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그레고리 볼크 │ P.S. 1 현대미술관 《김수자》
2001
Gregory Volk │ Kim Sooja at P.S.1
2001
켄 존슨 │ 세상의 중심에 선 한 여인의 고요
2001
Ken Johnson │ One Woman's Serenity in the Thick of Things
2001
한국 미술가 김수자의 이번 첫 뉴욕 개인전에서는 최근의 비디오 작품들을 선보였지만 사실 그의 작업은 비디오, 퍼포먼스, 조각(작가 자신의 몸을 포함하여), 그리고 야외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사적인 명상 행위가 혼합되어 있다. 그 중심에는 <바늘 여인(A Needle Woman)>(1999-2001)이 있다. 이 작품을 위해 김수자는 카이로, 델리, 라고스, 런던, 멕시코시티, 뉴욕, 상하이, 도쿄 등 8개의 주요 도시를 여행했지만, 작품 속에서 그는 보행자들과 갖가지 차량으로 북적이는 시내 한복판에서 카메라를 등진 채 결국 그저 가만히 서 있을 뿐이다. P.S. 1 현대미술관(P.S. 1 Contemporary Art Center)에서는 작가로부터 뒤쪽으로 몇 미터 떨어진 위치에 고정된 카메라로 이러한 행위들을 촬영한 무성 비디오가 대형 홀의 벽면에 투사되었다. 단조로운 회색 원피스를 입은 작가는 인간적 이동과 소동의 한가운데에 서 있고, 사람들은 그를 향해 주변으로 밀려든다. 이따금 작가는 인파에 휩쓸릴 것만 같고, 어쩌면 누군가 무심코 그에게 부딪히거나 어떤 식으로든 위협을 가할 수도 있을 것 같아, 보는 이는 그의 안전을 걱정하게 된다. 때로 그녀는, 모든 이가 제 갈 길로 흩어지는 와중에도 그저 한 자리에 머무르며, 쉽게 다가설 수 없는 강인한 신비로움을 품은 채 존재한다.
언제나 시각적으로 매혹적인 이 비디오들은 개인과 대중 사회 사이의 불편한 관계, 다른 문화에 에워싸인 외국인이 느끼는 위치 상실(dislocation)의 감각, 혼란스럽고불안정한 세계에서 자신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다룬다.. 김수자의 표정은 한 번도 보이지 않지만, 이러한 행동을 하기까지 그에게 용기와 강렬한 내면의 활력이 필요했으리라는 것은 확연하다. 그의 작품 전반에는 보는 이에게 강한 울림을 주는 인내심 있는 수용과 정신적 평온함이 배어 있다. 그리고 이 퍼포먼스의 일부는 거리의 삶이기도 하다. 이름 없는 수백 명의 사람들이 성큼성큼 걷고 자전거 페달을 밟고 차를 몰아 작가 쪽으로 다가왔다가 어느새 시야에서 사라진다. 분주한 뉴욕 사람들은 자기 일에 몰두하느라 그를 보지 못하고, 다민족의 런던 사람들은 휴대폰에 대고 재잘대기 바쁘며, 상하이 사람들은 작가를 몰래 힐끗거린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김수자가 취하는 이와 같은 최소한의 행위가 각기 다른 도시의 감각과 사유를 자극하는 인물의 초상들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도쿄에서 김수자는 철저히 무시되어 마치 유령처럼 보이고, 우리는 일본에서 한국계 소수자들이 문화적으로 비가시적인 존재로서 오랫동안 차별을 겪어온 현실을 자연히 떠올릴 수밖에 없다. 라고스에서는 이와는 정반대로, 사람들이 호기심이 역력한 얼굴로 작가 주변에 모여든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이와 연관된 다른 행위들을 담은 비디오도 선보였는데, 이 비디오들은 때로는 벽에 투사되고 때로는 모니터로 상영되었다. 카이로에서 자신을 쳐다보는 성인 남성들과 소년들에게 둘러싸여 모로 누워 있는 김수자는 여성 "타자"의 전형이 되며, 작가의 눈에 띄지 않지만 당혹스러운 행동은 구경꾼들을 혼란에 빠뜨린다. 작가가 델리의 야무나 강 둑에 서 있을 때, 강은 좌에서 우로 잔잔하게 흐르고, 그 표면은 천천히 떠 가는 부유물로 장식되어 있다. 눈앞에서 지나가는 것은 쓰레기이지만, 우리는 지나가는 기억을, 소망과 상실을, 한 생의 눈부신 파편들을 생각하게 된다. 겉으론 소박해 보이는 김수자의 행위는, 그 안에 깃든 복합적이고도 깊은 울림으로 우리의 내면을 조용히 사로잡는다.
