kimsooja's bundle-based art shows a fascinating instance of how sewing and other everyday domestic tasks traditionally performed by women - or more general practices of manag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 are conceptualized and signified in an artistic context, specifically in contemporary art.'[1] The matrix out of which the artist's pictorial fabric-based work and sculptural bundles emerged was her grandmother's traditional hanbok clothing (which the artist treasures even today) and the nostalgia associated with it, as well as memories of quilting with her mother. These artworks have grown and evolved like organisms during Kimsooja's travels around the world. First shown in 1992 during her MoMA PS1 residency in New York, her bottari works have diversified in terms of form, medium and concept over the course of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hibitions. Sometimes, they are personified as the artist's body or a woman's body; other times, they take on a deeper aesthetic and political sense as the formal style shifts to non-material bundles of breath and light. 'My bundles' containing personal stories have transformed into 'our bundles' confronting historical oppression and hardships, and have also expanded into public narratives that reach beyond the personal realm and become a signifier of the act of embracing in order to heal scars.
Kimsooja's bundles first came to public attention through a touring exhibition that has now become the stuff of legend: 'Cities on the Move' (1997-99). Planned by Hans Ulrich Obrist and Hou Hanru, the exhibition was a multi-genre art event that captured the zeitgeist of the 1990s - a time when a 'New Town' construction boom and new urban culture were in ascendancy, as Asia developed into a major geopolitical region amid the effect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2] For this exhibition, Kimsooja presented the work Cities on the Move - 2727 KM Bottari Truck (1997), which became a milestone in her career. The performance video records her 2,727-kilometer (1,694-mile)-long journey wandering along Korean village roads beloved by her in a truck filled with bundles. With the Korean landscape passing behind her, the lonesome artist is shown only from behind in the fixed frame, sitting atop her bundles, as if in defiance of contemporary urban phenomena and the concept of progress, evoking feelings of nomadic alienation and nostalgia. Recognized as a particularly original interpretation of the exhibition's theme, the work catapulted Kimsooja to global renown virtually overnight.
Much like the departing protagonist in her work, Kimsooja left Korea in 1999 to move to New York. Recalling this experience in an interview, she said, 'It was a tremendously difficult situation, but rather than seeing the stress in this dramatic situation of casting myself out alone in the world, or defining myself as a cultural exile, my idea was to drive myself to the limits, seeing it as another future challenge.'[3] It was here at the limits - living the life of an outsider - that Kimsooja produced numerous key works of performance videos contemplating her own sense of existence and suggesting the healing role of women, such as A Beggar Woman (2000-2001), A Homeless Woman-Delhi (2000), A Homeless Woman-Cairo (2001), A Laundry Woman (2000), A Mirror Woman (2002), A Wind Woman (2003) and the well-known series 'A Needle Woman' (1999-2009).
The first work in the series 'A Needle Woman' (1999-2001) is a multi- channel performance video filmed in densely populated cities around the world. Here, too, the artist has her back to the viewer as she stands unmoving amid waves of metropolitan crowds. Her trademark mise en scène - the motionless image seen from behind, which evokes inner turmoil - is based on an existential experience that took place on a Tokyo street. As she was walking in Shibuya, she explained, there was a 'moment when I was overwhelmed by the cumulative waves of people and could only stand in [one] place', adding that the 'arrival of that overwhelming moment was the start of the "Needle Woman" and that she had the feeling of being 'erased' during her motionless performance.[4] Yet, in that very moment, she regained her peace of mind and experienced a sense of 'mediumistic' oneness with the crowd, where she became a 'wrapping cloth' ensheathing the people and a needle knitting them together. Perhaps this can be an excitement of empathizing with, feeling compassion for, embracing and welcoming the anonymous masses.
The second work in the same series was a performance video created for the 51st Venice Biennale in 2005. For this work, the artist's explorations were not in densely populated cities, but in cities plagued by political and religious divisions, civil war, widespread violence and poverty: Patan, Jerusalem, Sana'a, Havana, Rio de Janeiro and N'Djamena. Presented in slow motion rather than real time, the video shows spaces that have been exploited, marginalized and rendered powerless, with the mounting, anguished sense of tension of urban catastrophe. With her silent, motionless stance, the artist has already been stripped of her sense of presence, annihilated in the slow-motion video and by abstract time like a needle that 'disappears from the place, just leaving the marks of the stitch after accomplishing its role as a medium of sewing fabric'.[5] She thematizes the light and dark aspects of globalism and neo-liberalism - that is, the chaos of alternating utopias and dystopias, the scenes of confusion where the 'First World' collides with the 'Third World', centre with periphery, global with regional, the West with Asia, stronger countries with weaker ones, the rich with the poor. By transforming herself into a needle that pierces and stitches, the artist desires to become a healer taking away the misfortunes that afflict the planet and humankind, as she also attempts to establish connections with the victims of war, migration and exile.[6]
As a continuation of 'A Needle Woman', 'Thread Routes' is a complex statement in which the artist uses her own body to weave together human beings, nature and the universe. Previously, she featured a sound performance of breaths, making a medium of the body that had been personified as a needle and bundle through the work The Weaving Factory (2004). Presented at the 1st Łódź Biennale in Poland in 2004, The Weaving Factory was inspired by a vacant former textile factory in the host city. It was conceived as a piece that would bring the works back to life by infusing the artist's own breaths and humming sounds - integrating her body with the empty building. The breathing performance drew an analogy between the repeated inhalations and exhalations and the crossing of warp and weft threads or the cyclical horizontal/ vertical structure of stitching. This was developed further into To Breathe/Respirare: Invisible Mirror, Invisible Needle, which she showed in 2006 at Teatro La Fenice in Venice. The breaths of the artist and the audience blended to envelop the theatre, which was transformed into a vessel for this ensemble of breathing: a feast of breaths and the sounds of life in place of an opera performance filled the air. For the solo presentation Respirar - Una Mujer Espejo / To Breathe - A Mirror Woman that same year at Palacio de Cristal in Madrid, she created another synaesthetic bundle through the resonance of light and breath, with a rainbow of sunlight refracted by special film across the building's glass windows to meet light reflected from mirrors on the floor, thereby enveloping the building and the bodies of those within.
If this dematerialized bundle enswathing space in breath and light can be described as a 'post-bundle', this was developed further with Kimsooja's exhibition 'To Breathe Bottari' at the Korean Pavilion of the 55th Venice Biennale in 2013. Here, the artist filled the space with a rainbow of colours infinitely refracted by the special film covering the pavilion's glass surfaces. A kaleidoscopic mirroring effect was produced as this light was re-reflected by mirrors on the floor. As if in response to this spectrum of light, a sealed, anechoic chamber was set up in one corner. In terrifying pitch-blackness, the viewer heard only the sounds of their own body: breathing, coughing, a pounding pulse. Kimsooja had woven a cosmic bundle where light and deep darkness coexisted - a bundle of life, where living and death had become one.
The artist presented another resonant bundle of light and sound in 'Archive of Mind', her solo exhibition for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in 2016. Alongside her light-based artwork transforming the museum's courtyard into a luminescent space using the reflections created by her special film, Kimsooja showed a new sound-based work entitled Unfolding Sphere. This work culminates with Archive of Mind (2016), a ritualistic audience participation performance where viewers are invited to a large elliptical table and asked to knead lumps of clay that have been placed there, forming abstract spherical shapes as though creating human beings out of the substance. As the duet between the friction noises of the clay balls rolling on the table and Unfolding Sounds, featuring the artist's gargling sounds, ring out through the space, there is an experience of synaesthetic unity where the spherical clay bodies become one with the viewers' hands as if encircled by the artist's wrapping cloth. The message of 'Needle Woman' has been intensified and expanded as the 'bundle' symbolizing nomadism shifts from geographical to psychological space.
[...]
If there is a common theme connecting the artistic oeuvres of Kimsooja and Ham, it is 'establishing relationships'. To begin with, these relationships are conceptualized through fabric and sewing. Kimsooja views her fabric-based work - the joining of cloth - as a mechanism for inclusiveness, uniting the self with others and the and wrapping world, nature and the universe. Ham regards her 'Embroidery Project' as a personal, non-linguistic dialogue with the potential to resolve Korea's political division.
The relationship they are aiming for is driven by a contemporary brand of nomadism, in the sense that they are actually physically moving and travelling between places. Their nomadism is distinct from the so-called 'new nomads' or digital nomads freewheeling figures powered by advanced, ubiquitous technology. But the way they employ online information as a means of approaching minority populations and multicultural phenomena, restoring a lost sense of community and opening up the possibilities for a more socially participatory, interactive democratization, means they can also be seen as sharing certain sentiments with the twenty-first- century model of the 'new nomad'. The important thing is, as mentioned above, that their nomadism satisfies the proposition of glocalism, which relates to a critical awareness of Western-centred globalism and neo-liberalism. Their nomadic travels can also be defined as journeys of artistic and moral exploration, since they are pursuing new values with anthropological interests and an experimental mindset, travelling the wastelands with a 'glocal' mentality. In other words, they upend static reality and stable order through proactive movements that turn natural places into spaces of praxis, and they introduce instead a reality that is one that is transformative, alien and vague. In that in the process of formation sense, their exploratory travels can be understood as the kind of 'spatial practice' or 'performance of place' described by Michel de Certeau in his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first published in English in 1984).
Through their 'performance of place', these artists make a moral decision in the interest of global coexistence, human inclusiveness, correspondence with the other, compassion, and healing in the face of contemporary disasters and cross-cultural unity. In this way, their nomadism relates naturally to 'welcoming'. The value of hospitality is found in a free and liberated spirit and an intellectual richness that is open to all. When practised in the realm of art, it can achieve astonishing reversals. Through welcoming that is free of moral controls or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go beyond the cultural and artistic limits, and to resist state ideology and political violence, doubts and hostility towards others, distrus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 neo-liberal political and economic climate that views economic acquisition as the ultimate goal.