— 「아트 인 아메리카(Art in America)」, 2001년 12월호에서. 번역(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홍정인
2001
This first solo New York exhibition by Korean artist Kim Sooja featured recent videos, but her work is really a mixture of video, performance, sculpture (involving Kim's own body) and private acts of meditation in outdoor public spaces. The centerpiece was A Needle Woman (1999 — 2001), for which Kim traveled to eight major population centers — Cairo, Delhi, Lagos, London, Mexico City, New York, Shanghai and Tokyo — only to stand motionless, with her back to the camera, on downtown thoroughfares packed with pedestrians and sundry vehicles. At P.S.1, the silent videos of these actions, taken from a stationary camera several yards behind Kim, were projected on the walls of one large hall. Wearing a simple gray dress, Kim stands amid human motion and commotion, as people surge toward her and around her. Sometimes she seems about to be overwhelmed, perhaps even struck or otherwise menaced, and you fear for her safety. At other times, she is a strong enigmatic presence who simply waits in one place while everyone else goes every which way.
Always visually lush, these videos tap into the uneasy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mass society, the dislocation of being a foreigner engulfed by another culture, and questions of how to maintain one's own equilibrium in a swirling, destabilizing world. Even though you never see Kim's facial expression, it is clear that her actions required courage and intense inner vitality. Throughout everything, she exudes a patient acceptance and a spiritual calm which is deeply affecting. Also part of the performance is the life of the streets — i.e., hundreds of anonymous people striding, pedaling or driving toward Kim, then disappearing from view: on-the-go New Yorkers too preoccupied to notice, multiethnic Londoners yammering into cell phones, Shanghai residents stealing surreptitious glances.
What's particularly impressive is how such minimal actions on Kim's part result in provocative portraits of the different cities. In Tokyo, Kim is so completely ignored that she could be a ghost, and you can't help but think how the Korean minority in Japan has long suffered from cultural invisibility and discrimination. Just the opposite is Lagos, where people cluster around her with a lively curiosity.
Also included in the show were videos of related actions, sometimes projected and sometimes on monitors. Lying on her side in Cairo while surrounded by staring men and young boys, Kim becomes a female "other" par excellence, her unobtrusive yet bewildering behavior confounding the onlookers. As she stands on the bank of the Yamuna River in Delhi, the river lows from left to right, its surface festooned with slow-moving flotsam. This is garbage moving past, but you think of memories passing, of wishes and losses, the dazzling scraps of a life. Kim Sooja's unassuming actions really draw you in with their complex and evocative power.
— From Art in America, December 2001.
켄 존슨 (미술비평가)
2001
카멜레온 같은 순응성을 가진 예술 형태인 비디오는 작은 텔레비전 모니터에서 벽 한 면을 통째로 뒤덮는 프로젝터 투사 화면까지 당혹스러우리만치 다양한 형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현실 세계를 다룬 다큐멘터리부터 초현실주의적 몽타주와 할리우드식 판타지에 이르기까지 여러 서사적 접근법을 그대로 모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추상화의 색상과 패턴을 무리없이 흡수해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S. 1 현대미술관(P.S. 1 Contemporary Art Center)에서 열린 <바늘 여인(A Needle Woman)> 전시에서 김수자의 작품들이 입증하듯이, 갤러리에서 비디오를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벽에 직사각형 그림—오래된 방식의 사진이나 회화 같지만 일부는 움직이는 그림—을 만드는 것이다.
1957년 한국에서 태어나 1998년 뉴욕으로 이주한 김수자는 그의 조용하면서도 도발적인 퍼포먼스를 기록하기 위해 비디오를 사용한다. 그의 영상은 군더더기 없이 직접적이지만 독특한 우아함을 발산한다. 각 작품에서 작가는 카메라를 등지고 미동조차 없이 서거나, 앉거나, 누워 있고, 그동안 작가를 둘러싼 세상은 바쁘게 달려간다. 뛰어난 작품은 놀라운 정서적 충격을 안긴다.