In this context, hospitality is a radical aesthetic catalyst for a new political art, one that relates to such sharp issues as localism, feminism, postcolonialism, racism, climate and the environment. The adoption of hospitality for feminism in particular can be a means of resisting racial and gender-based oppression and achieving non- Western, non-patriarchal, non-modernist art through the embracing of subalterns, such as women, the elderly and disabled people. We can observe an expanded form of feminist art through the powerful and persuasive welcoming messages to be found in the work of Kimsooja, who alludes to the role of women as healers and mediators, as well as in the work of Ham, who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North Korea, thematizing political division through dialogue and a gentle artistic approach. The rationale for comprehending these two artists' work from a feminist perspective lies in the way that an inclusive welcoming, an embracing of others, including those on the margins, offers a potential means of transcending the self-centred and local-egoistic cultural limits and the linear constraints of feminism.
[Note]
[1] Kimsooja, in Woman: The Difference and the Power exhibition catalogue (Seoul: Sam Shin Gak, 1994), p. 83. 'Women's daily lives are filled with two-dimensional work, three-dimensional work, installation work, and performance art. The visual systems associated with clothing, cooking, and housing are adequate to show certain aspects of contemporary art. There is washing clothes, wringing clothes, hanging clothes, folding clothes, ironing, sewing, winding thread, sweeping, mopping, dusting, decorating, preparing food, shopping, cooking, setting tables, doing dishes, and so on and so forth. It would not be overstating things to identify the structural logic of contemporary art as being present here. It's also possible to have a concrete analysis and appreciation for all the detailed particulars. Because they are logical and also fascinating. And because there are extraordinary elements that break apart the monotony of daily experience.It is a conceptualization of everyday life or the work of women.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work of annihilating myself through that process.’
[2] More than 150 artists, architects, filmmakers and designers were involved in this exhibition, which toured large cities in seven countries: Secession, Vienna; MoMA PS1, New York; CAPC Musée d'art contemporain de Bordeaux, France; the Louisiana Museum of Modern Art, Denmark; Hayward Gallery, London; various locations in Bangkok; and Kiasma, Helsinki.
[3] Kimsooja, interview with Yun Hyejeong, in 'Kimsooja; conceptual artist who questions life and existence endlessly', My Personal Artists (Seoul: Eulyoo Publishing Co., 2020).
[4] Kimsooja, written interview with the author, 2021.
[5] Kimsooja, in Choi Yoon Jung, 'A Needle Woman, Sacred Ritual', in Kimsooja exhibition catalogue (Daegu: Daegu Art Museum, 2011).
[6] Kimsooja, interview with Yun Hyejeong, in My Personal Artists: 'Relations extending to the body, hand, and fabric; th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 footstep and the earth; th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 exhalation and inha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y eye and the eye in the mirror looking back at it. Is there anything in this world that is not related? Everything in our day-to-day lives in the Internet era is "stitching", and it has become difficult to extricate ourselves from this web of visible and invisible stitching.’
한국 여성 미술가들의 저항과 탈주 - 노마디즘 (김수자, 함경아)
2024
이장의 화두인 '노마디즘'의 초대 작가는 김수자(1957)와 함경아(1966)이다. 이들은 작품의 경향이나 작가적 성향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지만, 여행을 통해 현대 노마디즘의 윤리를 실천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김수자는 인류학적 관심으로 유목민적 여행을 수행하며, 함경아는 여행을 통해 예술적 발상을 촉발, 숙성시킨다. 이러한 이들의 노마디즘은 생존 본능을 충족시키고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지역을 이동하며 생활하던 전통적인 유목민이나, 그 후손들로서 아직까지 유목 생활을 유지하는 지금의 유목민의 정서와 무관하다. 또한 미지의 공간을 상상하고 관념적으로 이동 생활을 상정하는 정보화시대의 '호모모벤스(homo mobens)', 즉 이동하는 인간으로서 해방적인 삶을 찾아 타지를 여행하거나 정신적 방랑을 꿈꾸는 낭만적 보헤미안, 로망의 노마디즘과도 거리가 있다.
이 두 작가의 노마디즘은 이십세기 후반의 주요 화두인 신자유주의와 글로벌리즘에 대한 반성적 사유의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신자유주의는 국가 권력의 시장 개입을 비판하고 시장의 기능과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을 중시하는 경제적 자유방임주의로서 자본이 막강한 파워를 누리고 국가의 경쟁력이 강화되는 순기능과 함께, 불황, 실업, 빈부격차, 선진국과 후진국의 갈등 등, 상호호혜적 관계와 공동체적 재분배가 외면되는 역기능을 초래했다. 이러한 신자유주의는 글로벌 시스템을 통해서 인류의 평화, 경제적 복지, 사회정의,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글로벌리즘 사상과 맞물려 전지구적 지각 변동을 일으키는 배경이 되었다. 신자유주의의 효과이자 동인으로 발생한 글로벌리즘은 초국가적 유토피안 비전의 제시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 시각에서 제기되는 비서구와 제3세계의 지리정치학적 까닭에 그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가 요구된 것이다.
서양적 가치와 기준으로 저개발 국가를 변화시키는 제1세계의 글로벌리즘에 맞서 대두된 것이 비서구가 서구에 비판적으로 개입하여 자신의 문화적 맥락을 세계로 확장하려는 대안 개념이자 주변부의 지역성을 중시하는 글로컬리즘(glocalism)이다. 이는 공식적 식민 시대가 끝난 이후에도 존속되는 신식민주의, 즉 정치, 경제, 문화의 불평등한 국제 관계를 유지시키는 신제국주의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경각심과 위기의식에 맞닿아 있는 관점이다. 탈중심주의적으로 재편된 글로컬리즘은 지적, 윤리적 여행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하고 타자를 포용하는 김수자와 함경아의 예술적 노마디즘을 연결하는 하나의 개연성이 된다.
김수자와 함경아의 노마디즘은 위의 논의가 시사하듯이 세계와 지역, 중심과 주변을 결합시키는 예술적 동력이 된다. 이와 맞물려 이들의 노마디즘은 여성 화자를 가시화하는 의식적 기제가 되는데, 바로 이 대목에서 김수자의 ‘보따리 작’업과 함경아의 '자수 프로젝트'가 시사하는 조형의 젠더 특정성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다수의 현대미술 작가들이 남녀 할 것 없이 천 작업이나 수공예를 새로운 조형 언어로 활용하고 있지만, 이 두 작가의 경우는 매체적 관심이나 탐구보다는 '매체가 메시지'가 되는 주제적 필연성이 우선시된다. 김수자의 '보따리'는 여성의 일상적 가사행위와 한국의 전통적 여성 역할에 대한 통찰에서 비롯됐고, 함경아의 '자수 프로젝트'는 북한 사람들과의 소통을 위해 고안된 여성적 접근의 산물이라고 볼 때, 이들의 천, 바느질, 자수 작업을 여성 문화, 공동체 의식과 관련되는 주제의식과 분리시켜 생각하기 어렵다.
요컨대 이들의 예술적 노마디즘을 시각화하는 보따리와 자수를 글로컬리즘의 맥락에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수자의 보따리는 노마디즘의 물리적, 상징적 표상이며, 함경아의 북한 자수는 변방의 기예가 문화적, 지리적으로 재조명되는 이동의 메타포로 의미의 확장이 가능하다. 말하자면 천과 자수는 이 두 작가의 노마디즘이라는 주제의식을 가시화하는 기표인 셈이다. 이런 점에서 이들의 천 작업은 매체 이상의 의미를 필연적으로 함축한다. 결국 노마디즘과 여성 수공예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들 예술의 미학적, 정치적 좌표가 자리매김되고 페미니즘적인 함의가 깃들게 되는 것이다.
김수자의 보따리 작업은 바느질과 같은 여성의 일상적 가사행위, 크게는 의식주를 관장하는 생활 양식이 현대미술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개념화하고 의미화하는지를 흥미롭게 보여준다.[1] 지금도 고이 간직하고 있는 할머니의 한복과 그에 깃든 향수, 어머니와 함께 이불을 꿰매던 추억이 그의 회화적 천 작업과 조각적 보따리 작업을 탄생시킨 모태가 되었고, 작가가 세계 곳곳을 여행하는 사이 그 작품들은 하나의 생명체처럼 성장하고 진화하였다. 1992년 뉴욕 P.S.1 컨템포러리아트센터 프로그램 레지던시에서 처음 선보인 작가의 보따리는 다수의 국내외 전시를 거쳐 양식적, 매체적, 개념적으로 다변화하였다. 때로는 작가의 몸, 여인의 몸으로 의인화하는가 하면 종래는 호흡과 빛 같은 비물질의 보따리로 그 양태가 바뀌면서 미학적, 정치적으로 심화되었다. 개인의 사연을 담은 '나의 보따리'가 역사의 질곡과 시련을 대면하는 '우리의 보따리'로 전환되고, 사적 영역을 넘는 공적 서사, 상처를 감싸고 치유하는 포용의 기표로 확장된 것이다.
김수자의 보따리가 처음으로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지금은 전설이 된 역사적 전시회 「떠도는 도시들 (Cities on the Move)」(1997-1999)[2]을 통해서였다.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 Ulrich Obrist)와 후 한루(Hou Hanru)가 기획한 이 전시회는 신자유주의와 글로벌리즘의 영향 아래 아시아가 지리정치학적 요지로 부상하면서, 신도시 건설 붐과 새로운 도시문화가 부흥하던 1990년대를 배경으로 탄생한 시의적인 다장르 예술 이벤트였다. 작가는 이 전시 출품작으로, 자기 작업의 이정표가 된 <떠도는 도시들- 2727 킬로미터 보따리 트럭>(1997)을 발표했다. 보따리를 가득 실은 트럭을 타고 한국의 정든 마을 길을 따라 장장 이천칠백이십칠 킬로를 달린 방랑의 여정을 기록한 이 퍼포먼스 비디오에서, 작가는 스쳐 지나는 한국 풍경을 뒤로하며 보따리 위에 걸터앉은 채 고정된 프레임 속에서 내내 뒷모습만 보이고 있다. 현대적 도시 현상과 진보 개념을 역행하듯, 보따리와 쓸쓸한 여인의 뒷모습이 유랑민의 소외와 노스탤지어를 환기시키는 이 작품은, 전시 주제를 독창적으로 해석한 대표작으로 평가되어 그를 단번에 세계적 작가로 등극시켰다.
작품 속에서 길을 떠난 주인공처럼 김수자는 1999년 한국을 떠나뉴욕으로 이주했다. 그는 그때를 "무척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스스로가 자신을 세계에 홀로 내던진, 스스로를 문화적 망명자로 규정하는 그런 드라마틱한 상황이 스트레스로 여겨진다기보다는 나 자신을 한계 상황으로 내몬다는 생각이었고 또 하나의 미래의 도전으로 생각했었다"고 회고한다.[3] 문화적 망명자로서 이방인의 삶을 영위하는 한계 상황 속에서 그는 '바늘 여인' 연작(1999-2009)을 비롯해, <구걸하는 여인>(2000-2001) <집 없는 여인- 델리>(2000) <집 없는 여인-카이로>(2001) <빨래하는 여인>(2000) <거울 여인>(2002) <바람 여인>(2003) 등, 스스로에 대해 사유하고 여성이 가진 치유의 힘을 암시하는 다수의 퍼포먼스 비디오를 탄생시키게 된다.
'바늘 여인'의 첫번째 연작(1999-2001)은 도쿄, 상하이, 멕시코시티, 런던, 델리, 뉴욕, 카이로, 라고스 등 인구가 밀집한 여덟 개의 대도시에서 촬영한 다채널 퍼포먼스 비디오이다. 작가는 여기서도 관객으로부터 등을 돌린 채 대도시 군중들의 물결 한가운데 부동의 자세로 서 있다. 내적 동요를 불러일으키는 부동의 뒷모습, 김수자 특유의 이러한 미장센은 도쿄 거리에서 일어났던 실존적 체험에 근간한다. 작가는 시부야 거리를 걸으며 "누적된 인파의 물결에 압도당한 순간 그 자리에 설 수밖에 없었으며 그 압도적인 순간의 도착이 바로 바늘 여인의 시작"이 되었다고 말하며, 부동의 퍼포먼스 과정을 통해 자신이 “지워지는" 느낌이었다고 술회한다.[4] 바로 그 순간 작가는 마음의 평화를 되찾고 자신이 군중을 감싸는 보자기가 되는 동시에 그들을 직조하는 바늘이 되어 군중과 하나되는 '접신적' 일체감을 느낀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익명의 군중을 향한 감정이입, 연민, 포용, 환대의 감흥이었을 것이다.
'바늘 여인'의 두번째 작품은 2005년 베네치아비엔날레를 위해 제작된 퍼포먼스 비디오로, 여기서 작가는 인구가 밀집한 불특정 대도시보다는 정치적, 종교적 분쟁과 내전, 폭력과 빈곤이 만연한 여섯 개 도시, 네팔의 파탄,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예멘의 사나, 쿠바의 하바나,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차드의 은자메나를 탐방했다. 착취되고 소외되고 거세된 공간, 비탄에 빠진 도시 속 재앙의 긴장감이 리얼타임 대신에 슬로 모션으로 고조되는 이 비디오에서 작가는 무언과 부동의 자세로 존재감을 박탈당한 채, "천을 꿰매는 자신의 매개 역할을 하고 나면, 실 자국만 남기고 자기 자신은 그 장소에서 사라지는"[5] 바늘처럼, 느린 속도의 영상 속으로, 추상적 시간 속으로 소멸되었다. 글로벌리즘과 신자유주의의의 명암, 즉 제1세계와 제3세계, 중심과 주변, 세계와 지역, 서구와 아시아, 강국과 약소국, 빈부의 갈등이 충돌하는 혼란의 현장,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가 엇갈리는 혼란을 주제화하면서 작가는 자신이 찌르고 봉합하는 바늘이 되어 지구와 인류의 불행을 지우는 치유자가 되기를 염원하는 동시에 전쟁과 이주와 망명의 희생자들과 '관계 짓기'를 시도한 것이다.[6]
김수자의 노마디즘을 전하는 페미니스트 바늘 여인의 메시지는 다큐멘터리 비디오 <뭄바이-빨래터>(2007-2008)로 발전되었다. 고된 빨래 노동, 지저분한 거주공간, 지친 사람들을 가득 태운 기차 등, 뭄바이 슬럼가의 실제 일상을 포착한 이 비디오에서 작가는 옷과 직물을 모티프로 인간의 존재론적 현존을 진단했다. 직물을 매개로 한 다큐멘터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 '실의 궤적' 연작에서 인류학적, 고고학적, 문명사적 차원으로 본격화되었다. 처음으로 16밀리 필름을 사용한 대형 파노라마이자 여섯 장으로 구성되는 대하 서사 다큐멘터리인 이 영상에서 작가는 유럽, 동남아시아, 북남미, 아프리카 등의 여러 문화권을 이동하며 실의 노선, 직물의 경로를 추적한다. 여기서는 작가의 모습이 사라지는 대신 카메라 뒤에서 응시하는 작가의 눈이 직조 문화의 원형적 장면과 어휘를 포착한다. 자연환경, 지리형태, 농경지, 건축물과 텍스타일의 구조적 유사성을 통해 다양한 직조 문화에 내재한 인간 존재의 원형, 원초적 생명원리를 발견하고 이분화될 수 없는 문명과 삶의 관계를 재확인한다. 페루에서의 <실의 궤적-제1장> (2010)은 씨줄과 날줄로 직조되는 직물의 결을 물속에 침전된 모래가 만든 선들, 원거리 숏으로부터 줌인(zoom in)되는 산등성이 경작지, 직조공들의 주름살, 건축물 구조에 유비시킨다. 이어지는 연작에서도 작가는 바구니, 자수, 물레질, 레이스뜨기와 같은 다양한 직조 문화에서 인간 존재의 공통적 원형, 원초적 생명원리를 발견하며 카메라 앵글을 통한 관객과의 대화를 이어간다.
'실의 궤적'은 '바늘 여인'의 연장선상에서 자신의 몸으로 인간, 자연, 우주를 직조해낸 복합적 진술이었다. 작가는 이미 <직물 공장>(2004)에서 바늘과 보따리로 의인화된 자신의 몸을 매체화하는 숨소리 사운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폴란드 우치비엔날레 출품작으로 직물 공장이었던 우치의 빈 건물에서 영감을 받은 <직물 공장>은 자신의 숨소리와 허밍 사운드를 불어넣어 공장을 재가동시킨다는, 즉 빈 공장과 몸을 일체화시킨다는 개념으로 발상되었다. 들숨과 날숨으로 반복되는 호흡을 씨줄과 날줄로 교차되는 직물 또는 바느질의 수직 수평 순환 구조에 유비시키는 호흡 퍼포먼스는 2006년 베네치아의 라 페니체 (La Fenice) 극장에서 발표한 <호흡- 보이지 않는 거울, 보이지 않는 바늘>로 본격화되었다. 작가의 호흡과 관객의 호흡이 혼연일체가 되어 극장을 감싸고 극장은 이들의 숨소리 앙상블을 담는 매개가 되어 그야말로 오페라 공연을 대신하는 숨소리, 삶 소리의 향연이 펼쳐진 것이다. 같은 해 마드리드 크리스털팰리스 개인전 「호흡- 거울 여인」에서는 건축물에 입힌 특수 필름이 굴절시키는 무지개 태양빛과 바닥에 설치된 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빛이 조우하며 크리스털팰리스와 온몸을 감싸고 빛과 호흡이 공명하는공감각적 보따리를 창출했다.
숨소리와 빛으로 공간을 감싸는, 탈물질화된 보따리를 '후기 보따리’로 명명한다면, 2013년 베네치아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호흡보따리」가 이를 본격화했다. 작가는 한국관의 유리 전면을 특수필름으로 덮어 무한대로 굴절되는 무지갯빛으로 공간을 가득 채우고, 바닥에 거울을 부착하여 반사된 빛을 재투영시키는 만화경 같은 미러링 효과를 연출했다. 빛의 스펙트럼에 조응하듯, 다른 편에는 빛이 없는 밀실이 마련되었다. 암흑의 공포 속에서 관객은 숨소리, 기침, 맥박 등 자기 몸의 소리만을 듣게 된다. 빛과 암흑이 공존하는 우주적 보따리, 죽음과 생명이 하나 된 삶의 보따리를 직조한 것이다.
이후 작가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의 「MMCA 현대차 시리즈 2016:김수자-마음의 기하학」에서도 관객을 공명시키는 빛과 소리의 보따리를 선사했다. 미술관 중정을 예의 특수필름으로 굴절시켜 영롱한 빛의 공간으로 전환시킨 빛 작업과 함께, 이번에는 <구의 궤적>이라는 새로운 사운드 퍼포먼스를 소개했다. 이 작업에서 커다란 타원형 탁자에 초대된 관객들은 그곳에 놓인 진흙 덩어리를 손으로 빚어 탁자에 굴린다. 그렇게 해서 마치 진흙으로 인간을 창조하듯, 추상적 구의 형태를 만드는 제식적 관객참여 퍼포먼스 <마음의 기하학(Archive of Mind)>이 완성된다. 관객이 빚은 찰흙 공을 탁자에 굴리는 소리와, 작가가 입으로 가글하는 소리가 2채널 사운드로 뒤섞여서 온 공간에 울려 퍼질 때, 관객은 진흙으로 빚어진 구체와 자신의 손이 하나가 되는 혼연일체의 감흥으로 실제 가글하는 녹음 소리와 공이 굴러가는 녹음 소리가 2채널로 들리는 공감각적 경험을 만끽하게 된다. 노마디즘의 징표인 보따리가 지리적 공간에서 심리적 공간으로 이동하며 '바늘 여인'의 메시지가 심화, 확장된 것이다.
[...]