이번 전시의 가장 중요한 작품 <바늘 여인>에서 여덟 대의 프로젝터는 뉴욕, 카이로, 도쿄, 런던, 멕시코시티, 뉴델리, 상하이, 라고스 등 여러 도시의 분주한 보도에 서 있는 김수자를 보여준다. 보행자들이 바삐 지나가는 동안 검은 긴 머리를 하나로 묶은 수수께끼 같은 이 수수한 인물은 마치 조각상처럼, 인류의 강물 속에서 움직이지 않는 돌처럼 가만히 서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그를 무시하고, 일부는 의아한 얼굴로 힐끔 쳐다보고, 일부는 멈추어 서서 쳐다보거나 사진을 찍는다. 라고스에서는 장난꾸러기 아이들이 어떤 식으로든 반응을 끌어내려고 궁리하는 듯 그를 유심히 관찰한다.
군중의 다채로움과 전반적인 분주함 그리고 중심 인물의 고요함 사이의 긴장감은 이 작품을 회화적으로나 실시간 서사로서 매혹적으로 만든다.
아울러, 이 고요한 여인은 신비로우며 기묘하리만치 애수 어린 존재감을 띤다. 그는 세계화된 근대성의 잃어버린 영혼일지도 모른다.
다른 갤러리의 두 개의 대형 투사 화면에 비춰진 배경은 도시가 아닌 시골이다. 한 화면에서는 우리는 약간 높은 위치에서 작가를 내려다본다. 그는 우리를 등진 채 서서히 흐르는 잔잔한 강을 바라보고 서 있다. 공간적으로 김수자 작품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영상이다. 반짝이는 강의 표면이 처음에는 멀리 있는 듯 보이다가 실제로는 작가의 발치에 거의 닿아 있다는 것을 문득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거리감의 붕괴에 숨이 멎을 듯하다.
다른 영상에서 작가는 산 정상의 바위에 미동조차 없이 모로 누워 있고 하늘에는 구름이 서서히 흘러 간다. 두 영상 모두 보는 이를 진정시키는 명상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우주적 공간을 마주한 고독한 작가의 이미지는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Casper David Friedrich)가 그린 외로운 방랑자들을 떠올리게 한다. 영상은 여기에 시간이라는 차원을 더한다. 영상 속 주인공이 자연 속에서 시간의 흐름을 숙고하듯이, 갤러리의 관람자는 영상 속에서 흐르는 강물과 서서히 지나가는 구름으로 표상되는 시간의 흐름에 더해, 영상 자체의 실시간 흐름 속에서 표상되는 시간의 흐름 또한 숙고한다. 그리고 다시, 군중-속의-작가를 보여주는 다른 영상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중심 인물은 죽음이라는 불가피한 결말 앞에 서서도 영혼 깊은 곳에서 우러나는 고요한 평정을 품은 채 꿋꿋이 그 자리를 지킨다.
나이지리아에서의 퍼포먼스를 담은 작품 <구걸하는 여인(A Beggar Woman)>에서는 길이 어긋난다. P.S. 1 현대미술관에서 한 비디오 모니터는 작가가 길바닥에 가부좌를 틀고 앉아 마치 돈을 구걸하듯 한 손을 내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어떤 사람들은 그의 손에 돈을 놓아두고, 한 남자는 손에서 돈을 훔친다. 걸인의 이미지는 울림이 없지 않고 카메라가 포착한 사건들이 흥미롭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기만의 요소가 불편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작가의 수수께끼 같은 존재가 군중에 대해 아무런 판단을 내리지 않는 다른 작품들과 달리, 이 작품은 행인들에게 도덕적 심문의 빛을 드리우면서 그들이 가난한 이들과 맺는 관계에 대한 은근한 질문을 던진다. 하지만 작가 자신의 행동에는 윤리적으로 여지를 남기는 이중성의 요소가 있다.