김수자와 함경아의 작품세계를 연결하는 공통의 키워드는 '관계 맺기'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 맺기는 우선 천과 바느질로 개념화한다. 김수자는 천을 잇고 보자기로 싸는 자신의 '보따리' 작업을 나와 타인, 나와 세계, 자연, 우주를 일체화시키는 포용의 기제로, 함경아는 '자수 프로젝트'를 남북의 분단을 해소할 수 있는 사적, 비언어적 대화로 간주한다.
이들의 관계 맺기는 현대판 노마디즘으로 추동된다. 이들의 노마디즘은 실제로 물리적 장소를 이동하며 여행한다는 점에서 하이테크와 유비쿼터스로 견인되는 자유분방한 디지털 노마드, 또는 '신유목민'과 차별화되지만, 최소한 인터넷 정보를 발판으로 소수민족, 다문화 현상을 접하며 잃어버린 공동체를 회복시키고, 사회참여적이며 인터랙티브한 민주화의 지평을 열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이십일세기형 신유목민적 정서를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중요한 점은 이들의 노마디즘이 서구중심의 글로벌리즘과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의식과 맞닿아 있는 글로컬리즘이라는 명제를 충족시킨다는 점이다. 세계적이면서도 지역적인 글로컬한 정서와 인류학적 관심, 실험정신으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까닭에 이들의 여행을 예술적이고 윤리적인 탐사여행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전지구적 공생과 인간적 포용, 타자와의 조응, 동시대 재앙에 대한 연민과 치유, 교차문화적 연합을 위한 결단을 실행시키는 김수자와 함경아의 노마디즘은 자연스럽게 '환대'에 결부된다. 환대의 가치는 누구에게나 열린 지적 풍요와 자유정신에서 찾아지는데, 이것이 예술로써 실천될 때 놀라운 반전의 효과가 나타난다. 도덕적 제어나 조건 없는 환대로 자기중심적, 지역 중심적 문화예술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으며, 국가주의 이념과 정치적 폭력,또는 타자에 대한 의심과 적개심, 자연적 환경에 대한 불신, 경제적 이득을 최종 목표로 삼는 신자유주의적 풍토에 대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환대는 지역주의,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인종차별, 기후와 환경 등 첨예한 이슈와 관련되는 새로운 정치 미술의 미학적 기폭제가 된다. •특히 페미니즘은 환대를 수용함으로써 인종과 젠더에 따른 억압에 대항하고, 여성, 고령자, 장애인과 같은 하위주체를 포용함으로써 비서구적이고 비부계적이며 비모더니즘적인 예술을 성취한다. 치유자, 매개자로서의 여성의 역할을 암시하는 김수자, 분단을 주제로 하는 대화와 부드러운 예술적 접근으로 북한과 소통하려는 함경아의 작품에는 강력하면서도 설득력있는 환대의 메시지가 존재하며, 그로써 확장된 페미니즘 미술의 사례를 제시한다. 타자와 주변부를 감싸는 포용적 환대로 자기중심적이고 지역 이기주의적인 한계, 단선적 페미니즘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 이 두 작가의 예술을 확장된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독해하는 명분이다.
[Note]
[1] 김수자, 「여성, 그 다름과 힘」 전시 도록, p. 83. "여성의 일상은 평면 작업, 입체 작업, 주생활(housing)에 있어서의 시각적인 체계는 현대미술의 단면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설치 작업, 그리고 행위예술로 점철되어 있다. 즉, 의생활(clothing), 식생활(cooking), 먼지 털기, 집안 꾸미기, 밥 짓기, 장보기, 요리하기, 상 차리기, 그리고 설거지하기 등등 (・・・) 현대미술의 구조적 논리가 이 속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이 모든 세 부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감상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논리적이고도 매혹적 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일상의 단조로움을 깨워 주는 비일상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일상, 혹은 여성의 일의 개념화 (conceptualization)이다. 동시에 그 과정을 통해 나 스스로를 소멸시키는 작업이다."
[2] 이 전시에는 미술가, 건축가, 영화 제작자, 디자이너 백오십여 명이 참여하였고, 이 년간 비엔나, 뉴욕, 보르도, 덴마크, 런던, 방콕, 헬싱키 등 일곱 개 국가의 대도시에서 순회전을 가졌다.
[3] 김수자, 윤혜정과의 인터뷰, 「김수자: 삶과 존재를 끝없이 질문하는 개념미술가」, 윤혜정,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 을유문화사, 2020, p. 61.
[4] 김수자, 김홍희와의 인터뷰, 2021.
[5] 김수자, 최윤정과의 인터뷰, 「김수자의 바늘 여인, 성소적 의식」, 대구미술관 개관특별전 (2011.12.-2012. 4.) 도록 『김수자』, p. 40.
[6] 김수자, 윤혜정과의 인터뷰, 「김수자: 삶과 존재를 끝없이 질문하는 개념미술가」, 윤혜 정, 「나의 사적인 예술가들, p. 53. "몸과 손, 천에 이르는 관계, 걸음과 땅의 관계 지음, 날숨과 들숨의 관계 지음, 또 내 눈과 그를 보는 거울 속의 눈의 관계 지음이다. 이 세상에 관계 지어지지 않는 것이 있을까? 인터넷 시대에 우리가 하는 모든 일상이 바로 '바느질 하기'이며 이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바느질 망을 벗어나기 어렵게 되었다."
Emma Lavigne
2024
Surrounded by the ring of the Passage, studded with a constellation of 24 display cases and accentuated by Tadao Ando's concrete volute, the zenithal Rotunda of the Bourse de Commerce, built in 1889, conserves the memory of its previous incarnations. In the sixteenth century, it was the palace of Catherine de' Medici flanked by its astronomical observation tower, and then,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Halle au blé (Wheat Exchange) part of a tradition of with its circular floor plan. This remarkable architecture is constructions - from Hadrian's Pantheon in Rome to the utopian architecture of Boullée and Ledoux-that have used spherical forms as a metaphor for the symbolic forming of the world. Through the vast painted panorama of its marouflage canvas, it also features a paradoxical world tour, glorifying France's commercial expansion during the Third Republic. An artist of travel, crossings, and nomadism, since her eleven-day truck journey - across Korea, perched on makeshift fabric bundles - Kimsooja has deposited a constellation of works at the Bourse de Commerce, spanning nearly forty years of her artistic practice, as though laying down her luggage after a long voyage, so as to stay for a while, on her infinite trajectory, at this unique building. Echoing Tadao Ando's thought and his quest for an architecture of the void and the infinite, Kimsooja covers the floor of the Rotunda with mirrors and transforms the work of art - beyond an object, an installation, or an image into an essential experience. Between and disappearance, contemplation and astonishment, dizziness and dazzlement, the void thus transfigured is no longer, in François Cheng's words, "an inert presence, it is pervaded by breaths connecting the visible world to an invisible world."[1] The mirror that also presents a gathering place, inviting us to form a collective world.
Giving form and life to works that are not inert objects but immaterial presences engaging with the invisible and ephemeral, Kimsooja sets artworks in motion that are often spherical, grains of sand or flaxseed, porcelain or clay balls, fabric bottaris and moon jars in earthy colours. These arrangements that form miniature worlds or microcosms within the enclosed space of the display cases appear to have been put back into circulation, like an intangible choreography, sparked by the artist's gestures, which brought them into being, and animated by the slow and inexorable course of the stars as they make their way across the huge glass oculus. Peter Sloterdijk, in his trilogy Sphères (1998-2004), paints a philosophical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is fundamental form that is the sphere and which,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allows humans to invent their own material, symbolic, and cosmological environment, thus enabling them to inhabit the world. Each clay ball shaped in the palm of Kimsooja's hand contributes to instituting a universal cosmogony, and awakens the power of archetypes and myths contained within the clay: the raw material of the human body. Each bottari is like a skin clinging to the body, from birth to death, like a shroud. The artist specifies the extent to which the "bottari is everywhere - body and mind, womb and tomb, globe and universe, … folding and unfolding our mind and geography, time and space."[2] Bottari, like a metaphor and extension of the human body in its eternal progression through the life cycle, weaves together Asian and Western cultures, everyday life and art,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al, past and present, life on Earth and cosmic time, since - according to Kimsooja - each bottari can resemble a planet in motion, like the eclipse oriented towards Goa Beach, in India, in A Mirror Woman: The Sun & The Moon, 2008.
[Note]
[1] François Cheng, Vide et Plein (Paris: Seuil, 1991), 47.
[2] Email conversation between Kimsooja and Hans Ulrich Obrist, 16 April - 5 May 1998, published in Kimsooja, A Needle Woman (Bern: Kunsthalle Bern, 2001), 39.
Lilly Wei
2024
Ambiguous, talismanic, intangible, meticulous – Kimsooja’s immersive installations explore themes of being, non-being and coming into being
Kimsooja’s exhibition at Tanya Bonakdar is her first solo show in New York in nearly two decades and a welcome chance to see what she has been up to of late. The artist (b1957, Daegu, South Korea) has impeccable international art world credentials and is an influential presence in top-tier exhibitions and venues across the globe: documenta 14 (2017); the 55th Venice Biennale (2013), representing Korea; the 24th São Paulo Biennial (1998), ditto; participating in more than 30 biennials and triennials in the last three decades – and the list goes on.
Much admired as a conceptual and performance artist, Kimsooja is a film-maker, photographer and sculptor, her increasingly immersive installations a combination of these disciplines and site-responsive, often incorporating textiles, mirrors, light and sound. Another characteristic of her oeuvre is the distinctive, unforced synthesis of the artistic traditions and philosophies of her native Korea with contemporary western visual practices and techniques. A cosmopolite studying art in Seoul and Paris and a longtime resident of those cities and New York, as a site-specific installation artist, she travels the world for the sake of her art.
The works on display in Chelsea, New York, are from the past six years to the present. While they bear titles of projects originating much earlier, they are different iterations of them as her thinking constantly evolves, re-envisioning them, recontextualising them. To Breathe (2024) consists of diffraction grating film, a material that has become a favourite of hers, applied to the windows of the gallery, which causes the incident light to fracture into countless colliding rainbows under the right conditions, the effect like that of a magnificent aurora borealis. To Breathe (2015), located in the main space, consists of an enormous rectangular platform raised slightly above the floor, its pristine surface a mirror. At its centre is a projection that slowly shifts colours, suffusing the room in a series of glowing ethereal hues, as if painting in space, on air, its rhythmic cycle suggesting the steady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breath, making us more aware of our own breathing, our own bodies.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platform doubles the room, opening it up, and also completing it, a kind of yin/yang balancing. Viewers, feet bootied, are invited to walk on the platform, but it can also be unsettling, as the ground seemingly disappears from underfoot, the room turned upside down, the force of gravity no longer as certain, and we become free-floating. Kimsooja once said that instead of building new spaces, she transforms existing ones. The physical space remains more or less as is, but it has been so visually and psychologically altered that it is experienced in an entirely different way.
Upstairs, there is an installation of three unpainted linen canvases stretched over wooden frames, their grids visible through the finely woven, subtly sheened fabric, as if you were looking at the back of a painting or a screen, suspended from the ceiling to hover about two feet above the floor. Called Meta-Paintings (2024), they suggest potential, a state of fluidity and futurity in which the paintings are suspended temporarily, about to come into being, about to be constructed, a space for interweaving memories and feelings into structures that are intentionally indeterminate, a pause in between making and non-making, in complicity with the viewer.
They are accompanied by her signature bottari (wrapped cloth bundles that were the traditional Korean method of transporting possessions), made of the same fabric as the canvases, set on the floor, although in the past they have often been festively coloured and patterned, the materials more opulent. It is conceptually a critical form for her, drawing the commonplace and quotidian into the realm of art as a feminist stance, a form that she has returned to time and again since 1992. The bottari’s contents, although concealed, are chosen and packed with meticulous care – everything Kimsooja does is meticulous, with the classic elegance of the measured, the proportionate – often filled with clothing and objects from the locations of the show, and, like the unpainted paintings, also repositories for the invisible, the intangible. Carried by wanderers on their journeys, and emblematic of displacement, exile and impermanence, they symbolise the loss of home as well as a future in which a new home might be established. They also tell of the leavings and returns, voluntary and involuntary, that have become so inevitably, intractably part of contemporary life.
In the smaller upstairs project room, an upright six-foot-tall oval, Deductive Object (2016), far more imposing than its measurements and a bit of a visual conundrum, summons up Anish Kapoor’s optical feints. A dense, velvety, absorbent black, it is set on a mirrored base, the shape inspired by the Brahmanda stone, or “cosmic egg”, of Indian mythology, located at the centre of creation. It emerges twinned from the reflective circular surface, another manifestation of states of being and non-being, of coming into being. I walked around it several times, but it never seemed to change in shape. I thought it was flat, but I wasn’t sure; it didn’t seem to have an edge. But it didn’t seem to be three-dimensional either, the ambiguity intriguing, making it even more potent, mysterious, talismanic. I know my question could be resolved, but perhaps some things don’t need to be.
There are also three crumbled sheets of hanji paper, framed, called Deductive Object: (Un)fold (2023), nearby. To make them, the paper is crumpled in the artist’s hand, then released, smoothed back to its original shape, but with a surface that has now been marked, irrevocably changed, describing the act of creation in its purest, most primary gesture, one that lies at the core of Kimsooja’s art.
— Studio International, may 2024.
Kyoo Lee
2024
Kimsooja, the light-weaving, room-making conceptual artist, is an epochal ‘threader’ par excellence, and Archive of Mind (2016–2017) at the MMCA Seoul, one of her key exhibitions, epitomizes her ongoing pivottari art of planetary network and ecological knitwork.
At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hall of Archive of Mind, Kimsooja constructed a large wooden table where visitors were invited to make balls of clay, whatever size and shape, and leave them there on the table. This part of the ‘show in the making', so to speak, this ingenious process in place, part of an immersive theatre within the exhibition space, automatically completed the show at the end and renders it, inevitably, incomplete.
This structured open-endedness, punctuated by the conceptual precision of the mode of material presentation, carries the signature of the artist, who works across the globe and whose works are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Her Thread Routes series of 16 mm films (2010–), for instance, are filled with seamlessly connected images of textile cultur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 and they, in turn, inspire me, the reader here, to see reading as a sort of radioactive threading as well. They form a marvelous mosaic of common and communal acts of sewing and weaving, mostly by women, as vividly illustrated by Chapter 4 of Thread Routes, a hypnotic series of wrapping and unwrapping, weaving and unweaving, constantly enveloping and reconnecting geometry and geology through the observant artist’s grammatical tool that is archival archaeology. This way, Kimsooja’s site-specific work -on-the-go becomes, at any given point in space and time, a concurrently unfolding (meta-)set of works in progress, which are quite literally countless except, perhaps, through her boarding passes and entry/exist records at various ports.
It is in that vein that I offer the following series of my own ‘rolling’ (gurooneun 구르는) thoughts on the ongoing work of Kimsooja. I begin by following the intricate polysemic resonances of her gu (a ball, spherically shaped or curved, 구 ), the centerpiece of Archive of Mind, along with her gigu (the Earth 지’구’ a ‘geo-ball’), both rhyming with gu, nine, one that is promisingly incomplete, infinitely pregnant.
Consider as a point of comparison The Dinner Party (1974–1979) by Judy Chicago at the Brooklyn Museum. There, the presence of ‘another’ 999 ‘women’ inscribed on the floor beneath the 39 virtually seated at the table, is sharply ghostly, to the point. The triangular edges of Chicago’s table make the point of it all pointedly clear, poignant. By contrast, the installation Archive of Mind by Kimsooja, a version of which is housed and still unfolding at the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is elliptical, not triangular, and retrofutural rather than historical. It is non-linear, not perspectival. All the edges softened, pushed in, pulled out, rounded off, and patted on, both the table and clay dumplings, everything around there is round or becoming rounder and rounder on mimacro scales.Kimsooja’s bottari-like open-ended planetary table embodies and stages different kinds of geometric considerations, imaginations, and sensibilities, where the sporadic fluidity of the circular structure, still anchored in its semi-visible center, architecturally communicates its topological porosity as well as kinetic inclusivity. To discern the porous dynamism of this otherwise serene ‘installation,’ we need to look, and listen, under the table as well for the Unfolding Sphere (2016) there, a sound piece with thirty-two speakers and a 16-channel soundtrack, which forms a subterranean micro-telecommunity. Dried clay balls rolling and touching angled corners generate sounds which can be thunderous when there is a hard enough collision, and together with the artist’s sound performance, “grrr,” a recording of her gargling with water, the collaborative concurrency of the Archive of Mind as a communing whole becomes more multi-sensorially complex as well.
In this cosmic pond at work that is not a pond, geometry in and of and around it becomes not only softly ‘manageable’ but audible. Geometry itself goes extradimensional. By de-angularizing, dynamizing, and polycentering the edges, by creatively deconstructing and amplifying them with a kind of gestural literalism and contingent collectivism, her table embraces an archival poignancy of political polarities and ongoing world-historical contradictions while translingualizing and translocating them. This communal table from the 2010s ‘throws out there’ while pivoting to, intersecting, tableaux, planes, or plates.
There, on the streets of consciousness where our peripatetic artist often works, kinetic contemporaneity and participatory democracy among people as living individuals is both practiced and presented. Such is how her ‘performances’ happen and happen in real time. Cohabitational coexistence is concretely contemplated. Her methodologically naturalized nomadism, trans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in which her own reparative poethic spirit and anthropological insights are implicitly articulated, are an understated expression of her social-ethical commitment.Take her more recent project, Traversées (2020), which turns the city of Poitiers, France, into a public artistic laboratory, a utopic workshop, by creating a tapestry of her own works and those of 20 artists she invited. If the world is her stage, her stage is also in you.
Kimsooja’s hanahana (hana 1 하나, one by one or one after another) and hanttamhanttam (hanttam 한 땀, one stitch after another) approach to worldly singularities shows the care with which the artist sees them not as insulated individualities but rather as coextensive with her cosmic vision for the intricately collaborative continuous whole.
As intriguingly illustrated in One Breath (2006/2016), her first digital embroidery piece, where a segment of a soundwave from her breathing performance is sewn across the canvas, the sound of a sigh could be a sign of survival, quite literally. Each breath, a cycl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s not a static ‘set’ but part of a vibrating whole in flux.
Likewise, again, Archive of Mind is a prime example, an active allegory. From a block of clay comes each ball; each one becomes 1±1 which remains 1. Each spherical object, each soft microcosm, remains and becomes part of one, materially, conceptually, performatively, numerically all at once, not unlike each ‘human’ being made of humus.
Kimsooja’s ‘blanket’ compassion for humanity along with her ecological affinity with the universe is universal. Yet she is not a universalist in any abstract or politicized sense of the term. On the contrary, her aspirations and gestures, ever so agilely measured, get vitally concretized, trans-individuated, and practiced at each subtly coordinated ‘needle point’ of artistic imagination and activation, as diagrammatized by her early piece Structure—A Study on Body (1981), a biographical addition to Archive of Mind at the MMCA.
This way, each gong (another word for a ball공 as in a baseball or football) becomes an embodiment of gong (blank, empty, void, vacuum 공 空) as well, part of the concept ‘space,’ ‘emptiness in between.’ Each gong deductively produced, procured, or procreated out of mu (nothing 무 無), pairable to another gong (to engineer, make, craft, fabricate, 공 工), embodies a muwee (unforced or effortless act, 무위 無爲 wuwei in Mandarin) exercise of a double gong, carefully freed-up or freely gravitational Daoist action in inaction. Each phase or stage of muwee, as archived by Geometry of Body (2006–2015), where the artist’s used yoga mat is upcycled as an avant-garde canvas that contemplates the ecologically layered and receptive temporality of an already-used object, not just Duchampian “readymade,” reanimates the invisible traces of inter-being that can be documented otherwise.