누군가는 김수자가 여기에서 어디로 나아갈 것인지 궁금하기도 할 것이다. 세계의 운동과 긴장 관계에 있는 부동의 이름 없는 여인이라는 이 아이디어를 넘어서는 모험을 할 수 있을까? 또는 그래야만 할까? 새로운 퍼포먼스 아이디어가 새로운 형식적 가능성을 이끌 수 있을까? 부동의 퍼포먼스가 지나치게 반복될 경우 어쩌면 얄팍한 장치로 보이기 시작할지도 모르지만, 누가 알겠는가? 어쩌면 그것은 의례적인 반복을 통해 한층 더 확장되고 심화되어 강력한 정신적 실천으로 전환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2001년 9월 7일 금요일, 번역(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홍정인
Ken Johnson (Art Critic for The New York Times and Art in America)
2001
An art form of chameleonesque elasticity, video can adapt to a bewildering variety of formats, from tiny television monitors to whole-wall, wraparound projections. It can mimic narrative approaches from real world documentation to surrealistic montage to Hollywood-style fantasy, and it can readily absorb the colors and patterns of digital abstraction.
Still, as the works of Kim Sooja demonstrate in "A Needle Woman", on view at P.S. 1, one of video's most effective uses in the gallery is the creation of rectangular pictures on the wall — like old-fashioned photographs or paintings, but with moving parts.
Ms. Kim, who was born in South Korea in 1957 and moved to New York in 1998, uses video with bare bones directness yet uncommon elegance to document her quietly provocative performances. In each of her works, the artist stands, sits or lies very still with her back to the camera while the world around her rushes by. The best have a surprising emotional impact.
In the main installation, eight projections show Ms. Kim standing on busy sidewalks in different cities: New York, Cairo, Tokyo, London, Mexico City, New Delhi, Shanghai and Lagos. Pedestrians hurry by while this enigmatic, unprepossessing figure with a long black ponytail stands like a statue, a motionless stone in a river of humanity.
Most people ignore her; some glance at her quizzically; some stop and stare or take pictures. In Lagos, mischievous children study her as though considering what they might do to get a rise out of her.
The tension between the colorful, all-over busyness of the crowd and the stillness of the central figure makes these works captivating pictorially and as a real-time narratives.
In addition, the still woman has a mythic and curiously melancholy presence. She might be the lost soul of globalized modernity.
Two other large projections in other galleries shift the setting from city to country. In one, we look down from a slightly perspective onto the artist, who stands with her back to us facing a glassy, slowly flowing river. Spatially this is the most interesting of Ms. Kim's works because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river appears at first to be far away; then you realize it is almost at the artist's feet. The collapse of distance is breathtaking.
In the other video, the artist reclines on her side on the rocky summit of a hill holding still as clouds drift slowly by. Both videos have a soothing, meditative effect.
The image of the lone artist facing cosmic spaces calls to mind the lone wanderers that Casper David Friedrich painted, and video adds the dimension of time. Just as the protagonist in the video contemplates the flow of time in nature, viewers in the gallery contemplate the flow of time not only as represented in the video by flowing water or shifting clouds, but also in the real-time flow of the video itself. And again, as in the artist-in-the-madding-crowd videos, the centered figure embodies an inspirational equanimity of spirit in the face of what must lead, after all, to death.
Ms. Kim goes wrong in a piece called "A Beggar Woman" that she performed in Nigeria. At P.S. 1 a video monitor shows her sitting cross-legged on a patch of public ground holding out one hand as if begging for money. Some people put money into her hand; one man steals money out of her hand. While the image of the beggar is not without resonance and the events captured by the camera are not without interest, the element of deception is troubling. Unlike the other works, in which the artist's enigmatic presence casts no judgment on the crowd, this one shines a light of moral inquisition on passerby, implicitly questioning their relationship to people in need; yet the artist herself is behaving with an ethically questionable duplicity.
One wonders where Ms. Kim might go from here. Can — or should — she venture beyond this one idea of the motionless, anonymous woman in tension with worldly movement? Might new performance ideas lead to new formal possibilities? Repeated too often, the performance of motionlessness could start to seem like a gimmick, but who knows? Maybe it could be extended and deepened through ritualistic repetition into a powerfully spiritual enterprise.
— From The New York Times - Friday September 7, 2001.