Such a work of memory or memory-work is where mental harboring turns into existential honoring. I myself recall, quite vividly, the first time I came across a “note” by ‘early’ Kimsooja. I remember that small print on the now-yellowing page, the artist’s statement at the end of the catalog for her first solo show back in 1988 at Gallery Hyundai, Seoul. I also remember my own fascination with that last page, the second paragraph between the first that is introductory and the conclusionary third. As if stitching those two ends together, in that middle paragraph, the artist singled out that “quotidian” day in 1983, as she put it, when she suddenly had a flash of inspiration for a ‘textual’ way out of the two-dimensional canvas: she felt she had just found a way to overcome, to transcend, the flat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of the otherwise static space for conventional painting. Indeed, how thrilling it must have been. I recall a kind of biogeometric vibration of the passage I myself felt, in turn, including the passage of time “folded in (내포 內包)” there as an actively archival “possibility,” as the young artist was saying. And such an otherwise passable pinnacle — a needle point of Kimsooja’s artistic intuition, where her rationality and sensibility converge — came at a moment of everyday muwee with her mother, the mother and the daughter sewing together as usual, as she pointed out. Revisiting that passage now, what I find remarkable is a curvy resonance, and virtual overlap, between that momentary episode and each random moment in Archive of Mind when each participant would make their own gong with gently focused meditative attention.
To read Kimsooja is to tread, gently, on the roundness of her piercing vision.
Gong in the (un)making is happening all the time, and gong is what Kimsooja’s bottari makes and is made of. Turn, now, to this separate, larger-scaled gong of the artist’s own making, Deductive Object (2016), part of an ongoing series with the same conceptual title; At the MMCA, Archive of Mind presented two iterations with the same name, one indoors and the other outdoors. The Deductive Object (2016) inside the building, a live-cast sculpture of the artist’s arms in the middle of making something, performs a kinetic gong through the space shared and shape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gure in a reciprocally gestural interaction. The other Deductive Object (2016), outside the building, is an oval-shaped ball, almost an odd ball, that could look, to some, like an inflated American football. An ovoid sculpture inspired by the Brahmanda (the Indian ‘cosmic egg’) and tightly wrapped in a vivid Obangsaek (a band of the ‘five’ rainbowy ‘directional colors’ in Korean culture) fabric, it stands serenely on a mirrored plinth, like a double parody of Columbus’ egg, with no part flattened at all.
Likewise, each of Kimsooja’s bottari tends to exist entirely on its own, yet stands in ready solidarity with any others. Her bottari is not an inductive object that can be accumulated like “one little, two little, three little” abstract “Indians” but, again, a deductive sobject, an object that stands like and turns into a subject at any agile moment. This bottari sobject as a knotted allegory of life and death on the moving walk holds — folds and unfolds — itself pivotally, like, let’s say, a pivottari. The Deductive Objects (2016) are a dual, pivotal manifestation of such self-concealing and revealing sobjectivity of a living and dying thingy, a container that cannot be contained. This ‘inoutside’ interfaciality between the two versions of Deductive Objects (2016) contributes to the exemplarity of Archive of Mind (or a ‘Geometry of Mind’ in Korean translation) as a unique placeholder in Kimsooja’s artistic trajectory, where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the intensive and the extensive, hug, or hold hands, through a matrixial materialization of their intercategorical interdependence.
Particularly fascinating in that regard is Kimsooja’s more recent iteration of Deductive Object – Bottari (2023), an intensification of the inout-side sobjectivity of her pivottari. Her geological and geoptical navigation into the world of a measured land, namely, geometry, appears to have become more literal than ever. Taking her muwee art of site-specific making and unmaking to the next level, this time at Meridiano, an open-air gallery in Puerto Escondido, Mexico, she placed this new deductive object in the center of the square room at the gallery: a big rock she came across during her residency there, which she then painted matte black. At Meridiano, where the inside becomes outside and vice versa through the unique architectural porosity of the building, the found object reintroduced into the gallery as a kind of black hole library remains outside as well, and its nonhuman alterity unaltered. With its archaic illegibility shielded from human overfamiliarity, the rock becomes the new bottari, except that it is not exactly mobile. This time, her body alone, the bottari of her whole being, moves along, and with that, the movement becomes a moment, an event that is not only site-specific but time-sensitive.
Kimsooja’s performative gaze at this rock pivottari is an archive meeting another archive. Back in 2016, at the MMCA, it was an archival cast of the artist’s hands that met the gaze of a deductive object across the museum wall; in 2023 at Meridiano, it is the artist’s gaze at a distance, questioning itself more directly through the other, stony gaze from the object that had already been there all along, from immemorial times. Here, this kind of Daoist anonymity and liberty, this originary namelessness, of the rock and the artist’s body (both as deductive objects wirelessly united by their nameless contingent ecological affinity), is an aesthetic imperative stronger than any rule of the game. They both become a medium, the eye of a needle, through which a new horizon of perceptions arises, a new plane opens up.
Surface matters, especially if you can see it better, more deeply and broadly.
Imagine a world about to be decimated by its own hand that can only count 1 to 10, up and down. In the increasingly digitotalized world of climate change and collateral crises, the analog (im)materiality of Kimsooja’s connective gazes and gestures are breathtakingly retrofutural. Again, the visible void in and of One Breath (2006/2016) — a gong work of art discussed earlier as an example of hanahana modus operandi — indexicalizes this zone of ‘coviving’ survival, a possibility of zero as a bridge that goes on, a transfer point that keeps things in transit. Here is a glimmer of hope, an echo from the belly of the world.
In the tidal waves of spacetime, a push and pull of life and death, likewise, of being and non-being, light and darkness, sound and silence, and so on, creates its own kaleidoscopic dramas, as subtly sensorialized by To Breathe (2016). It was a rescaled, site-specific reinterpretation of Kimsooja’s earlier major works for the Reina Sofia’s Crystal Palace in 2006 and the Korean Pavilion at Venice Art Biennale in 2013. If we pair it now with the more microscopic, conceptual piece also at the show One Breath, we can better appreciate an epoch-heralding significance of the site-specific 2016 series To Breathe, recently reiterated at Palazzo Grassi in Venice (2023) and earlier in Leiden (2022) in the Netherlands.
Connecting them further to another current exhibition, Weaving the Light (2023) at Cisternerne, the former water reservoirs for the city of Copenhagen (now a unique, massive underground art space), we can see how her pivottari, deductive objects, and breath works converge more expansively and fundamentally than ever. Connecting these ‘breathing’ works across the globe, we begin to sense more clearly how and why subterranean and areal/aerial mediation and meditations matter, especially now.
To be is to be connected. To be on, especially today, electronically or otherwise, means to find ways to stay present in the moment across various visible and invisible boundaries and walls and wires. For We Do Not Dream Alone (2020), as Kimsooja puts it, in a nod to a text in Yoko Ono’s artist’s book Grapefruit (1964), in her contribution to the first Asia Society Triennale in New York in 2020 (which had the same title). The resonance between this 2020 ‘occasional’ dream piece accompanied by To Breathe – The Flags (2012) and the preceding fugues of Archive of Mind (2017) at the Palazzo Fortuny in Venice followed by the version at the Peabody Essex Museum (2018) and the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2022-2023) is immediate, both quotidian and global. She is on it, wherever she is.
As shown above, all the eight works in constellation in Archive of Mind are in constellation with numerous other works in the planetary plateau of Kimsooja, as shown above.
Everything I said above will have to remain inconclusive. That is not just because Kimsooja continues to work, even more prolifically than ever, but because to be in the world of Kimsoojian art, which constantly works on the pores and ports of being, is ‘to be continued.’ Continuity is what ‘is’ somehow in a thread, a non-linear line in time, not quite a point of demonstration or presence, but something slidingly, singularily moving between points, planes of immanent transcendence. The needle, the body, is that which disappears there, yet not without consequences. Archive of Mind once entered it: That timely event is now part of a broader archive of The KSJ Continuum that is reflecting on its ripple effects.
— Essay from ‘MMCA Hyundai Motor Series 2014-2023’' published b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2024. pp.150-160.
규 리 (Kyoo Lee)
2024
빛을 직조하고 공간을 창조하는 개념 예술가 김수자는 신기원적 작품 세계를 펼쳐온 ‘바느질꾼(threader)’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2016~2017년에 열린 《마음의 기하학(Archive of Mind)》전은 그의 주요 전시 중 하나로, 언제나 현재 진행형으로 지구의 관계망과 생태학적 직조를 담아내는 그의 중 추적 예술 세계를 완벽히 보여주었다.
김수자는 《마음의 기하학》전 전시관의 한가운데에 커다란 목재 탁자를 설치하고, 관람객이 찰흙으로 크기나 모양에 구애받지 않는 구를 직접 만들어 올려놓게 했다. ‘만들어지고 있는 전시회’라 할 수 있는 이 기발한 과정은, 전시 공간 속 참여 무대로서 《마음의 기하학》전을 자연히 완결시키는 동시에, 필연적으로 미완으로 남게 했다.
물질 표현 방식의 개념적 정밀함으로 더욱 강조된 그 확장 가능형 구조에, 세계를 무대로 지구 곳곳에 작품을 남기는 김수자의 대표적 고유성이 담겨 있다. 한편 〈실의 궤적(Thread Routes)〉(2010~)이라는 김수자의 16밀리미터 필름 영상 연작은 세계 곳곳의 다양한 직물 문화를 절묘하게 이어 붙인 작품으로, 바느질과 직물 짜기라는, 주로 여성들에 의해 행해지는 보편적이고 공동체적인 행위를 담아낸 경이로운 모자이크다. (이 작품이 준 영감으로 인해,
나는 글을 읽는 나의 행위를 일종의 방사성 바느질로서 바라보게 되었다.) 《마음의 기하학》전에서 선보인 그 4챕터 역시 예외가 아니다. 감싸고 풀고, 바느질하고 바느질을 푸는 행위가 최면을 걸듯 이어지며, 관찰하는 작가 김수자의 문법적 도구인 기록 고고학을 통해 기하학과 지질학이 끊임없이 내포하고 재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김수자의 장소특정적 작품들은 시공간의 어떤 지점에 있건 모두 동시에 만들어지고 있는 하나의 (메타)집합체다. 그 집합체에 포함된 작품의 수는 말 그대로 셀 수 없겠으나, 작가의 지난 항공권과 지구 곳곳의 출입국 기록을 통해서는 셀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여전히 만들어지는 과정에 있는 김수자의 작품 세계에 관한 나의 ‘구’르는 생각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마음의 기하학》전의 중심물인 ‘구(球, a ball)’, 그리고 작가의 지‘구’(地球, the Earth)가 주는 다의어적 공명에 따라, 이 글은 아홉 개의 부분으로 구성했다. ‘구’는 미완인 동시에 무한을 잉태한 숫자 ‘9’의 소리가 아닌가.
브루클린박물관에서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전시된 주디 시카고의 〈디너 파티(The Dinner Party)〉를 먼저 비교점으로서 살펴보자. 테이블에는 39인의 여인을 위해 마련된 가상의 초대석이 있는데, 그 초대석의 바닥에 새겨진 ‘다른 여성’ 999명의 존재는 흐릿하고도 단순하다. 삼각형이라는 테이블의 형태로 인해 그 모든 의미는 더 명료하고 통렬해진다. 그에 반해 지금도 그 한 버전이 뉴사우스웨일스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김수자의 설치 미술 〈마음의 기하학〉은 삼각형이 아닌 타원형이 그 핵심이며, 역사보다는 레트로 퓨처리즘을 향한다. 비선형이고 비-원근법적이다. 모든 가장자리는 부드러워지고 밀어 넣어지고 잡아당겨지고 둥글려지고 토닥거려지며, 테이블도 찰흙으로 빚은 공도 모두 크고 작은 규모로 이미 둥글거나 점점 더 둥글어진다.
보따리’를 닮아 미완의 개방성을 지닌, 또한 행성 같기도 한 김수자의 테이블은 특별한 종류의 기하학적 탐구, 상상, 감수성을 내포하고 드러낸다. 그 원형 구조의 산발적 유동성은 반(半)가시적인 중심에 묶인 채 위상 기하학적 다공성과 동적 포용성을 건축학적으로 표현한다. 그저 평화로운 ‘설치’ 미술로 느껴질 수도 있을 이 작품의 다공성 구조를 알아차리기 위해서는 그 테이블 아래도 보고 들어야 하는데, 소리 작품인 〈구의 궤적(Unfolding Sphere)〉(2016)이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16채널의 소리 트랙이 지하의 작은 통신 커뮤니티를 이루며 32개의 스피커에서 재생된다. 마른 찰흙 공이 굴러서 모난 가장자리에 부딪히는 소리는 천둥을 닮은 소리를 낼 수도 있고, 이에 작가 스스로가 물을 머금고 가글하는 사운드 퍼포먼스가 더해지니, 교감하는 전체로서의 협력적 동시성은 더욱 다감각적으로 복잡해진다.
이처럼 계속해서 펼쳐지고 있는 우주의 (연못 아닌) 연못에서, 우리는 기하학을 살며시 다루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들을 수도 있다. 기하학 그 자체가 차원을 초월한다. 작가는 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모나지 않게 하고 활성화시키고 다중심화함으로써, 또한 창의적으로 해체하고 일종의 사실주의와 집산주의로 강조함으로써, 정치적 양극화 및 세계 역사의 현재 진행형 모순이 지니는 통렬한 아카이브로서의 의미를 포용한다. 또한 그 의미를 다언어화하고 전위시킨다. 이 2010년대작 공동 테이블은 내부를 향하여 교차해 나아가는 다양한 광경과 면과 판을 ‘내던지는’ 동시에, 그것들을 향해 선회한다.
유랑하는 작가 김수자가 종종 작업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는 ‘의식의 거리(streets of consciousness)’에서는 삶을 사는 개인으로서의 인류가 지닌 동적 동시대성과 참여적 민주주의가 실행되고 표현된다. 김수자의 ‘퍼포먼스’가 그렇게 실시간으로 발생하고 또 발생한다. 공동 거주적 공존이 구체적으로 사유된다. 치유력을 지닌 김수자의 시적 · 윤리적 영혼과 인류학자적 통찰력이 함축적으로 표현되는, 방법론적으로 토착화된 유목주의와 국가주의와 사해민족주의는 그의 사회 윤리적 헌신이 표현되는 절제된 방식이다. 좀 더 최근의 작품인 〈통과(Traversées)〉(2020)에서, 그는 프랑스의 푸아티에시(市)를 공공 예술 실험실이자 유토피아적 작업실로 바꾸고, 그곳에서 자신의 작품뿐 아니라 자신이 초대한 작가 스무 명의 작품들을 가지고 태피스트리를 짜냈다. 김수자의 무대가 이 세상이라면, 그 무대는 당신 안에도 있다.
김수자가 세속적인 것들의 특이성에 접근하는 방식을 보면, 복잡하게 협력적이고 지속적인 전체(whole)를 보는 작가 자신의 우주적 비전으로부터 단절된 성질이 아니라, 그것과 공존하는 성질로서 주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스로의 숨쉬기 퍼포먼스에서 추출한 음파 한 토막을 캔버스에 가로질러 수놓은 김수자의 첫 디지털 자수, 〈숨One Breath〉(2006/2016)에서는 내뱉는 숨의 소리가 말 그대로 생존의 신호가 될 수도 있음이 축약적으로 표현되었다. 각각의 호흡, 그 들숨과 날숨의 순환은 정지해 있는 한 ‘조합(set)’이 아니라 흐름 속에서 진동하는 전체의 일부다.
〈마음의 기하학〉도 대표적 예시가 될 수 있는 능동적인 비유다. 한 덩이의 찰흙으로부터 각각의 구가 만들어지고, 하나의 구는 1±1 을 거쳐 계속해서 1로 남는다. 부드러운 소우주로서 둥글게 빚어진 그 각각의 오브젝트(오브제)는 물질적으로도 개념적으로도 수행적으로도 수적으로도, 하나로 남아 있는 동시에 하나의 일부가 되어 간다. 흙(humus[1])으로 빚어진 각각의 ‘인간(human)’과 그리 다르지 않게 말이다.
김수자가 인류에게 품은 ‘이불’ 같은 연민, 우주를 향해 품은 생태적 친밀감은 보편을 아우른다. 하지만 어떤 추상적 관점이나 정치화된 관점에서도, 그는 보편주의자가 아니다. 민첩하게 신중한 그의 야심과 시도는 작가적 상상력과 활성화의 첨예한 ‘바늘 끝’에서 한 땀 한 땀 의미 깊게 구체화되고, 개체초월화되고, 실행된다. 그 점은 《마음의 기하학》전에 포함된 김수자의 자전적 초기 작품, 〈몸의 연구(A Study on Body)〉(1981)에서 도식적으로 잘 드러나기도 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공(a ball)’은 공간이나 비움으로서의 ‘공(空)’의 일부가 된다. 무(無)로부터 연역적으로 만들어지고 획득된 공 하나하나는 또다른 ‘공(工)’과 짝을 이루기도 하며 이중(二重)의 ‘공’을, 다시 말해 조심스럽게 자유롭고 자유롭게 무거운 도교의 무위(無爲)를 행한다. 〈몸의 기하학(Geometry of Body)〉(2006~2015)을 살펴보면, 작가 자신이 직접 사용하던 요가 매트가 그저 뒤샹식 ‘레디메이드’가 아니라 아방가르드 캔버스로 업사이클링되어, 이미 사용된 물건이 지니는 생태학적으로 다층적 · 수용적인 시간성(temporality)을 탐색한다. 쓰던 요가 매트, ‘버려진’ 것이 시간으로부터 선사받은 밀도에 는 무위의 단계 하나하나가 저절로 기록, 보관되어 있고,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하는 일의 눈에 보이지 않는 흔적, 다른 차원에 기록되어 있던 그것이 여기에서 비로소 부활된다.
그러한 기억의 작동 또는 기억 작업을 통해, 내면적 항구에의 정박은 존재에의 예우가 된다. 나는 ‘신인’ 시절의 김수자가 쓴 ‘작가노트’를 처음으로 우연히 보았던 때를 퍽 또렷하게 기억한다. 1988년 서울의 갤러리현대에서 열린 김수자 첫 개인전의 도록, 지금은 누렇게 바래 가는 그 책자의 맨 끝에 작가의 말이 작게 실려 있었다. 그 마지막 페이지에서 소개 글인 첫 단락과 결론인 셋째 단락 사이 두 번째 단락에 마음을 사로잡혔던 것도 기억한다. 마치 양쪽 면을 바느질하여 잇듯 그 가운데 단락에서 작가는 2차원적 캔버스를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직물’이라는 영감이 불현듯 찾아왔던 1983년 어느 ‘보통의’ 날을 짚었다. 당시 그는 정통적 회화에서는 멈춰버린 답보 상태로 남을 수도 있는 평면 공간의 수평성, 수직성을 극복하고 초월할 방법을 마침내 찾아냈다고 느꼈다. 그 순간은 실로 얼마나 짜릿했을까. 나는 그때 일종의 생체기하학적 진동의 흐름 속에 있다고 느꼈다. 그 흐름의 한 가닥은, 능동적으로 기록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서 ‘내포’된 시간의 흐름이었다. 김수자의 합리성과 감수성이 만나는 작가적 직관의 ‘바늘 끝’ 같은 정점은 그렇게 지나쳐버릴 수도 있었던 순간에 찾아왔다. 그가 말했듯, 모녀가 함께 바느질을 하던 일상적 무위의 순간에 말이다.
그 순간을 이제 다시 짚어보며 놀라운 점은 〈마음의 기하학〉에서 관객 한 명 한 명이 가만히 명상적 주의를 기울이며 저마다의 공을 만드는 무작위적 순간들이 이 한 순간의 에피소드와 공명한다는 점, 사실상 포개어진다는 점이다.
김수자를 읽는 일은 그의 날카로운 비전이 지니는 둥긂 위를 사뿐히 디디는 일이다.
공은 언제나 만들어지는 (또한 만들어지지 않는) 중이고, 보따리의 재료이자 보따리의 결과물이다. 《마음의 기하학》전에서 소개된 두 점의 〈연역적 오브제〉(2016)는 그중 규모가 큰 공이고, 같은 제목으로 지금도 계속되는 연작의 일부다. 한 점은 실내에 다른 한 점은 실외에 설치되었는데, 실내의 〈연역적 오브제〉는 작가 스스로의 팔을 본떠 만든 조소 작품이다. 그 두 팔은 무언가를 만들고 있는 모습이고, 움직임의 소통을 나누는 엄지와 검지와 검지 사이, 그 공유되고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동적인 공을 보여준다. 실외에 자리한 〈연역적 오브제〉는 길쭉한 모양으로, 잔뜩 부풀린 미식축구 공처럼 보일 수도 있는 별난 공이라 하겠다. 브라만다(우주의 알)를 닮은 이 난형 작품은 선명한 오방색의 직물이 둘린 채, 거울로 된 중추 위에 서 있다. 마치 콜럼버스 계란의 이중 패러디처럼, 평평하게 찌그러뜨린 면 없이도 평화롭게.
이와 마찬가지로 김수자의 모든 보따리 작품 하나하나는 온전하게 홀로이면서 동시에 어떤 다른 존재와도 연대할 준비가 된 채 서 있다. 그의 보따리는 ‘한 꼬마 두 꼬마 세 꼬마’의 추상적 ‘인디언’이 축적될 수 있는 귀납적 오브젝트(object)가 아니다. 연역적이기도 하지만, 서브젝트(subject)처럼 존재하고 언제든 서브젝트가 될 수 있는 오브젝트, 즉, ‘소브젝트(sobject:
subject + object)’이기도 하다. 김수자의 보따리 소브젝트는 움직이는 길 위에서의 삶과 죽음에 대한 다층적 비유가 되어, 스스로를 (묶고 또 풀며) 중추적으로 지탱한다. 《마음의 기하학》전의 〈연역적 오브제〉들은 살아가면서 죽어가는 것과 담기지 못하면서 담는 것의, 스스로를 감추고 또 드러내는 소브젝티비티(sobjectivity)를 중추적으로 현현하는 한 쌍의 작품이다. 범주간의 상호 의존성을 망적으로 물질화하여 개인과 집단이, 집중과 포괄이 서로 포옹하거나 손을 잡게 하는, 그리하여 김수자의 예술 궤적에서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는 《마음의 기하학》전은 이처럼 ‘안에 있으면서도 밖에 있는’ 두 〈연역적 오브제〉 사이의 계면성으로 인해 한층 더 표상적 전시회가 된다
그런 측면에서 특히 놀라운 작품은 〈연역적 오브제〉 연작에 최근 합류한 〈보따리〉(2023)로, 김수자의 보따리가 지니는 ‘안에 있으면서도 밖에 있는’ ‘소브젝티비티’가 더욱 강화된 작품이다. 기하학의 세계를 향해 이어지는 김수자의 지질학적 · 기하광학적 탐색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정밀해진 작품이기도 하다. 김수자가 자신의 ‘만들며 만들지 않는’ 장소특정적 무위의 예술을 다음 단계로 데려간 이 새로운 〈연역적 오브제 - 보따리〉는 멕시코 푸에르토 에스콘디도의 개방형 갤러리, 메리디아노의 사각형 전시실 중심에 자리한다. 건축의 독특한 다공성으로 인해서 안이 바깥이 되고 바깥도 안이 되는 이곳에서, 이 파운드 오브젝트는 건물의 안에서도 일종의 블랙홀 도서관으로서 부활했지만, 건물의 바깥에도 남아 있다. 비-인간으로서의 타성도 변함 없이 유지된다. 몹시 오래된 것이 지니는 그 불가해함은 인류의 지나친 익숙함으로부터 보호되고, 그렇게 그 바위는 또 하나의 새로운 ‘보따리’가 된다. 다만 움직이는 성질은 없다. 이번에는 김수자라는 존재 전체의 ‘보따리’인 그의 몸만이 움직인다. 그렇게 움직임은 순간이 되고, 장소특정적일 뿐 아니라 시간성을 지니기도 한 사건이 된다.
이 바위 보따리를 향한 김수자의 응시 퍼포먼스는 하나의 아카이브가 다른 아카이브를 만나는 일이다. 2016년 《마음의 기하학》전에서 갤러리 벽 저편 연역적 오브제가 응시한 것은 아카이브로서 본떠진 작가의 두 손이었는데, 2023년 메리디아노에서 일어나는 연역적 오브제의 응시는 멀리 있는 작가의 응시를 만난다. 태곳적부터 내내 존재했던 그것의 꼼짝없는 응시를 마주하며, 작가의 응시는 스스로의 존재를 더 직접적으로 의문한다. 여기에서 바위와 작가의 몸(이 두 연역적 오브제는 이름 없는 존재끼리의 생태학적 친밀함을 통해 선 없이도 연결되어 있다)이 지니는 도교적 익명성과 자유, 원시적 무명성은 그 어느 규칙보다 강력한 미(美)적 규범이다. 두 오브제 모두 매개물이 되고 바늘 구멍이 되며, 그 통로를 통해 인식의 새로운 지평선이 솟고 새로운 평원이 열린다.
표면은 중요하다. 좀 더 깊고 넓게, 더 잘 볼 수 있다면 더욱 그렇다.
1에서 10까지만 셀 수 있는 스스로의 손에 의해 파괴되는 세상을 상상해보라. 점점 더 디지털로 총체화되고 기후 변화와 2차적 위기에 흔들리는 이 세상에서 김수자의 연결적 응시와 몸짓이 지닌 아날로그적 물질성(과 비물질성)은 놀랍도록 레트로퓨처리즘적이다. 앞서 한 땀 한 땀 접근하는 작업 방식의 예로서 논한 〈숨〉 (2006/2016)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공허로 인해, 우
리의 공동 생존(coviving) 구역이, 제로(0)가 지니는 교각으로서의 가능성이, 만물을 계속 움직이게 하는 이동점이 색인화(indexicalize)된다. 여기에 희망의 작은 빛이, 세상의 복부에서부터 퍼져나오는 메아리가 있다.
우주 시간의 해일 속에서 만화경 속 드라마처럼 펼쳐지는 삶과 죽음, 존재와 비존재, 빛과 어둠, 소리와 고요의 밀고 당김이 〈호흡(To Breathe)〉(2016)에서 섬세하게 감각화되고 극대화되었다. 레이나소피아미술관의 크리스탈궁(2006)과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2013)에서 선보인 적 있는 작가의 주요 작업물들을 새로운 규모로, 장소특정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며, 같은 제목의 연작이 2023년에는 베니스의 그라시 궁전에서, 2022년에는 네덜란드 라이덴에서 전시되기도 했다. 《마음의 기하학》전에서 함께 소개된, 좀 더 미시적이고 개념적인 〈숨〉과 더불어 감상할 때, 〈호흡〉의 신기원적 중요성은 더욱 온전하게 다가온다. 더 나아가, 이 작품들을 지금 코펜하겐의 시스테르네르네(한때 지하 수조였던 거대하고 특이한 지하 예술 전시관)에서 열리는 《빛의 직조(Weaving the Light)》(2023)와 연결하면, 우리는 보따리, 연역적 오브제, 그리고 숨을 아우르는 김수자의 작업들이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팽창적으로, 또 본질적으로 서로 수렴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지구 곳곳에서 ‘숨쉬고 있는’ 이 작품들을 연결함으로써 우리는 그와 같은 지하, 지면, 공중의 화해와 명상이 오늘날 어째서, 어떻게 중요한지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것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 전자적으로나 그 외의 방식들로 연결된다는 것은 여러 가시적이고 비가시적인 경계, 벽, 와이어를 넘어서 현재에 지속적으로 동참할 방법을 찾는다는 뜻이다. 우리는 홀로 꿈꾸지 않으니 말이다. 오노 요코(Ono Yoko)의 시집자몽(Grapefruit)》(1964)에서 영감을 받은 〈우리는 홀로 꿈꾸지 않는다(We Do Not Dream Alone)〉(2020)는 같은 제목으로 열린 제1회 아시아 소사이어티 트리엔날레에 함께 전시된 영상 〈호흡 – 깃발(To Breathe – The Flags)〉(2012), 그리고 베네치아의 포르투니미술관에서(2017), 세일럼의 피바디에섹스박물관에서(2018), 뉴사우스웨일스미술관에서(2022~2023) 각기 변주된 〈마음의 기하학〉 작품들과 서로 공명을 한다. 몹시도 직접적인, 직접적으로 일상적이며 또 지구적인 공명을 말이다. 김수자는 연결되어 있다, 어디에 있건 간에.
이렇듯 《마음의 기하학》전에 소개된 여덟 작품은 모두 이 지구 위 김수자의 고원(高原)에 자리한 수많은 다른 작품들과 함께 별자리를 이룬다.
지금까지 논한 모든 내용은 결론으로 마무리될 수 없다. 김수자가 여전히 활동하기 때문에, 심지어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더 왕성하게 작품을 탄생시키고 있기 때문에는 아니다. 존재의 구멍과 항구들에 관해 끊임없이 탐색하는 그의 예술 세계에서, 존재함은 곧 ‘계속됨’이기 때문이다. 계속성은 시간 속 비선형의 선, 즉, 실 한 가닥 한 가닥에 있다. 그것은 실증이나 존재의 한 지점이라기보다는 그 지점들 사이를 고유하게 미끄러져 움직이는 무언가다. 내재적 초월의 면(面)이다. 바늘은, 또는 몸은 그곳으로 사라지고, 그러함으로써 결과를 발생시킨다. 《마음의 기하학》전은 한때 그곳으로 들어갔다. 시의적으로 일어난 그 사건은 이제 스스로의 반향을 반영하는 김수자 연속체의 더욱 넓어진 아카이브 속 한 부분이 되었다.
[Note]
[1] 흙이라는 뜻의 라틴어.
— Essay from ‘MMCA Hyundai Motor Series 2014-2023’' published b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2024. pp.235-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